KCI등재
개신교 성화론 모델의 통합 가능성에 대한 연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19-145(27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성화론은 죄 용서를 받은 후 성도 안에 남아 있는 죄 문제를 해결하며 거룩을 이루어가는 과정을 다룬다. 지금까지 개신교회는 어떤 성화론의 모델을 발전시켜 왔을까? 개신교 성화론 모델들을 통합할 수 있을까? 이 논문은 이런 질문에 대답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이다. 필자는 루터와 칼뱅과 웨슬리와 성결 운동의 성화론을 검토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필자는 루터가 성화를 은혜와 믿음과 순종(사랑)과 회개를 통한 율법의 성취로 이해했다고 평가하고, 이것을 개신교회 성화론의 공통점으로 보았다. 개신교 신학이 루터 신학을 토대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그 결점을 보완하는 과정을 거쳤기 때문이다. 둘째, 성화의 과정과 관련하여 개신교 성화론은 차이를 보였다. 루터의 성화론은 영과 육의 싸움과 갈등에도 불구하고 선행의 열매를 맺는 율법의 성취 모델이고, 칼뱅의 성화론은 육의 죽임과 영의 살림을 통한 점진적 성장 모델이고, 웨슬리의 성화론은 죄의 질병으로부터 치유되어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점진적이며 즉각적인 치유 모델이고, 성결 운동의 성화론은 성령세례를 통한 급진적 치유 모델이었다. 셋째, 성화의 정도와 관련하여 네 성화론은 큰 차이점을 보였다. 루터는 일평생 “의인이며 동시에 죄인”이라는 변증법적 역설로 이해하고, 칼뱅은 죽을 때까지 행위와 본성의 변화가 조금씩 일어나는 느린 성장으로 이해하고, 웨슬리는 이 땅에서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에서 온전해지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이 가능하다고 보고, 성결 운동은 부패성이 치유되는 성결이 성령세례를 통해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필자는 로버트 키건의 나선형적 자아 발달 모델이 루터와 칼뱅과 웨슬리와 성결 운동의 성화론을 통합할 수 있는지 검토했다. 필자는 그의 모델을 약간 수정하여 ‘상하로 점차 확장되는 원을 그리며 수평적으로 진행하는 나선형 모델’을 상상해 보았다. 인간은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죄 사이를 왕복하며 수직적으로 상승과 하강을 경험하는데, 점차 수직적 상승과 하강의 폭이 확장된다는 것이다. 상하로 확장되는 나선형의 최하단은 루터의 철저한 죄 이해를 가리키고, 나선형의 상단은 웨슬리의 온전한 성화와 성결 운동의 성결이 보여주는 성화의 성취 정도를 나타내고, 오른쪽으로 수평적으로 진행하는 움직임은 칼뱅의 점진적 성장 과정을 보여준다고 이해되었다. 하나님의 은혜로 인간이 믿음으로 말씀에 순종하고, 순종하지 못한 죄는 회개하며, 더 높은 은혜와 더 깊은 회개를 경험한다는 것이다. 이에 필자는 ‘상하로 확장되는 원을 그리며 수평선을 따라 진행하는 나선형’ 모델이 루터와 칼뱅과 웨슬리와 성결 운동의 성화론을 통합할 수 있겠다고 생각해 보았다.
Sanctification is about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 of sin that remains in the believers after justification and being sanctified. Can the Protestant sanctification models be integrated? This paper is an attempt to answer this question.
First, the author found that Luther understood sanctification as the achievement of the law through grace and faith and obedience (love) and repentance, and saw this as a common point of the Protestant sanctification theories. Second, with regard to the process of sanctification, the Protestant sanctification theories were different. Luther’s theory of sanctification is a model of the accomplishment of the law producing fruits of good works in the conflict between spirit and flesh. Calvin’s one is a model of gradual growth through the killing of the flesh and the quickening of the spirit. Wesley’s one is a gradual and immediate healing model that recovers the image of God by healing from the disease of sin. Holiness Movement’s one is a radical model of immediate healing through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Third, with regard to the degree of sanctification, the four theories of sanctification have made a great difference. Luther viewed it as a dialectic paradox of simultaneity, that is, “the justified and the sinner.” Calvin understood it as a slow growth in which change of action and nature took place little by little until death. Wesley believed that entire sanctification (Christian perfection) in loving God and neighbors in this world was possible. Holiness Movement argued that holiness as an eradication of corruptibility could be accomplished immediately through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The author examined whether Robert Kegan’s spiral model of self development could incorporate the theory of sanctification of Luther, Calvin, Wesley and the Holiness Movement. The author imagined the model of a spiral that runs horizontally in a circle that extends gradually up and down by slightly modifying Kegan’s one. Human beings experience a vertical rise and fall between the grace of God and the sin of man. It was understood that the lowest end of the spiral points to th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sins in Luther, its top points to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the sanctification shown in Wesley’s entire sanctification and the Holiness Movement’s holiness, and the horizontal movement shows its gradual growth process in Calvin. In response, the author would like to propose this new model as the future sanctification theory of the Protestant Church, considering that this one could incorporate the Protestant sanctification theorie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5 | 0.45 | 0.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3 | 0.29 | 0.647 | 0.1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