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自挽詩의 자아 혼성(hybrid)과 시적 정체성 : 조선시대 자만시를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주제어
KDC
70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37-266(30쪽)
제공처
이 글은 일본 고전문학 연구자들에게 조선시대 자만시를 소개하기 위해 자만시의 창작 목적과 특성을 살핀 것이다.
자만시를 쓰는 가장 두드러진 이유론 자기 정당화의 욕구, 증언의 욕구, 자기표현의 욕구를 들 수 있다. 자기표현의 욕구는 남들이 알지 못하는 자신의 진면목을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자전적 글쓰기 방식으로서 주목할 만하다.
자만시의 자아는 살아있는 나와 죽은 나라는 이중성을 띤다. 魏晉南北朝시기 挽歌詩 문체적 특성으로 인해 촉발된 이런 특성은 한편으로 자아의 혼성(hybrid)도 유발하게 된다. 자만시에 드러나는 가공의 나, 성격이 다른 1인칭의 뒤섞임, 그리고 자신의 대상화(2인칭과 3인칭) 등은 전지적인 관점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탐색하는 동시에 構築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자만시를 쓰려는 욕구는 한편으로 “나는 어떤 사람인가?”라는 질문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러므로 자만시를 쓰는 것은 자신만의 특별한 경험을 가지고 자기 정체성을 탐색 혹은 구축하면서 자만시를 쓰는 행위인 글쓰기의 문제를 성찰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자만시에서 제기되는 자기 정체성의 문제는 글쓰기를 통해 재구성되는 것이란 점에서 ‘시적 정체성’이라는 성격을 동시에 가지게 된다. 자만시는 전통문학에서 보기 드문 시를 통한 자기 정체성의 탐색과 구축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This article explains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self-elegy written in Joseon Dynasty. The genre had been mainly composed in the aspects of self justification, witness or self-expression. The latter is especially worth noticing because it reveals poet’s inner world, and thus the style can be classified as a branch of biographic writing.
The dualistic aspect of self-elegy where an alive poet sings the dead “me”, originated from the problematic style of elegy in Wei-Jin-Nan-Bei-Chao(魏晋南北朝) Period, also creates hybrid alter ego. In other words, The omniscient poetic identity is established in the course of creating multiple egos including a poet, blended voices of the other selves, objectifying of the poet himself, etc. in the style.
Since the drive of writing self-elegy is closely linked to the question of who I am, the act of composing self-elegy is to reflect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ing and identity. The identity here is poetic identity at the same time because it is constructed through writing. Considering classical literature rarely expresses the theme of the author’s identity, pursuit of self in self-elegy is a distinct phase in traditional poetr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