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고영주 가옥의 중인자료관 활용 방안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81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36(28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조선시대 양반과 양인(良人) 사이의 신분이었던 중인(中人)은 서울에 주로 살았던 전문직 종사자였는데, 중인들의 종가는 알려진 곳이 없으며, 거주지도 확실한 곳이 많지 않았다. 옥계사(송석원시사) 주인 천수경(千壽慶)의 집터만 추사 김정희가 써준 바위글씨 송석원(松石園)의 위치를 확인하여 종로구 옥인동 47번지 일대로 확정할 뿐이었다. 서울시에서 종로구 필운동 88-1번지에 있는 문화재 급의 한옥을 매입하여 보수하고, 민속문화재 제33호로 지정하여 홍건익가옥(洪建翊家屋)으로 명명하였다. 홍건익이 어떤 인물인지 확인할 만한 기록이 없는데, (구)토지대장과 (구)가옥대장을 확인한 결과 이 집터에는 홍건익 이전에 고영주(高永周)가 살았음이 확인되었다. 고영주는 한어(漢語) 역관이며, 그의 형제들은 한어와 일어(日語) 역관, 영어(英語) 번역관으로 활동하였다. 형제와 조카들도 필운대 주변의 옥동, 통동에 거주하며 역관이나 외교관으로 활동하여, 서촌(西村)이 중인 역관들의 거주지라는 통설이 입증되었다. 고영주 형제는 개화기에 역관으로 활동하며 외래 문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고, 고영철의 아들 고희동은 한국 최초의 화가로 활동하였다. 이들 형제를 비롯한 중인들의 자료는 전기(傳記), 시문(詩文), 기행문(紀行文), 편지(便紙) 등이 방대한 분량으로 남아 있는데, 이들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연구자와 일반 시민들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중인 고영주의 집터에 세워진 홍건익가옥을 중인자료관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중인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할 수 있는 중인 연구의 기지로 삼기를 제안한다. 일반시민들에게는 흥미로운 디지털 중인전시관으로도 공개할 수 있다.
더보기The class system in the Chosŏn dynasty was divided into the three grades: aristocrats(yangban, 兩班), commoners(yangin, 良人), and base people(ch’ŏnin, 賤人). However, some middle people(chungin, 中人) responsible for professional services lived in the capital of Seoul. In contrast to the yangban who were selected for jobs through the military and civil service examination(munmukwa, 文武科), they took the miscellaneous examination(雜科) to become interpreters(譯官,) physicians(醫員), and lawyers(律士) or the technical examination(取才) to become court painters (畵員), musicians(樂工), accountants(算員), and lower clerks(書吏). Interpreters lived in Inwangsan’s Sŏch’on(西村) for convenient access to the Office of Interpreters (司譯院) or in Chongno to easily sell merchandise. Since the city of Seoul issued its ‘Statement on Seoul Hanok’ in 2008 and encouraged its denizens to build hanok, it also purchased hanok from owners who wished to sell them and used them as ‘public hanok.’ Although the city purchased a site of 740.5㎡ with a hanok of 142.14㎡ in Chongno-ku P’irun-dong No. 88-1, the city petitioned to have the building designated as a cultural heritage as it was a beautiful building over eighty years old. This hanok was outfitted with a doorway, servants’ quarters, guesthouse, and main building, complete with a taegŭk symbol on its walls; thus it was designated as Seoul’s Cultural Heritage No. 33. The public name of the building was ‘The House of Hong Gŏnik (Hong Gŏnik kaok, 洪建翊家屋)’ but all we know today is that someone by the name of Hong Gŏnik built the house; his identity remains a complete mystery. In the process of verifying the building’s land and house registries, I found that the first owner of the site was Ko Yŏngju. The land registry notes that the land was assessed for taxation purposes, demonstrating that Ko had already been living there at the time that Korea’s modern land registry was first compiled in 1912. Since the house registry states that Hong first started building his house there in 1934, it is unclear as to when Ko first built his own house. The site of Ko’s house was known as the biggest in Sŏch’on at 467 p’yŏng (1543.8㎡), and then partitioned into today’s area of 224 p’yŏng (740.5㎡) after Hong. If the letters exchanged between Chosŏn interpreters and Chinese and Japanese literati are to be studied through this method, we will then be able to observe cultural exchange in 18-19thcentury East Asia in a single glance. If the interpreter KoYŏngju’s residence is used as a digital chungin source archive, then the evidence of East Asian cultural exchange in the form of travelogues, letters, Classical Chinese poetry, and paintings can be seen digitally, and joint studies between scholars of different nations in diverse ways will be feasible, all in the house of a 19thcentury interpreter.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