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해방기 국악계의 활동양상: 국악원과 구왕궁아악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ctivity Aspect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Based on Gugak Institution and Guwanggung Aakbu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7-100(34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further clarify the reality of the Gugak institution of the Minsogak world and Guwanggung Aakbu of the Aak world which had led the Gugak worl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by adding new materials to the existing discussion.
Regarding the Gugak institution of the Minsogak worl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I reviewed the organizing process and performance activities of the Gugak institution to supplement the contents. The Gugak institution, which was organized by the lead of the Minsogak world in the new era right after liberation, is formed in the participation of the Gugak institution. Having fundamentally different music bases, however, both sides devoted themselves to activities to look after themselves as each other’s requirements were not met. The Gugak institution concentrated on Changgeuk (Korean traditional opera) and voluntarily planned new performances, including farmer's music competition, Gugak festival, national local folk song festival to lead the cultivation of national sentiment. In addition, the Gugak institution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public by showing a new type of performance called female classical opera, enjoying its renaissance.
For Guwanggung Aakbu, I identified the progress and main activities of nationalization developed over time with a focus on the Aakbu nationalization which was not fully discussed.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Guwanggung Aakbu, which had difficulty in cooperation with the Minsogak world and had no support, devoted itself to independent activities. However, the music of Guwanggung Aakbu, which had been enjoyed by a certain class, was not enough to secure popularity. A sijo (traditional three-verse [-stanza] Korean poem) class was held and radio broadcasting was continued, but public interest was weak. It was an Aakbu nationalization plan that Guwanggung Aakbu selected in order to overcome this situation. Finally, as the national Gugak institution organization was promulgated by a Presidential decree in 1950, its incorporation into the system was confirmed again. Guwanggung Aakbu, which was guaranteed to be converted into a national institution, was involved in stable activities while planning courses and classes in addition to sijo classes. Especially holding Minsogak courses, Guwanggung Aakbu continued its own way while emphasizing the symbolism of the organization that would represent ‘Gukak’ as a national institution.
본고는 해방기 국악계를 주도했던 민속악계의 국악원과 아악계의 구왕궁아악부에 관해 선행연구의 토대위에 새로운 자료를 수집해 확인되는 내용을 근거로 기존논의를 수정하고 보완함으로써 해방기 국악계에 관한 내용을 보다 진일보시켜 보고자 했다.
해방직후 새 시대를 맞아 민속악계의 주도로 조직된 국악원은 아악계의 동참 속에 결성된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음악기반이 달랐던 양측은 서로의 요건이 충족되지 않으면서 각자의 일신을 도모하기 위한 활동에 매진한다. 국악원은 창극에 집중했으며 농악대회, 국악대제전, 전국향토민요대전 등의 새로운 공연을 주체적으로 기획해 일제강점기동안 억눌려 있던 민족정서를 함양하는데 앞장선다. 또한 국악원은 여성국극이라는 새로운 형식의 공연물을 선보여 대중들의 이목을 사로잡으며 전성기를 구가한다.
해방직후 민속악계와의 협력도 여의치 않고 명목뿐인 구황실사무청에 소속되어 경제적으로 어려웠던 구왕궁아악부는 자주적인 활동에 전념한다. 하지만 특정계층을 대상으로 향유되어 온 구왕궁아악부의 음악은 대중성을 확보하기에 역부족이었다. 구왕궁아악부는 시조강습회를 개최하고 라디오방송을 지속했지만 대중의 관심은 미약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자 구왕궁아악부가 선택한 것은 아악부 국영안이었다. 결국 1950년 대통령령으로 국립국악원직제가 공포되면서 구왕궁아악부는 다시 제도권의 편입을 확정짓는다. 국가기관으로의 전환이 보장된 구왕궁아악부는 시조강습회 이외에 새로운 강좌와 강습을 기획하며 안정적인 활동을 하게 된다. 특히 구왕궁아악부는 민속악강좌를 개최해 국가기관으로서 ‘국악’을 대표하게 될 단체의 상징성을 부각, 자신 있는 행보를 이어간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3-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Music Institute of Ewha Womans University -> Ewha Music Research Institute | KCI등재 |
2015-02-2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wha Music Research Institute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8 | 0.28 | 0.2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4 | 0.26 | 0.543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