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국외전시의 경향 분석: 용산시기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rends in Overseas Exhibitions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With a Focus on the Yongsan Period
저자
선유이 (국립전주박물관)
발행기관
학술지명
박물관과 연구(Bangmulgwan gwa yeongu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Journal))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96-327(32쪽)
제공처
국립중앙박물관 국외전시는 국가기관이 추진하는 정부사업이다. 그만큼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국외에 널리 알리고 국가 간 문화교류에 기여하는 것은 국외전시의 주요 목표가 되어 왔으며, 국가의 정치·외교적 정책 방향은 국외전시가 추진되는 과정에서 일정부분 영향을 미쳐왔다. 초기 국외전시는 ‘명품전’, ‘통사전’, ‘순회전’ 성격의 전시가 중심이 되었다. 그러나 국제적 환경변화에 맞춰 국외전시의 흐름도 변화하였으며, 2005년 용산시기를 맞이하여 국립박물관의 새로운 비전과 역할을 정립한 것은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용산시기에는 외국문화재 국내전시의 교환전시로 추진된 국외전시가 증가하였으며, 해외박물관 한국실 지원사업과 관련된 국외전시도 활성화되고 있다. 최근 국외전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국외전시의 발전적 개최 방향에 대한 고민이 더욱 요구된다. 국외전시를 기획할 때는 먼저 전시 개최지의 상황에 맞춰 통사전과 주제전, 심화전 중 적절한 방식을 선택해야 한다. 또한, 개최기관과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전시주제, 전시구성, 전시품 등을 선정하고, 다양한 전달방식을 시도해 볼 수 있다. 과거와 현재의 한국을 시간적으로 연결하거나, 한국과 다른 국가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전시 역시 주목할 만하다. 특히 최근에는 한류에 대한 관심, IT강국인 한국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기대,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이 국외전시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이 과정에서 개최기관의 한국학 전공 전문인력의 확충과 이를 통한 전시개최기관과의 활발한 소통은 국외전시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The National Museum of Korea’s overseas exhibitions are the government-led initiatives managed by a national institution. As such, their primary objective is to widely promote Korea’s history and culture abroad. To Some extent,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direction of Korea promotion of these overseas exhibitions. Early exhibitions focused on masterpiece chronological displays and touring exhibitions. However, the trends in overseas exhibitions have evolved in response to changing international circumstances. The museum’s relocation to its current site in Yongsan in 2005 marked a significant inflection point, enabling the museum to redefine its vision and role as a national institution.
During the Yongsan period,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overseas exhibitions organized as part of exchange agreements, that allowing Korea to showcase its cultural heritage abroad in return for hosting foreign cultural artifacts in domestic exhibitions. Additionally, exhibitions associated with the museum’s support program for Korean galleries in overseas museums have gained prominence. As the demand for overseas exhibitions continues to rise,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explore innovative approaches to organizing these exhibitions.
When planning overseas exhibitions, it is crucial to tailor the approach to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the host location by selecting the appropriate format, whether it be a chronological, thematic or in-depth exhibition. Close collaboration with host institutions is essential for determining exhibition themes, structures, and items, as well as for experimenting with diverse methods of content delivery. Exhibitions that bridge Korea’s past and present or create spatial connections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also hold significant potential.
Recently, the rising global interest in Hallyu (Korean Wave), growing expectations for Korea’s digital content as an IT powerhouse, and increased cooperation across various fields have been key drivers of change in overseas exhibitions. In this context, expanding the number of specialists with expertise in Korean Studies at host institutions, thereby fostering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organizers and host is essential for enhancing the quality and impact of these exhibition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