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냉전 시기 소련-북한의 비대칭동맹과 북한의 자주외교 = Soviet-North Korean Relations During the Cold War and the North Korea's Independent Foreign Polic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1-89(29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ritical factor in bilateral relations during the Cold War, which is essential for evaluating the continuity and change in Soviet(Russia)-North Korea relations. During the Cold War, the Soviet-North Korean relations were an asymmetric alliance between one Eurasian superpower that used a global strategy from an international political standpoint and one weaker state in Northeast Asia. The asymmetric alliance is often characterized by the superpower offering security and the weaker state's sovereignty being limited in return. However, the Soviet influence, as guardian of the formation of the North Korean state system and in its international leadership role with socialist countries, was not just one-sided with North Korea. Under socialist international ideology, superficial agreement between two countries so-called 'Brotherhood', these two countries have experienced serious differences in perceptions and conflicts of interest in evaluating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the line of their foreign policies. The Soviet Union acknowledged that two sovereign states existed on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Korean War, while North Korea's Kim Il-sung regime made the reunification a priority. In the midst of said conflicts and in addition the Soviet-China disputes, North Korea attempted over time to implement its policies as much as possible through 'independent diplomacy'. While the Soviet Union recognized its limitation to influence to North Korea, the Soviet had tried to control North Korea to take a more realistic approach to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context, we consider the Soviet-North Korean relations during the Cold War as a special transformation of the asymmetric alliance and examine their origins, factors, and characteristics.
더보기이 연구의 목적은 소련(러시아)-북한 관계의 연속성과 변화를 평가하는데 필수적인 냉전 시기 양국관계사의 핵심 성격을 드러내는 데 있다. 냉전 시기 소련-북한 관계는 국제정치 관점에서 세계 전략을 구사하는 유라시아 초강대국과 동북아에 위치한 약소국의 비대칭동맹(asymmetric alliance)이었다. 비대칭동맹은 흔히 강대국의 안보 제공과 그 대가로 약소국의 주권이 제한당하는 현상으로 특징지어진다. 하지만, 북한체제 형성의 후견국이자 사회주의 종주국으로서 소련의 북한에 대한 영향력은 일방적인 것이 아니었다. 양국은 ‘형제국’이라는 사회주의적 국제주의 이념의 표면적 합의 아래 한반도 상황에 관한 평가와 대외정책 노선에서 심각한 인식의 차이와 이해관계의 갈등을 겪어 왔다. 소련은 한국전쟁 이후 한반도에 두 개의 국가가 실존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한 반면, 북한의 김일성 정권은 한반도 통일을 우선적 과제로 내세웠다. 양국의 그런 갈등과 중소분쟁 와중에 북한은 ‘자주외교’를 통해 최대한 자국의 정책을 관철하려 시도했고, 소련은 북한에 대한 영향력의 한계를 인식하면서 한반도 문제에 대한 보다 현실주의적 접근을 통해 북한을 제어해왔던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우리는 냉전 시기 소련-북한 관계를 비대칭동맹의 특수한 변용사례로 보고 그 기원과 요인, 성격을 검토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9-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 KCI등재 |
2009-09-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1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슬라브연구 -> 슬라브硏究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5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1 | 0.844 | 0.3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