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알렉산드르 2세 개혁기 러시아 인쇄산업의 발전 양상에 대한 소고 =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Russian Printing Industry in the Period of Reform of Alexander II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5-60(26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development of Russia's printing industry in the late 19th century is closely linked to the so-called ‘grand reform’ implemented during the reign of Alexander II. It is well known that changes across Russian society were being driven by reform policies of Russian autocrats. In this paper, we will consider the pattern of changes in the Russian printing industry during the reform period based on this context, and we will examine the impact of the ‘proliferation of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in Russia at the time.
The whole society's enlightenment movement and the government's reform policy had greatly increased the demand for printed materials. As a result, the number of printing facilities in Russia had increased significantly, followed by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and machinery in the printing sector. As capitalistic production relations progressed along with the abolition of serfdom, employment replaced traditional forms of labor in the printing industry. The mechanization process of Russia's printing industry was not fast, but it continued. Advances in printing technology and facilities had led to the centralization of the Russian printing industry. Small print shops that failed to ride on technological innovation were out of the race. Large printing companies that secured competitiveness, the so-called ‘typolithography’ had expanded their businesses into book publishing and book distribution. Small book distributors were kicked out of the publishing market, and independent survival of distribution capital was stopped. The centralization of Russia's printing industry during the reform period also played a major role in the Government policy. The government wanted to consolidate its pro-government foundation in society and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Russia's printing industry by fostering large print companies. A series of ‘typolithography’, which grew through fierce competition in the market and with government support, had established a virtuous circle in Russia's printing industry. Their growth process was no different from the modern meaning of ‘industrial concentration’, and it can be said that it was a clear example of the ‘proliferation of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in Russia.
19세기 후반 러시아 인쇄산업의 발전은 알렉산드르 2세 통치기에 시행된 이른바 ‘대개혁’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전제정부의 개혁 정책으로 러시아 사회 전반에 걸친 변화가 추동되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개혁기 러시아 인쇄산업의 변화 양상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당대 러시아에서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의 확산’ 여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 시기에는 전사회적 계몽운동과 정부의 개혁정책으로 인쇄물 수요가 크게 늘어났다. 이에 따라 러시아 내 인쇄시설의 수가 대폭 증가했고, 인쇄분야에서 신기술과 기계 도입이 뒤따랐다. 농노제 폐지로 자본주의적 생산 관계가 진전됨에 따라 인쇄산업 분야에서도 고용노동이 기존의 노동 형태를 대체해 나갔다. 러시아 인쇄산업의 기계화 과정은 속도가 빠르지는 않았지만, 부단히 진행됐다. 인쇄 기술과 설비의 진보는 러시아 인쇄산업의 집중화를 가져왔다. 기술 혁신에 편승하지 못한 소규모 인쇄소는 경쟁에서 도태됐다. 경쟁력을 확보한 대형 인쇄기업, 이른바 ‘티폴리토그라피야’는 도서 출판과 유통 분야로 사업을 확장해 나갔다. 출판시장에서 소규모 도서 유통업자들이 퇴출되고, 유통 자본의 독자적 생존은 중단됐다. 개혁기 러시아 인쇄산업의 집중화에는 정부의 역할도 크게 작용했다. 정부는 대형 인쇄기업 육성을 통해 사회 내 친정부적 토대를 공고히 하고, 러시아 인쇄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자 했다. 시장 내 치열한 경쟁과 정부 지원을 통해 성장한 일련의 ‘티폴리토그라피야’는 러시아 인쇄산업의 선순환구조를 구축했다. 이들의 성장 과정은 ‘산업 집중화’에 다름 아니며, 러시아 사회의 ‘자본주의적 변화’를 명징하게 보여준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9-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 KCI등재 |
2009-09-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1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슬라브연구 -> 슬라브硏究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5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1 | 0.844 | 0.3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