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해산의 실체적 요건의 규범적합적 해석 = The Interpretation of Substantial Requirements of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on the basis of the Constitutional Tex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주제어
KDC
362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2-175(34쪽)
제공처
소장기관
This article deals with a few core issues on the substantial requirements of the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On 5 th November, 2013, Korean government requested the Constitutional Court to decide on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United Progressive Party and dissolve the party.
The Basic Law(Grundgesetz) of Germany is the example of the clause of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i.e. Article 8 of Korean Constitution. But the intention of constitution-makers in two countries was fundamentally different.
Whereas german parliamentary council for making Basic Law intended to prevent the appearance and growth of anti-democratic parties such as Nazis party, korean national assembly wanted to block arbitrary dissolving political parties by the government. “Grundgesetz” decided german democracy as so-called “streitbare oder wehrhafte Demokratie (defensive democracy)”, which is supported by many ofinstitutions prescribed in Art. 9 Para 2, Art. 18, Art. 21 Para. 2 GG. In Korean Constitution, there’s only one institution, that is,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which focuses primarily on the protection of political parties. Therefore, korean democracy can’t be classified as a kind of german-style defensive democracy.
“Democratic basic order” in the party-clause of Korean Constitution and “free democratic basic order” in the preamble and unification-clause(Article 4) of Korean Constitution are different each other. The former refers to essential principles of democracy in Korean Constitution. The latter means state’s system as such of Korea, which has been fighting against so-called ‘people’s democracy’ of North Korea since 1948. The scope of the latter is wider then that of the former.
Because Art. 8 Para. 4 of Korean Constitution is an exceptional clause, its contents must be strictly interpreted. The aim of political parties must be grasped on the ground of official papers such as political program. The activities of political parties linked with such aim provide the Court with materials for decision.
Whether an activity of any part organizations or party members or supporters of political parties can fall under the boundary of the activities of political party, must be decid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arty as a whole.
Only when the danger caused by the activities linked the aim of political parties is present, concrete and serious, the concerned party is in collision with “democratic basic order”. But in the light of the character of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as a preventive measure, it is not required for the party to have a (high-)
probability of realization of its aim. Taking the severe impact of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on the liberty of the parties and party members in consideration, this measure must be proportional. Korean Constitution does not stipulate‘existence of state’ as a cause of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Therefore the activity against the existence of state by party members and supporters, forexample, the crime such as high treason, could be coped with not by the measure of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but by the criminal law.
이 글에서는 2013년 11월 5일 정부의 통합진보당에 대한 해산심판청구를 계기로 촉발된 학계의 정당해산논의를 통하여서도 충분히 해명되지 않은 정당해산의 실체적요건에 관련된 핵심쟁점 몇 가지를 우리 헌법조문에 근거하여 살펴보았다.
우리 헌법의 정당해산조항은 독일 기본법을 모델로 한 것이긴 하지만, 나치당과 같은 불법 정당을 방지하고자 한 독일과 정부에 의한 자의적 정당해산을 방지하고자 한한국은 입법배경이 다르다.
또한 기본법에 산재한 각종의 제도들로 자신들이 결단한방어적 민주주의를 뒷받침하고 있는 독일과 달리 우리 헌법은 정당해산제도를 두고있을 뿐이고, 그것도 일차적으로는 정당보호에 초점이 있기 때문에 우리 헌법이 독일식의 좁은 의미의 방어적 민주주의로 원칙적인 헌법적 결단을 내렸다고 할 수 없다.
정당해산의 보호법익으로 규정된 ‘민주적 기본질서’와 전문과 통일조항에 규정된‘자유민주적 기본질서’라는 개념은 각자의 입법목적과 체계에 맞게 해석되어야 한다.
전자는 우리 헌법상의 민주주의의 핵심요소들을 내용으로 하는 체제내적 개념이며,후자는 북한의 인민민주주의체제와 대립하고 있는 우리 대한민국의 국가체제를 가리키는 체제대결적 개념인데, 외연으로 보면 후자가 전자보다 넓은 것으로 파악된다.
헌법 제8조의 체계상 제4항의 제한적ㆍ예외적 성격 때문에 동 조항에 규정된 가중적 요건은 엄격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정당의 목적은 정당의 공식문건에 의해 파악해야 하고, 정당이 진정한 목적을 은폐하는 경우 입증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드러나지도 않은 주관적 의도를 이유로 심대한 불이익을 가하는 것은 부당하며, 그러한 정당의 성장에는 한계가 있어 해산의 실익도 없어 보인다. 또한 목적만으로는 충분치 않고 목적 달성을 위한 활동으로 나아간 정당만이 해산대상이 될 수 있고, 정당의 부분 조직이나 당원 일부 내지 지지자들의 행동은 전체 정당의 견지에서 평가하여 정당귀속 여부를 가려야 한다. 정당의 목적과 결합한 활동이 민주적 기본질서에 위배되려면용납할 수 없는 정도로 상충되어야 하고, 그로부터 발생하는 위험은 현재적, 구체적이고 진지한 정도에 이르러야 하지만, 정당해산의 예방조치적 성격에 비추어 목적이 현실적으로 실현될 가능성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정당해산이 당사자에게 미치는효과의 심각성을 고려할 때 비례성심사를 배제할 수 없다. 헌법은 국가의 존립을 정당해산의 보호법익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으므로 일부 당원들의 국가존립에 대한 위해행위, 예컨대 내란범죄행위는 정당해산이라는 헌법적 수단이 아니라 형법적 수단으로 진압되어야 한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