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소년비행의 원인으로서 빈곤과 사회적 배제- 다문화가족의 비행소년에 대한 사회적 포섭정책을 중심으로 - = Social exclusion and poverty as a cause of juvenile delinquenc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71-409(39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view the concept of poverty and its related concepts such as economic inequality and to closely examine the theoretical relationship between relative poverty and crime along with the review of relevant studies.
The result shows that poverty is related to crime but it is not a causal, direct relationship. That is, poverty (relative poverty) has indirect effects on the emergence of crime by way of, or by interacting with various socio-cultural factors (e.g., psychological stress, relative deprivation, weak labor force attachment, etc.).
Since the total effects of poverty on crime may not be negligible, poverty seems to be one of causal factors of crime.
Lastly, based on these findings, future studies of poverty and crime are briefly suggested and discussed.
Social exclusion is a concept used in many parts of the world to characterise contemporary forms of social disadvantage and relegation to the fringe of society. It is a term used widely in the United Kingdom and Europe, and was first utilized in France. It is used across disciplines including education, sociology, psychology, politics and economics. Social exclusion refers to processes in which individuals or entire communities of people are systematically blocked from rights, opportunities and resources(e.g. housing, employment, healthcare, civic engagement, democratic participation and due process) that are normally available to members of society and which are key to social integration.
2012년 5월, 서울에서 17세 소년이 연쇄방화범으로 경찰에 체포되었다. 그런데 체포된 소년의 범행동기가 「다문화가족」의 자녀라는주변의 편견과 따돌림 등에 대한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불을 지른것으로 밝혀져 범죄동기와 관련하여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었다. 소년은 초등학교부터 다문화가족의 자녀라는 이유로 따돌림을 받았고,이에 따른 정신적 충격에 우울증을 겪었으며 이후 가출과 그리고 학교를 자퇴하였다고 한다1).
이러한 다문화가족에 대한 우리사회의 편견과 차별2)은 뿌리 깊은단일민족사상과 순혈주의에 따른 것으로 특히 성장기에 있는 다문화가족의 소년들을 학교와 사회 등으로부터 고립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
2013년 2월,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정책과에서는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결과3)」를 발표하였는데 여기에서는 우리사회의 다문화가족소년들이 처한 열악한 사회적 지위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다문화가족의 자녀의 취학률을 살펴보면, 초등학교의 경우에는 전체학생이 98.6%였으나 다문화가족의 자녀는 97.9%로 0.7%가 낮았으며,중학교의 경우에는 전체학생이 96.1%, 다문화 가족의 자녀는 92.3%로 3.8%가 낮았다.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전체학생이 92.6%이었고다문화가족의 자녀는 85.1%로 7.5%, 고등교육기관의 취학률은 전체학생이 68.4%인 것에 반하여 다문화가족의 자녀는 49.3%로 가장 높은 19.1%가 낮았다. 조사에서는 다문화가족 자녀의 낮은 취학률을외국에서 성장하는 자녀가 증가한 것에 따른 것이라고 보고 있으나,그 외의 원인으로서 빈곤을 지적할 수 있다. 즉, 다문화가족의 85%가 월평균가구소득이 200만원 미만으로 전국 가구 중 월평균가구소득 200만원 미만의 가구비율 17.7%에 비하여 매우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다문화가족의 한국생활에서의 어려움과 관련해서도 언어문제(21.1%)와 함께 경제적 어려움(19.8%)이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6 | 0.76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9 | 0.87 | 0.999 | 0.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