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연구 논문] 세계제국 패권문화와 기독교 평화교육 = Global Empires Hegemonic Civilizations and Christian Peace Educ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5
작성언어
-KDC
23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55-282(28쪽)
제공처
소장기관
이락 전쟁 이후 글로벌화 시대에 있어서 미국은 전 세계에 강력한 군사력이 세계질서형성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강력하게 인식시키는 데 성공했다. 동북아시아의 평화구축 문제 역사 이 지역에 제국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유일한 초강대국임을 자처하는 미국과, 새로이 도전을 시작하는 중국을 주축으로 하는 다면적 공생관계의 문제이다. 이 지역 내 분단국가인 한반도와 대만 같은 나라에 살고 있는 많은 인간들에게는 생존이 걸린 중대한 문제이다. 현 시점에서 중국은 미국과의 세력 균형 정책을 위해 러시아와 유럽연합과 제휴하여 견제에 나서고 있다. 핵무기 보유를 선언한 북한은 미국이 동아시아에서 비핵화, 핵무기 개발 확산을 우려하며, 6자회담에 나오기를 강권 함에도 불구하고 북미 양자회담이나, 체제생존과 안전을 보장 받기 전에는 6자회담에 나오지 않겠다고 말하고 있다. 북한, 이란만이 아니라 이 지구상에 있는 모든 국가들이 세계평화 구축을 위해 이를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각국의 이익에 기초한 제국들 간의 경쟁적인 질서구축이 아니라 그 지역 내, 특히 한반도 내 인간 안전보장을 위한 새로운 공생적 평화적 질서구축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세계 기독교 교회들이 정의로운 평화와 갈등조정을 위해 애써 해 온 평화교육의 실패를 성찰하고 반성해야만 할 것이다. 미국 기독교인들의 평화교육은 사랑과 화해 평화 만들기를 목적으로 민주주의와 정의에 입각한 판단력과 도덕성을 강조함에도 전쟁과 애국심이라는 국가적 선택 앞에 침묵하는 대다수 성인 미국민들의 모호하고 부정적인 태도를 보면서 기독교교육의 한계와 무력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지금까지 평화교육의 대상이 주로 청소년 층만을 대상으로 삼아 온 교회교육이었던 것도 반성해야 할 것이다. 분쟁이란 특별한 콘텍스트 안에 있는 동료 인간들에 대한 정의와 평화 사랑으로 껴안을 수 있는 기독교공동체로 변형되기 위한 긴박한 교육목적을 실현할 수 있는 평화교육이 절실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미국과 일본 중국, 러시아 같은 군사, 경제적 강대국들의 제국적 지배 패권과 그들의 승리의 행복이 그들 사이에 낀 작은 나라 국민들의 행복일 수 없다는 것을 역사적 사례를 들어 고찰하려는 것이다.
더보기In the Post Iraqi War era, United States of America became the power of the world that forms the hegemony of the world. Peace in the Northeast Asia is one of the key issue of organizing the symbionic multi dimensional relations on the bases of China as an emerging agents together with U. S. A. as the competing empires of the international networking. Declaration by the DPR Korea on nuclear regime is a new challenge in the NPT regime. CTBT and NPT have been fundamentally challenged in the post-Iraqi War era, for the Christian peace education. It is necessary for Christian peace education to make the people understand the nature and the concepts of the division of Korea, the cause, prejudices, reductionism of the historic tragedy of the oppressive division and the struggles for liberating the situations and the victims. Christian peace education shold be able to teach the conflict resolutions, values of humanity and life, culture of peace and of anti-peace. Women's role should have been respected critically interms of their contributions with the culture of 'Sallim', making life alive. Muliple intelligences and positive differentiation with the concept of Missio Dei and ortho-praxis is the key for Christian peace education, theory and praxis in the history of clash of civilizations of Confucian native people in Korea and of the Catholic and Protestant missionaries, which created the misunderstandings of the gospel of love, sacrifices and respects of other people of faith and of civilizations, instead of war, conquerings and colonial occupations in the name of evangelism. Christianity has been misused by the empires. The Shifting of power relations in the theory and practice in the concept of Clash of Civilizations in Samuel Huntington, should be recognized and new tactic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future of peace making in the Christian peace education.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