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특집: 테크놀로지와 주거의 인문학 : 현대건축과 소통의 인터페이스 -디지털스킨과 감각적,미적 "살" 공동체- =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Interspace of Communications -“Digital skin” and Sensual-Aesthetic Community of “Flesh”-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00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34(30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최근에는 IT 기술, 센서, 조명, 예술이 결합된 미디어 파사드가 현대건축 외피 장식의 트렌드가 되어 근대 건축의 획일화된 그리드와 삭막한 도시를 감성적이고 개성 있는 얼굴들로 변모시켜 놓았다. 본 논문은 이런흐름 속에서 미디어 파사드의 화려하고 역동적인 디지털스킨이 현란한 디자인, 과잉광고의 스펙터클, 최첨단 영상기술의 효과를 실험하는 화려한 디스플레이로 전락하지 않고, 공공의 상호작용적 소통의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는가를 인간의 피부기능과 연관해 살펴보았다. 우선 디지털스킨의 생체모방적 특징을 기술 그 자체보다 인간과 기계의 공생, 기술 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한 시몽동(G. Simondon)의 기술철학을 매개로 메를로퐁티(M. Merleau-Ponty)의 생명체의 자기조절 질서와 지각적인 상징적 질서에 대한 현상학적 시각과 ‘심리적 싸개’로서 피부개념을 연구한 정신분석가 앙지외(D. Anzieu)의 관점에 근거해 탐문해 보았다. 나아가 건축외부와 내부의 경계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디지털스킨이 진정한 소통의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는가를 메를로퐁티 ‘살’ 존재의 특징인 감각적 공통지대의 연결성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현대건축의 미디어 파사드는 외부 자연환경에 반응하며 스스로 형태와 색이 변화해 다채로운 표피 디자인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거주민들의 몸짓과 감각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소통의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진정한 사회적 소통의 장이 되기 위해서는 피부촉각에 반응하는 공감각적 소통은 유지하되 완전히 몰입하지 않는 거리를 통해 디지털스킨이 만들어 내는 빛의 이미지와 기호들을 사심 없는 반성적 시각으로 바라볼수 있는 미적 체험의 필요성이 요구됨이 드러났다. 그래야만 일방향의 환상적인 스펙터클을 제공하며 카니발적 도취만을 유도하는 미디어 스크린에 전적으로 몰입만 하는 체험과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요컨대 디지털스킨의 이미지와 기호들이 휘발성 강한 이벤트와 디지털 스트레스로 전락하지 않기 위해서는 감각적인 상호작용적 체험과 함께 지역민들을 참여, 결속시킬 수 있는 양질의 콘텐츠가 뉴미디어, 예술, 인문학 학제 간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게다가 디지털스킨은 감각적이면서도 순수한 미적 체험 외에 정보접근과 활용에 균등한 기회를 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 그 결과 현대건축은 단순히 거주 너머 소통의 인터페이 스이자 사회적 플랫폼이 되어 잠재적인 사회소통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몸의 공감각을 매개로 미디어 파사드와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스마트폰으로 결핍된 감성적 커뮤니티의 결속감도 회복시켜 새로운 사회적‘살’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다.
더보기In recent times, the so-called “media facade” that combines information-technology (IT), sensors, lighting, and arts has emerged as a new trend in exterior decoration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has transformed the stereotyped grid and dreary urban cities in modern architecture into sentimental and originative ones. This paper has examined how,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splendid and dynamic “digital skin” of “media facade” has been transformed into the interface of public interactive communications rather than being degraded into a brilliant display that experiments flash design, spectacles of exaggerated advertisements, and the effects of cutting-edge audiovisual technologies. First of all, this study ha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skin” based on, first, Merleau-Ponty’s phenomenological view of self-controlling order and the perceptual, symbolic order of living things and, second, psychoanalyst Didier Anzieu’s view of the concept of “skin” as a psychological wrapper - with the philosophy of technology by Gilbert Simondon, who emphasized a symbiosis between man and machinery and the importance of technological culture, as a medium of reference. Furthermore, this study has figured out whether “digital skin” that transforms information in a boundary between the exterior and the interior can establish a community of genuine communications in relation to a sensual common zone which is characteristic of Merleau-Ponty’s idea of the existence of “skin.” As a result, this study has found that “media facad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not only shows diverse epidermal designs by reacting to the outside natural environment and by changing its patterns and colors by itself but also functions as an interface of communications that conveys messages by sensually interacting with the gestures of residents. The study also found that, in order for “media facade” to function as a field of social communications, it requires aesthetic experience with which it could reflectively face the images or symbols of light produced by “digital skin” by maintaining a distance with which it can sustain multisensory space - reacting to a sense of touch with skin - but cannot be absorbed in it. This is based on a conclusion that only then “media facade” can offer one-sided fantastic spectacles and maintain a distance with the experience of totally immersed in media screen that induces carnivalous absorption. In short, in order to prevent the images of symbols of “digital skin” from being degraded into volatile events and digital stresses, both “sensual and interactive experiences” and “quality contents” that can induce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consolidate them should be developed through interdisciplinary research among the studies of arts and humanities. Besides, “digital skin” should be given equal opportunities in terms of not only sensual and pure aesthetic experiences but also access to information and utilization. Then, contemporary architecture will develop into an interface of communications and social platforms beyond the meaning of residence and will be able to realize its value of social communications. Besides, “digital skin” can help create a new community of new social “flesh” by recovering the consolidation with the community of emotion - which lacks in the community of smartphones -- as it interacts with “media facade” through the medium of multisensory body.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3-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Humanities | KCI등재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7-29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인문과학연구소 -> 인문학연구원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for Humanities -> Institute for Humanities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 | 0.4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5 | 0.35 | 0.858 | 0.2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