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공간의 다이나믹스 분석
저자
김도훈 (숙명여자대학교 행정학과)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2
작성언어
Korean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7-116(40쪽)
제공처
소장기관
This study summarized the concept of cyberspace systemically, and presented the development structure of cyberspace through discussing 1) how replace existipg physical space with cyberspace and interact with. them 2) what is optimal linkage structure between cyber space and physical space.To diagnose the possibility and actuality of digitalization in empirical aspect, I implemented survey research about possibility of digitalization of government functions. TIlls study introduced digital index (DI) for measuring the possibility of digitalization of government functions. Digital Index (DI) is composed of four sub indexes: possibility of digitalization, economic efficiency, dependency on other factors, and requirement of physical functions.
With the introduction of digital Index, the most important 16 government functions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o what extent those functions could be digitalized. Possibility of digitalization was used here to indicate the extent to which government functions and services can be processed and provided on the internet, cyber space.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all government functions were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groups. First types of government functions are those? with high possibility of digitalization and low necessity of linking those functions to physical space. This type of government functions can be well implemented and provided in the cyber space alone.
Second types of government functions are those with high possibility of digitalization and high necessity of linking those functions to physical space. TIlls type of government functions need to be implemented and provided both on the physical space and cyber space as well at the same time. These functions need to be ir?plemented both on the cyber and physical space at the same time to be most efficiently implemented.
The third types of government functions are those that can be implemented more efficiently on the physical space rather than on the cyber space. These functions are most efficiently and effectively implemented in the physical space rather than cyber space. Thus, digitalization of
government functions need to be proceeded in accordance with these classification of government function to get the most out of the government digitalization project.
This study addressed positive effect and ability of linkage space, not divided space, as well as scheme overcoming the functional limits of physical space and cyberspace by rearranging key functions of government at both space.
본 논문은 전자공간의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전자공간이 기존의 물리공간을 어떻게 대체해 나가며 상호 작용랗 것인지와 물리공간과 전자공간이라는 이질적인 두 공간이 기능연계를 통해 발전적으로 융합해 나갈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논의를 통해 물리공간에 기반을 둔 전자공간의 단계론적 발전구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실증적인 측면에서 정부부문의 전자공간화 가능성과 현실을 진단하기 위해, 정부기능을 분류하여 정부기능의 디지털화 가능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부문의 전자공간화 가능성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서 디지털화 지표를 도입하였다. 디지털화 지표는 해당 정부기능을 디지털화 하는 것이 기술적?제도적으로 가능한가를 의미하는 디지털화 가능성 측면과 해당 기능을 디지털화 하는 것이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한가를 검토하는 디지털화 경제성 측면, 디지털화된 기능의 활용이 다른 요인들에 의존적인가 그렇지 않은가를 판단하는 디지털화 의존성 측면, 그리고 해당 지식정보 관련기능이 물리공간과의 연계를 어느 정도 필요로 하는가를 평가하는 물리공간과의 연계 필요성 측면이라는 네가지 하위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디지털화 지표로 정부기능을 네가지 차원에서 점수를 부여해 봄으로써 정부기능들을 그 종류에 따라 전자공간 상에서 충분히 수행될 수 있는 기능과 물리공간 상에서 수행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정부기능 그리고 전자공간과 물리공간이 적절히 조화되는 융합공간 상에서 제공되는 것이 더 효율적인 기능으로 구분해 보았다.
본 연구는 전자공간의 기능발달 단계를 물리공간과의 관계속에서 모색해 보고 양 공간의 장점을 적극 활용하여 정부를 구성하는 주요 기능을 전자공간과 물리공간 중 보다 효율적이고 경쟁력있는 공간에 재배치 함으로써 물리공간이 갖는 기능상의 한계점과 전자공간이 갖는 기능상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분리된 공간이 아닌 융합공간이 갖는 발전적 효과 및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