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노동시장은 성평등해지고 있나? : ‘젠더 갈등’과 노동시장의 성별 격차 = Is the Labor Market Becoming Gender Equal?: ‘Gender Conflict’ and the Gender Gap in the Labor Market
저자
신경아 (한림대학교)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Korean Women's institute Ewha Womans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7-81(35쪽)
제공처
이 연구는 한국 노동시장에 존재하는 성별 격차의 변화 추이를 살피고 그 특징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두 가지이다. 첫째, ‘젠더 갈등’의 핵심적 지점으로서 노동시장의 젠더 불평등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다.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정치·경제·사회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청년들을 중심으로 ‘젠더 갈등’이 문제가 되어 왔다. 이 현상의 이면에는 고용 영역에서 발생하는 젠더 불균형과 차별이 있지만, 이와 관련된 사실 규명과 해석은 부족했다.
이 연구의 결과 지난 20여 년간 한국 노동시장에서 전개되어 온 변화가 성별 불평등을 구조적으로 개선해 왔다는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다. 20대 여성들의 노동시장 진출이 늘고, 30대 여성들의 결혼과 출산 지연으로 인한 노동시장 잔류와, 30-40대 여성들의 이탈 후 재진입이 늘고 있지만, 그것이 성별 임금 불평등의 획기적인 축소라는 효과로 이어지지는 못하고 있다. 생애 기대 임금에서 여성은 여전히 남성과는 다른 구조와 궤적, 낮은 수준의 범위에 머물고 있다. 여성 내부의 차이도 확대되어 대기업과 중소·영세기업,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격차는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여성의 고학력화와 노동시장 진출 확대가 가져온 노동시장 변화와 그로 인한 고용과 임금 등 노동조건에서의 성별 격차를 해소하려는 정책적 노력이 더욱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ing trends of gender gaps in the Korean labor market and to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There are two reasons why such research is necessary. First,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gender inequality in the labor market as a key point of ‘gender conflict.’ Recently, in Korean society, ‘gender conflict’ has become a problem, especially among young people, due to the complex interaction of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factors. Behind this phenomenon are gender imbalances and discrimination occurring in the employment sector, but there have been many misunderstandings and distortions in the investigation and interpretation of facts related to this.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an not say that the changes in the Korean labor market over the past 20 years have reduced gender inequality. Although the number of women in their 20s entering the labor market is increasing, the number of women in their 30s remaining in the labor market due to delayed marriage and childbirth, and the number of women in their 30s and 40s re-entering the labor market after leaving the workforce are increasing, this has not led to a reduction in gender wage inequality. In terms of lifetime expected wages, women still have different structures and trajectories from men, and remain in a low-level rang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