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젠더화 된 계층 경험과 페미니즘에 대한 태도 : 20대 하층 계층 여성들의 젠더 불평등에 대한 간파와 제약 = Gendered Experiences of Social Status and the Formation of Political Attitudes : Focusing on the Feminist Attitudes of Women in Their 20s from Lower Social Status
저자
추지현 (서울대학교)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Korean Women's institute Ewha Womans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23-156(34쪽)
제공처
여성들의 젠더 불평등에 대한 간파나 문제의식 확장을 제약하는데 계층은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청소년기 및 초기 성인기를 “홀로” 살아온 것으로 이야기하는 20대 여성들에게 낮은 계층적 지위가 경험된 방식을 중심으로 이 과정을 탐색했다.
이 여성들은 계층적 지위를 남성중심적 이성애 관계와 서비스 노동 중심으로 경험했고, 그 과정에서 여성의 섹슈얼리티가 남성의 경제력과 등가 교환되지 못하는 강제적 이성애 및 외모 관리가 강력한 노동 규준으로 작동하는 서비스 노동시장에 편입해 생존할 수밖에 없는 자신의 위치를 간파했다.
하지만 섹슈얼리티 이외의 대안적 생존 자원 부재, 서비스 노동시장의 강력한 성별직무분리 관행은 전통적 성역할 규범의 자연화와 여성 노동자간 소외를 야기하면서 젠더 불평등에 대한 집합적 저항 문화의 형성을 제약했다. “홀로” 생존하는 과정에서 구조화된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 경로 및 디지털 페미니즘 담론의 한계 역시 이들로 하여금 직관과 부분적 지식을 우선하게 만들었다. 여하한 사회자본 없이 생존해 온 삶에 대한 자부심은 역설적으로 능력주의와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 수용을 심화시키며 젠더 구조의 변혁을 꾀하려는 페미니즘 정치에 대한 소극적 태도를 형성했다.
How does social status influence the formation of young women’s attitudes toward feminism today? This study explores this process by focusing on the ways in which low socioeconomic status has been experienced by women in their 20s who describe having lived 'alone' during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These women experienced social status primarily through male-dominated heterosexual relationships and service labor. In the process, they penetrated their position as one where women’s sexuality is not equally exchanged with men’s economic power, compelling them to survive in a service labor market where compulsory heterosexuality and appearance management operate as powerful labor norms.
However, the lack of alternative survival resources beyond sexuality and the strong gender-based job segregation in the service labor market led to the naturalization of traditional gender role norms and alienation among female workers, hindering the formation of a collective culture of resistance against gender inequality. The structured use of digital platforms and the limitations of digital feminist discourses in their survival strategies further prioritized intuition and partial knowledge. Paradoxically, pride in having survived without any social capital deepened the acceptance of neoliberal ideologies such as meritocracy and individual accountability, fostering a passive attitude toward feminist politics that seek to transform gender structure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