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사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지도교수의 인식 조사 = A Survey of the Mentor's Perceptions about the Mentorship Program of the Science Gifted Educational Center Attached to Universi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86-201(16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ntors' perception of the goal of the gifted education center and the mentor's opinion about the mentorship program. The mentors were selected among professors teaching the science gifted students at the science gifted educational center attached to 20 universities. The questionnaires were sent to 142 mentors in 20 universities, and 46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evaluation of the degree of enthusiasm and research ability of the selected students in the science gifted educational center attached to university was usually above average. Second, it was evaluated that the research topic selection was appropriate, and the research period was over the average. However, it showed negative to the research funding for the mentorship programs. In spite of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mentorship program, 44% of the survey participating mentors answered that the current mentorship program needs to be improved. Third, in terms of performance of mentorship program, the mentors responded positively to students' research ability, creativity,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ontribution of mentee to improvement of intellectual curiosity. However, in spite of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mentorship program, 44% of the survey mentors mentioned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of the present program.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main elements of the curriculum, the overall average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as 3.90 and 3.53, respectively.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research topic and the instruction of the mentorship program were evaluated to be high, but the satisfaction of the science gifted educational center was the lowest.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each element of education, all elements except the research topic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mprovements in student selection, management of the mentorship program, and the goal and evaluation of the program were suggested.
더보기본 연구는 전국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사교육의 문제점 및 지향 목표에 대한 지도교수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전국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사사교육 학생을 지도하고 성과발표회에 참가한 27개 대학의 과학영재교육원에 사사교육 지도교수를 대상으로 하여 대학의 사사교육 담당 지도교수 142명에게 온라인 설문지를 발송하여, 최종적으로 응답한 46명의 설문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사교육 지도교수들은 현재의 사사교육 학생 선발 과정의 적합성과 선발된 학생들의 열의 및 연구 수행 능력에 대해 대체적으로 보통 이상이었다. 둘째, 사사교육 수행 과정과 관련하여, 연구 주제와 학생 연구 논문 지도수준은 평균 이상, 연구 장비 및 기자재 지원과 교육 및 연구 기간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보통 수준의 평가를 보였다. 그러나 사사교육을 위한 연구비 지원에 대해 보통 이하의 부정에 가까운 인식을 나타냈다. 셋째, 사사교육의 성과 측면에서, 조사대상 지도교수들은 학생들의 연구 능력, 창의성 및 과학적 문제 해결력, 지적 호기심 향상에 미치는 사사교육의 기여도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사사교육의 성과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도 불구하고, 현행 사사교육 과정의 전반적 개선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대해 조사 참여 지도 교수의 44%가 현행 사사교육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는 응답을 보였다. 넷째, 사사교육 과정의 주요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중요도의 전체 평균은 3.90, 만족도의 전체 평균은 3.53으로 중요도가 더 높았다. 사사교육의 연구 주제와 실험 지도의 중요도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 반면, 과학영재교육원의 지원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사사교육 각 요소별 중요도와 만족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연구주제를 제외한 모든 요소에서 중요도와 만족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 선발 과정 및 학생 자원 관리, 사사교육의 수행, 사사교육의 목표 및 성과 평가의 측면에서 필요한 개선점을 제언하였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12-22 | 통합 | KCI등재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7-10-3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Science Education Society for the Gifted | KCI후보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9 | 0.19 | 0.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7 | 0.36 | 0.78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