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erbivore men (草食(系)男子 Soshoku(-kei) danshi) and heroines through Japanese social culture =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erbivore men (草食(系)男子 Soshoku(-kei) danshi) and heroines through Japanese social cultur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87-211(25쪽)
제공처
소장기관
2000년대에 들어 일본 사회문화 현상으로 화두가 된 “초식계남자” 또는 “초식남”이란 용어는 정착되어 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초식남이란 `외모나 능력은 남에게 떨어지지 않으나 연애에 소극적인 젊은 청년의 모습을 초식동물과 동일시한 말`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청년상은 일본을 대표하는 국민작가인 나쓰메 소세키(Soseki Natsume)와 무라카미 하루키(Haruki Murakami) 작품에 이미 나타나 있다고 볼 수 있다. 두 작가의 대표작 “마음(kokoro)”과 “상실시대(Norweigian Wood )”의 주인공은 모두 초식남으로 볼 수 있다. 두 작품에 등장한 두 주인공은 남에게 매력을 느끼게 하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본인의 소극성으로 인하여 연애와 인생에 비극을 초래한다. 특히, “마음”작품에서는 주인공 본인이 자살하게 되고, “상실시대”작품에서는 여주인공이 자살하고 만다. 같은 초식남 주인공이지만 달라지는 결말 차이는 어디서 발생한 것일까?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인공(초식남)에 대한 여자주인공의 모습을 고찰하여, 주인공(초식남)과의 관계 및 결말에 담겨져 있는 작가의 메시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The term “herbivore men”, which has recently become a hot topic in the Japanese socio-cultural phenomenon, is being settled. The term herbivorous men is defined as young men who are like herbivores who have abilities and appearance great as any other, but introverted when it comes to dating.
However, these types of men are already shown in the novels of Soseki Natsume and Haruki Murakami, who are two of Japan`s represented authors. The main characters of two author`s main works, “Kokoro” and “Norweigian Wood” can be seen as herbivore men. These two characters have the advantages of others falling for their charisma, but due to their passiveness, they cause tragedy with their love and life. Especially in “Kokoro,” the character commits a suicide and in “Norweigian Wood,” the female protagonist ends up committing a suicide. Although both men were herbivorous, where did the difference happen in the storyline where one ends up dead and the other doesn`t?”
Therefore, the purpose and the rang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behavior of the main character(herbivorous men) towards the female character to find out the author`s message in the relationship and the ending of the stor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