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2000년 이후 한국의 중국 근대도시사 연구 동향과 과제(2001~2020) = The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Researches on Chinese Modern Urban History(2001-2020)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iew changes and development of Korean research studies on Chinese modern urban history focusing on research outcomes of Chinese modern urban history in the domestic academia from 2001 to 2020.
    Since the 1990s, interest in urban space has been accumulated as the Asian history world of Korea attempts to historically understand cities. In history research studies, urban space is now understood not only as a product of history, but also as the sum of multilayered relations of various leveled-social powers. The theme of research was mostly expanded from politics, society, and economy such as political conflict or development of commerce/industry in urban society to urban administration, disease and hygiene, urban culture, and identity of city and its members. In the perspective of research, analysis on city was moved toward the direction of interpreting and examining the spatial nature of city by exploring human activities with correlations and interactions of urban space. In the aspect of research method, there were new changes of utilizing non-textual materials such as theater art and printed art.
    Like this, Korean research studies on Chinese modern urban history have achieved eye-opening results i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pects. Concerns about the nature of modern urban space paid attention to its coloniality and recovery of the right of urban space. Now, interest in urban space right should be more expanded to explore the right of urban space open to every urbanite. In the future, this is expected to become a research task we can inquire into as a “practical activity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lternative urban culture based on participation and solidarity”.

    더보기

    이 글은 2001년~2020년까지 국내 학계의 중국 근대도시사 연구 성과들을 중심으로 국내 중국 근대도시사 연구가 내용 면에서 어떠한 변화 발전을 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1990년대 이래 한국의 동양사학계에서 도시를 역사적으로 이해하려고 하면서 도시 공간에 대한 관심이 축적되었다. 이제 역사 연구에서 도시 공간은 역사의 산물이자 다양한 층차의 사회 세력들이 맺은 중층적 관계의 총합으로서 이해되었다. 연구의 테마는 주로 도시 사회의 정치적 갈등이나 상공업 발전과 같은 정치, 사회, 경제 연구가 중심이던 것에서 도시행정, 질병과 위생, 도시문화, 도시와 도시 구성원의 정체성 등으로 확장되었다. 연구의 시각도 인간의 활동과 도시 공간의 상호관계 및 상호영향을 탐색하면서 도시라는 공간의 성격을 규명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극예술, 인쇄 미술 등 비문자 자료를 활용하는 등 연구 방법 면에서도 새로운 변화가 나타났다.
    이처럼 한국의 중국 근대도시사 연구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괄목할 만한 성과를 쌓아왔다. 근대적 도시 공간의 성격에 대한 고민은 그 식민성과 도시 공간의 권리를 회복하는 것에 관심이 집중되었다. 이제 도시 공간권에 대한 관심을 더욱 확장시켜 도시 공간이 도시인들 모두에게 열려있어야 할 공간의 권리를 탐색하는 것으로 나아가길 바란다. 이는 “참여와 연대성에 기초한 대안적 도시문화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활동”으로서 앞으로 우리가 천착할 수 있는 연구과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 1 尹輝鐸, "?滿洲國? 奉天市 각 民族의 居住環境 및 職業上의 位相" 중국사학회 24 : 247-278, 2003
    • 2 "회고와 전망"
    • 3 임상범, "혁명시대의 일상 폭력 - 20세기 전반기 베이징의 거리에서 계속되었던 금전 문제들" 한국중국학회 (55) : 257-283, 2007
    • 4 민유기, "한국 도시사 연구에 대한 비평과 전망" 역사학연구회 (64) : 131-162, 2007
    • 5 민유기, "한국 도시사 연구 지형도와 향후 전망" 창간호 2009
    • 6 손재현, "프랑스의 租界 확장에 대한 天津 시민의 대응 -1916년 老西開 사건을 중심으로-" 대구사학회 3 (3): 257-306, 2004
    • 7 한지은, "탈식민주의 도시 상하이에서 장소기억의 경합"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 (20): 43-61, 2008
    • 8 조병한, "총설" 183 : 2004
    • 9 이성규, "총설" 175 : 2002
    • 10 정영구, "청말민초 중국의 음식문화의 변화와 설탕소비경향" 중국사학회 (124) : 151-185, 2020
    • 11 박경석, "중화민국시기 上海 小報와 매체공간의 대중화" 중국근현대사학회 (69) : 71-99, 2016
    • 12 김미정, "중일전쟁시기 北京이란 문화공간 - 周作人의 경우를 중심으로 -" 영남중국어문학회 (54) : 353-376, 2009
    • 13 이철원, "중국의 근대문화 형성과정에서 上海 租界의 영향" 중국문화연구학회 (15) : 537-552, 2009
    • 14 이학로, "중국근대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역사학회 (199) : 281-305, 2008
    • 15 이원준, "중국공산당의 도시 접관(接管)정책과 하얼빈 통치방침의 변화" 도시사학회 (13) : 87-122, 2015
    • 16 이원준, "중국공산당의 도시 접관 정책과 ‘신민주주의혁명’" 역사문제연구소 (117) : 282-308, 2016
    • 17 이원준, "중국공산당의 도시 接管과 지하공작노선의 변화 - 1948년 후반기 北平 지하공작 분석을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53) : 421-450, 2015
    • 18 배경한, "중국 근현대사 강의" 한울아카데미 2021
    • 19 유연실, "중국 근현대 의료사 연구의 새로운 흐름과 동향" 호남사학회 (77) : 1-49, 2020
    • 20 장동천 ; 오명선, "점령지 상하이 사람의 자화상 그리기 ― 리젠우(李健吾)의 번안극 ≪진샤오위 金小玉≫에 숨겨진 의미" 중국어문연구회 (65) : 281-305, 2014
    • 21 김광재, "전후 上海한인사회의 전시 대일협력 인식 - 교민신문 大韓日報 기고문을 중심으로 -" 한국사학회 (115) : 335-380, 2014
    • 22 이재령, "일제강점기 上海 韓人學生의 유학생활과 근대 경험" 중국근현대사학회 (70) : 23-51, 2016
    • 23 윤형진, "일본 점령기 北京의 주민조직과 그 유산" 역사학회 (228) : 385-415, 2015
    • 24 조정은, "의료선교사의 눈으로 본 근대 도시 상하이의 시작" 명청사학회 (47) : 243-275, 2017
    • 25 조정은, "위생이냐, 이윤이냐―근대 상하이 도시위생과 상수도" 역사문제연구소 (126) : 300-320, 2019
    • 26 신규환, "연구 주제의 다양화와 기층사회 연구의 심화: 중국현대사 연구(2018-19)와 의료사 연구(2010-19)" 역사학회 (247) : 301-337, 2020
    • 27 김주용, "심양(봉천) 근대도시화의 양면성" 한국사학회 (85) : 159-196, 2007
    • 28 백태경 ; 김철권, "식민도시의 공간형성과 Segregation에 관한 연구 : 1898-1931년의 하얼빈을 중심으로" 한국아시아학회 8 (8): 147-162, 2005
    • 29 김승욱, "상해, 현대 중국의 도시 실험" 37 : 2009
    • 30 김승욱, "상해 상인사회 동향 네트워크의 근대 이행" 중국사학회 (37) : 171-213, 2005
    • 31 이병인, "상해 '도시민'의 형성 - 이주, 적응, 그리고 생존" 중국근현대사학회 (27) : 2005
    • 32 정혜중, "상하이화보 속의 헐리우드 영화와 독자대중 ―1926-1937년 『良友畵報』를 중심으로―" 이화사학연구소 (41) : 83-106, 2010
    • 33 오일환, "상하이(上海) 지방문화의 특색에 관한 연구-지배적 문화주체의 영향을 중심으로-" 중국연구소 30 : 549-562, 2002
    • 34 유용태, "비평논문-중국현대 (1911~)" 역사학회 (183) : 299-323, 2004
    • 35 홍영미, "베이핑의 도시 활성화 방안 수립 과정 -난징국민정부 초기의 관광 진흥정책을 중심으로-"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9) : 417-455, 2020
    • 36 홍영미, "베이핑( 北平)의 재정실태와 관광 진흥 논의― 난징 국민정부 초기의 사회적 논의를 중심으로" 도시사학회 (25) : 39-72, 2020
    • 37 윤형진, "민국(民國) 후기 북경(北京)의 경찰과 인구 관리" 인문과학연구소 (73) : 321-354, 2015
    • 38 강경락, "무역 상품 구성 변화를 통해서 본 근대 텐진(天津) 무역: 제1차 세계대전 전후 시기를 중심으로" 아세아문제연구원 50 (50): 11-40, 2007
    • 39 김택민, "동양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역사학회 (199) : 195-207, 2008
    • 40 차혜원, "동양사 분야의 회고와 전망: 팬데믹 시대의 동양사 연구" 역사학회 (255) : 143-165, 2022
    • 41 민유기, "도시이론과 프랑스 도시사 연구" 심산 2007
    • 42 "도시연구, 2009~2020"
    • 43 배영수, "도시사의 최근 동향: “역사의 공간적 차원”" 17 : 1995
    • 44 이동진, "기획서평 : 상해의 슬럼가 주민과 도시 정치" 1 : 2009
    • 45 박경석, "근대중국의 여행 인프라와 이식된 근대여행- 中國旅行社의 설립과 활동을 중심으로 -" 중국사학회 (53) : 203-237, 2008
    • 46 임상범, "근대중국에서의 범죄학의 성립과 범죄-형법, 범죄학의 도입과 베이징 주민의 대응" 중국근현대사학회 (31) : 159-184, 2006
    • 47 서원남, "근대시기 중국 공공도서관의 설립과 발전에 대한 고찰" 중국사학회 (121) : 139-163, 2019
    • 48 강경락, "근대무역과 천진의 공업" 중국근현대사학회 (53) : 97-127, 2012
    • 49 천성림, "근대 중국 여성의 직업세계" 동양사학회 (96) : 103-148, 2006
    • 50 조정은, "근대 중국 도시위생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이론, 제도화, 환경정비" 도시사학회 (23) : 35-59, 2020
    • 51 렌지동, "근대 중국 도시-향촌관계 연구의 시각과 쟁점" 5 : 2011
    • 52 박상수, "근대 중국 都市史 연구의 시각과 전망" 4 : 2010
    • 53 이호현, "근대 속 상해영화 : 1930년대 좌익영화를 중심으로" 역사학연구회 (66) : 237-267, 2008
    • 54 조병환, "근대 상하이 차관(茶館)의 공간구조에 관한 고찰" 중국인문학회 (60) : 433-452, 2015
    • 55 조정은, "근대 상하이 도시위생과 세균설의 수용" 도시사학회 (18) : 65-94, 2017
    • 56 김승욱, "근대 상하이 도시 공간과 기억의 굴절" 중국근현대사학회 (41) : 115-140, 2009
    • 57 조정은, "근대 상하이 공공조계 우두 접종과 거주민의 반응: 지역적‧문화적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의사학회 29 (29): 121-164, 2020
    • 58 김형열, "근대 山東 도시 교육문화 환경의 변화" 부산경남사학회 (67) : 219-250, 2008
    • 59 이원준, "국방전략의 관점에서 본 1940년대 建都論爭 — ‘陸防論’과 ‘海防論’의 경쟁을 중심으로 —" 중국근현대사학회 (79) : 133-164, 2018
    • 60 金亨洌, "靑島의 개항과 山東 內地 경제구조의 변화" 중국사학회 (44) : 209-228, 2006
    • 61 신규환, "陰陽生에서 統計調査員으로-1930年代 北平市政府의 衛生行政과 近代的 死亡統制" 중국근현대사학회 (29) : 63-90, 2006
    • 62 河世鳳, "近代中國의 新聞廣告 讀解 ―辛亥革命 前後(1905-1919)의 『申報』廣告―" 중국사학회 19 : 235-270, 2002
    • 63 林相範, "近代中國에서 首都警察의 成立―1901년부터 1928년까지 北京을 중심으로―" 동양사학회 82 : 2-62, 2003
    • 64 조정은, "近代 衛生論의 소개와 上海<<衛生白話報>>" 중국사학회 (115) : 105-134, 2018
    • 65 金 亨 洌, "近代 濟南의 人口流動과 都市問題" 중국근현대사학회 (37) : 51-71, 2008
    • 66 김형열, "近代 濟南地域 商業經濟의 發展" 중국사학회 (40) : 311-331, 2006
    • 67 姜 京 洛, "近代 中國 對外貿易을 통해 본 中國經濟 ― 對外貿易이 天津과 背後地 市場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 중국근현대사학회 (37) : 27-49, 2008
    • 68 박혁순, "見聞錄에 비친 근대 상해의 거리와 문화" 역사문화학회 9 (9): 287-315, 2006
    • 69 신규환, "衛生의 槪念史: 淸末民國期 中西醫의 衛生論" 국학연구원 (138) : 179-223, 2007
    • 70 金泰丞, "紀律과 更生―1930年代 上海 游民習勤所의 游民管理―" 동양사학회 85 : 7-282, 2003
    • 71 신규환, "環境과 衛生 ― 淸末民國期 北京의 都市環境과 衛生改革 ―" 동양사학회 (99) : 123-156, 2007
    • 72 손재현, "淸末 列强의 天津支配와 都市의 變化- 天津都統衙門의 統治를 중심으로 -" 대구사학회 79 : 177-218, 2005
    • 73 李學魯, "淸末 新政時期 淸朝의 鴉片政策과 中國의 禁煙運動" 중국사학회 (50) : 253-292, 2007
    • 74 김택경, "淸末 奉天의 경찰과 도시관리" 중국사학회 (114) : 149-185, 2018
    • 75 김택경, "淸末 北京 경찰기구의 통합과정 ― 역사적 컨텍스트를 중심으로 본 북경 경찰의 성립 ―" 동양사학회 (144) : 289-338, 2018
    • 76 신규환, "民國時期 北京의 衛生改革과 ‘環境運動’" 42 : 2009
    • 77 박경석, "民國時期 上海 友聲旅行團과 ‘레저 여행’" 중국근현대사학회 (38) : 63-84, 2008
    • 78 김태승, "民國時代, 上海人 意識의 形成과 市場體制" 43 : 2001
    • 79 신규환, "日本占領期 콜레라 流行과 北京의 衛生行政 (1937-1945)" 중국근현대사학회 (51) : 81-109, 2011
    • 80 신규환, "日本占領期 北京 똥장수의 日常生活과 糞業改革(1937-1945)" 한국중국학회 (67) : 159-181, 2013
    • 81 鄭文祥, "日常生活을 통해 본 1930年代 上海 學生社會" 중국근현대사학회 (21) : 65-93, 2004
    • 82 임지환, "抗戰時期의 天津錢莊(1937-1945)" 중국사학회 (127) : 169-205, 2020
    • 83 金亨洌, "山東 濟南의 商埠 건립과 도시 근대화" 부산경남사학회 (62) : 101-129, 2007
    • 84 강경락, "天津近代貿易과 綿業" 역사교육학회 (42) : 323-360, 2009
    • 85 任 桂 淳, "國際都市, 香港을 통해 본 中國史" 중국사학회 (40) : 333-382, 2006
    • 86 李丙仁, "國民政府의 勞動政策과 上海 勞動界" 75 : 2001
    • 87 "國內 東洋史關係 論文要目"
    • 88 윤형진, "南京國民政府의 首都建設과 近代的 都市計劃" 48 : 2010
    • 89 김택경, "南京國民政府時期 北平市公安局 政治訓練部의 성립과 변천" 중국근현대사학회 (77) : 117-148, 2018
    • 90 김택경, "北洋政府시기 北京 경찰의 인원팽창과 그 함의" 동양사학회 (146) : 351-394, 2019
    • 91 金承郁, "北京政府時期 上海 銀行業의 制度的 지향" 11 : 2001
    • 92 임상범, "北京地域 警察官의 構成과 그 變化" 중국근현대사학회 (27) : 1-36, 2005
    • 93 임상범, "北京 地域 警察本部의 組織 - 1928년부터 1949년까지-" 대구사학회 1 (1): 229-268, 2005
    • 94 辛 圭 煥, "助産士의 制度化와 近代的 生育管理 -1930年代 北平市政府의 衛生行政과 出生統制-" 중국사학회 (42) : 199-232, 2006
    • 95 李昇輝, "五三十事件과 上海 公共租界 工部局" 중국근현대사학회 (21) : 39-63, 2004
    • 96 車雄煥, "中國現代(1911~)" 역사학회 175 : 395-421, 2002
    • 97 서원남, "中國 傳統 藏書樓의 衰退와近代式 圖書館의 誕生" 중국사학회 (114) : 123-147, 2018
    • 98 김태승, "上海人의 上海, 중국인의 上海" 2 : 2009
    • 99 田寅甲, "上海人의 ‘모던’과 生活文化 - 『生活週刊』의 분석" 17 : 2003
    • 100 최은진, "『新家庭』 잡지와 1930년대 상하이 ‘신가정’" 이화사학연구소 (41) : 51-81, 2010
    • 101 최낙민, "“東方의 巴黎”, 근대 해항도시 上海의 도시이미지 - 프랑스조계를 중심으로 -" 부산경남사학회 (75) : 131-158, 2010
    • 102 이병인, "‘모던’ 上海와 韓國人이 본 上海의 ‘近代’, 1920-1937" 중국사학회 (85) : 125-157, 2013
    • 103 최낙민, "‘동양의 런던’, 근대 해항도시 上海의 도시 이미지- 공공조계를 중심으로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297-317, 2014
    • 104 이원준, "‘과거’로부터 ‘미래’를 그리다(Ⅰ): 1940년대 중국의 북방 建都論과 ‘역사’의 동원" 한국중국학회 (94) : 353-379, 2020
    • 105 김태승, "‘4. 12 쿠데타’ 이후 상해의 노동자와 국가-1927년에서 상해사변까지 상해 도시사회의 헤게모니 투쟁과 노동자" 5 : 2011
    • 106 신규환, "Reorganizing Hospital Space: The 1894 Plague Epidemic in Hong Kong and the Germ Theory" 대한의사학회 26 (26): 59-94, 2017
    • 107 박강, "<淸末民初 上海의 煙館>" 한중인문학회 (17) : 193-216, 2006
    • 108 李昇輝, "20세기초 上海女性의 지위와 문화" 17 : 2003
    • 109 김승욱, "20세기 초반 韓人의 上海 인식 ― 공간 인식을 중심으로 ―" 중국근현대사학회 (54) : 121-144, 2012
    • 110 윤은자, "20세기 초 南京의 한인 유학생과 단체(1915―1925)" 중국근현대사학회 (39) : 25-51, 2008
    • 111 白 永 瑞, "20세기 전반기 중국인의 홍콩 여행과 근대체험―또 하나의 경계를 넘어서―" 중국근현대사학회 (34) : 97-112, 2007
    • 112 신규환, "20세기 전반 北京의 都市空間과 衛生 ― 空間의 再編과 龜裂을 중심으로 ―" 동양사학회 (128) : 385-423, 2014
    • 113 강경락, "20世紀 前半期 天津近代貿易과 農産物市場" 중국근현대사학회 (45) : 21-49, 2010
    • 114 金承郁, "20C 초 上海에서 浙江, 江蘇系 금융집단의 형성" 중국근현대사학회 (21) : 1-38, 2004
    • 115 任桂淳, "19세기 후반기 국제 항구도시, 홍콩의 서양인사회" 중국사학회 (44) : 245-277, 2006
    • 116 김기효, "19세기 상해 지역의 발달과 無賴의 존재형태" 역사문화연구소 (54) : 29-60, 2015
    • 117 김희곤, "19세기 말~20세기 전반, 한국인의 눈으로 본 상해" 역사문화학회 9 (9): 249-285, 2006
    • 118 李和承, "19세기 上海 會審公해의 탄생과 中西 상업분쟁" 중국사학회 (44) : 149-190, 2006
    • 119 김승욱, "1990년대 중국 상해의 역사경관 소비와 기억의 굴절" 역사학회 (241) : 35-76, 2019
    • 120 이원준, "1940년대의 北京 建都論과 戰後의 ‘新中國’ 구상" 중국근현대사학회 (76) : 207-243, 2017
    • 121 이원준, "1940년대 南京建都論과 근대 중국의 海防論" 중국근현대사학회 (85) : 131-167, 2020
    • 122 정문상, "1930년대 중반 上海 대학생의 新生活運動과 軍事文化의 확산" 한국중국학회 (85) : 275-299, 2018
    • 123 조병환, "1930년대 상하이 도시문화와 잡지의 현대성 역할-≪無軌列車≫, ≪新文藝≫, ≪現代≫를 중심으로-" 중국인문학회 (33) : 219-235, 2006
    • 124 신규환, "1930년대 北平市政府의 전염병대책과 위생행정" 역사학회 (190) : 129-173, 2006
    • 125 유연실, "1930년대 上海의 “電影皇帝” 金焰과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만들기" 호남사학회 (38) : 389-426, 2010
    • 126 유현정, "1930년대 上海市政府의 公營集團住宅 管理 -平民住所를 중심으로-" 연세사학연구회 43 : 145-180, 2019
    • 127 이호현, "1930年代上海‘新女性談論’의 企劃 -『申報』와 『晨報』의 영화평과 독자평을 중심으로-" 중국사학회 (70) : 329-350, 2011
    • 128 李丙仁, "1930年代 上海의 區域商圈과 消費生活" 17 : 2003
    • 129 이호현, "1930年代 上海와 할리우드 映畵 -<<申報 -電影專刊>> 할리우드 映畵評과 ‘不怕死’案을 중심으로-" 중국사학회 (76) : 151-178, 2012
    • 130 李丙仁, "1926년 上海의 自治市 建立運動" 45 : 2002
    • 131 손재현, "1920年代 天津 南開大學生의 學校生活과 愛國運動" 중국사학회 (120) : 151-184, 2019
    • 132 정문상, "1920-30년대 上海의 대학교육과 청년학생의 사회 개혁 활동 - 시장, 정치권력 그리고 학생운동" 호서사학회 (85) : 423-456, 2018
    • 133 裵京漢, "1920, 30년대 上海의 衛生" 17 : 2003
    • 134 손재현, "1919년 천진총상회의 네트워크와 사회적 역할" 대구사학회 120 : 267-304, 2015
    • 135 김승래, "1910년대 上海 公共租界 工部局의 시정 권력 강화 과정 -독일·오스트리아 居留民問題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26) : 147-186, 2014
    • 136 김송림, "1910~40년대 상하이(上海) 인쇄미술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 연구"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6 : 305-330, 2018
    • 137 임지환, "1900년대 초 中國 錢庄의 滙劃 制度" 24 : 2001
    • 138 신규환, "1894년 홍콩 페스트의 유행과 동화의원의 공간변화" 도시사학회 (19) : 7-33, 2018
    • 139 이학로, "1870年代 上海 申報의 鴉片啓蒙運動" 명청사학회 (25) : 327-350,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