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儒家의 天命論고찰 = A Study on Confucian fatalism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53-176(2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이 논문은 西周시대의 天命論을 계승한 孔子의 天命論이 孟子와 荀子를 거치는 동안 어떻게 계승되고 변천되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특히 천명관의 가역성과 불가역성에 초점을 두고 孔孟荀의 차이점을 규명했다. 孔子는 仁을 통해 사람의 주체성을 강조했지만, 天命論에서는 여전히 西周시대의 天命觀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孔子의 天命論은 국가 차원과 개인 차원 모두 運命決定論이라 할 수 있다. 孟子는 孔子의 天命論을 대체로 계승했으나, 天命의 가역성 측면에서 근본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 국가 차원의 天命을 보면, 孔子는 제한적인 조건에서 하늘을 주체로 하는 天命의 가역성을 주장한 반면, 孟子는 사람을 주체로 하는 天命의 가역성을 주장했다. 개인 차원의 天命을 보면, 孔子는 天命의 불가역성을 주장한 반면, 孟子는 사람의 의지와 노력으로 天命을 바꿀 수 있는 가역성을 주장했다. 苟子는 孔孟의 天命論을 일부 계승한 측면도 있으나, 보다 적극적으로 天命을 바꿀 수 있다고 보았다. 荀子의 天命論은 역성혁명론을 계승했다는 점에서 孟子의 天命論과 유사성이 있으며, 가역성을 더 강조했다는 점에서 국가 차원과 개인 차원 모두 運命可能論으로 볼 수 있다. 다만 天命의 가역성 측면에서 孟子보다 더 강하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This paper examines how Confucius' fatalism, which inherited the fatalism of the Western Zhou period, was inherited and transformed through Mencius and Xunzi. Although Confucius emphasized the subjectivity of people through humanity, his fatalism still does not deviate much from the fatalism of the Western Zhou period. Therefore, Confucius' fatalism can be said to be a fate-determining theory at both the national and individual levels. Mencius generally inherited Confucius' theory of fatalism, but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in terms of the reversibility of fatalism. At the national level, Confucius insisted on the reversibility of the fatalism of heaven under limited conditions, while Mencius insisted on the reversibility of the 命 of heaven under limited conditions. When looking at the fatalism of the emperor at the individual level, Confucius insisted on the irreversibility of the fatalism of the emperor, while Mencius insisted on the reversibility of changing the fatalism of the emperor with human will and effort. Xunzi inherited some aspects of Mencius' fatalism, but he also believed that one could actively change one's fate. Xunzi's Theory of Fate is similar to Mencius' Theory of Fate in that it inherited the theory of dynamic revolution, and can be seen as a fate-enabling theory with strong reversibility at both the national and individual level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