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사이버펑크 애니메이션에 구현된 서양과 동양의 디스토피아 미학 비교 탐구
저자
발행기관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Korean Society of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657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03-132(30쪽)
제공처
디지털 기술과 미디어 발전에 따라 다양한 유파의 공상과학 작품이 소설에서 디지털 미디어로 점차 발전하고 있으며, 많은 시각 서사 분야에서 디스토피아 애니메이션은 흥미롭고 사람을 깊이 생각하게 만드는 유파이다.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복잡한 핸드페인팅 그리고 서양 애니메이션의 컴퓨터에 의해 생성된 스펙터클에 이르는 디스토피아 서사는 관객을 압박, 감시, 생존 위험이 가득한 상상의 미래 세계로 이끌었다. 디스토피아를 구현한 애니메이션 연구는 현대적 존재의 복잡성을 이해하는 경로이다.
본 연구는 주로 사이버펑크 애니메이션을 사례로 하여 사이버펑크 애니메이션에서 구현된 디스토피아 미학 요소를 탐구하고, 동양과 서양의 디스토피아 미학 특징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애니메이션 <아키라>(Akira), <공각기동대>(Ghost In The Shell)를 비롯한 일본식 디스토피아 미학과 <사이버펑크: 엣지러너>(Cyberpunk: Edgerunners)로 대표되는 서양식 디스토피아 미학에 대한 비교를 통해 서양 디스토피아 미학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문화 배경에 따른 애니메이션 미디어의 디스토피아 미학 구축을 깊이 이해하고, 예술과 문화 그리고 사회의 교차점을 더욱 광범위하게 토론하고자 하였다.
With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media, science fiction works of various genres have gradually evolved from fiction to digital media. Within the vast field of visual narratives, antiutopian animation is a fascinating and thought-provoking genre. From the intricately hand-drawn worlds of Japanese anime to the computer-generated landscapes of Western animation, anti-utopian narratives transport viewers to imagined futures filled with oppression, surveillance, and existential danger. The study of anti-utopian animation is also a gateway to understanding the complexity of our contemporary existence.
This paper explores the elements of anti-utopian aesthetics in cyberpunk animation as an example,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Eastern and Western anti-utopian aesthetics in cyberpunk animation, and explores th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between Japanese and Western anti-utopian aesthetics by comparing Japanese anti-utopian aesthetics represented by the animations Akira and Attack on Titan and Western anti-utopian aesthetics represented by Cyberpunk Edge of Reach. This paper aims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Japanese anti-utopian aesthetics in different cultural contexts. This paper aims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how different cultural contexts shape anti-utopian aesthetics in animated media and contribute to a broader discussion of the intersection of art, culture and society.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