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본 여악 = YEOAK (Female Entertainer) in view of Feminism
저자
이미영 (국민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1-48(28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Traditional society did not have sufficient condition to raise or to develop specialists and enthusiasts. Instead, if such a figure appeared and showed his talents, the society obstructed his way and hindered him. Restriction on status was strict, consciousness or aim was uniform, and even occupation was restricted. Under such circumstances, it was impossible to open up a new field and to establish one' name in the field with ordinary courage and tenacity. Especially, what kind of image appears to you in the case of "a woman in Chosun Dynasty"? You will recall a self-giving woman toward a man, a strong mother toward her children, and a weak and powerless person in the social aspect. In such situations of the times, there were many women who could not fully demonstrate their ability in spite of their competence; we can say that typical examples are Shin-Saimdang, Heo-Nanseolheon and Hwang-Jinyi for instance. Besides above woman writers, it is believed that many other women must have existed whom we do not know. A lot of YEOAKs belong to this category, who, as Gisaeng status to be almost the lowest class of people, confidently pioneered their own area and exhibited their spirits with same values and mentality as noblemen. Among many YEOAKs, this study intends to look into lives and works being handed down up to now in view of feminism for Unsim from Milyang, the best dancer in 18th century, and Nongae from Jinju, a righteous Gisaeng in 16th century. These two YEOAKs, as legendary figures, laid the foundation of the birth of the famous "Milyang Geummu" and "Nongae SalpuriChum" in later generations. This study is to give a view of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of dancing and woman from the aspect of feminism and to research feminism tendency appearing in the works. Through YEOAKs in view of feminism,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utilization method of Korean creations based on YEOAK together with a new angle on YEOAK. Any time in the past, a woman could not be recognized as a sound person only because she was a woman and she was a dancer and furthermore, no atmosphere was created to properly evaluate her capability. Especially, dancing by a woman itself was treated as a crime under the patriarchal atmosphere of Chosun Dynasty. Such being the case, this study has a meaning that reinvention of YEOAK to today's creations with focus on feminism's view is historically, socially and culturally necessary to suggest new performing arts methods and creations utilization ways in addition to fresh research approaches.
더보기전통사회는 전문가와 마니아를 양성하거나 계발할 조건을 충분히 갖추지 못했다. 아니 어쩌다 그런 인물이 등장해서 끼를 발산하면 그 길을 막고 방해했다. 신분의 제약이 엄격했고 의식이나 지향이 획일적이었으며 직업까지 제한받았다. 이러한 분위기아래에서는 새 분야를 개척해 그 분야에서 일가를 이룬다는 것이 보통의 용기와 집념으로는 불가능하다. 특히 ‘조선 시대의 여성’이라고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를까? 남성 앞에서는 희생적이며, 자식 앞에서는 강한 어머니, 사회적으로는 아무런 힘이 없는 나약한 존재가 떠오를 것이다. 이러한 시대상황 속에서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능력을 마음껏 발휘하지 못한 여성들이 많았는데 대표적으로 손꼽히는 사람이 신사임당(申師任堂), 허난설헌(許蘭雪軒), 황진이(黃眞伊)등이라 하겠다. 이와 같은 여성 문학가들 이외에도 우리가 알지 못했던 알려지지 않은 여성들이 많이 존재했으리라 생각한다. 여기에는 천민에 가까운 기생신분으로 자기만의 영역을 당당하게 개척하고 사대부들과 같은 가치관과 정신세계를 갖고 의기를 보인 여악들이 있다. 즉 여러 여악들 중에서 밀양출신 18세기 최고의 춤꾼 운심과 진주출신 16세기 협기 논개, 두 여악을 대상으로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그들의 삶과 이에 따라 현재까지 전해지는 작품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두 여악은 전설적 인물로서 후대에 “밀양검무”와 “논개살풀이춤”이라는 명작이 탄생하게 된 초석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무용예술과 여성과의 관계를 조명하고, 작품에서 보여지는 페미니즘 성향에 대한 연구이다. 페미니즘으로 본 여악을 통해, 여악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함께 여악을 소재로 한 한국창작의 활용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과거 어느 시대나 단지 여성이라는 것, 그리고 춤을 춘다는 것만으로도 온전히 그 존재자체를 인정받지 못하고, 그 능력을 제대로 평가하는 분위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조선시대에 가부장적 분위기에서는 여성이 춤춘다는 것 자체가 죄인처럼 취급받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여악을 페미니즘의 시각에 초점을 두고 오늘날 창작 작업으로 다시 재창조한다는 것은 연구접근방법의 신선함과 함께 새로운 공연문화방식과 창작활용방안 제시에 있어서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필요한 시도라는 데 본 연구 의의가 있다 하겠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3-0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 Journal of Korea Dance -> The Journal of Korean Dance | KCI후보 |
2013-08-2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Dance Research Association -> The Society of Korean Dance Studies | KCI후보 |
2013-06-1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무용연구회 -> 한국무용연구학회영문명 : The Society Of Korean Dance Studies -> Korean Dance Research Association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7 | 0.57 | 0.6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8 | 0.7 | 0.789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