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SCOPUS
SCIE
사람의 제2형 당뇨병성 신증의 신조직내 TGF-β-inducible Gene-h3의 발현과 유용성-면역조직화학적 분석- = Renal Expression and Usefulness of TGF-β-inducible Gene-h3 in Human Type II Diabetic Nephropathy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목 적:신장 베타 변형성장인자 (TGF-β)계의 활성화가 당뇨병성 신증의 주요 인자로 알려져 있다. TGF-β는 비활성형으로 생성되어 생물학적 활성도를 갖는 형태로 변형되는데, 최근에 TGF-β inducible gene-h3 (βig-h3)가 TGF-β에 의해 유도되는 유전자로써 알려지면서 TGF-β의 활성도를 시사하는 유전자로 인정받고 있다.
방 법:금번 실험에서는 제2형 당뇨병성 신증의 전형적인 조직소견과 임상소견을 보이는 사람을 대상으로 신 조직 내 βig-h3 발현을 보았고, TGF-β1과 그 제2형 수용체 및 Smad3에 대해서도 면역조직학적 염색을 시행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이번 분석에서 βig-h3가 신조직내에 분포하는 양상을 보면, 당뇨병성 신증의 11예 중 5예는 사구체에, 7예는 세뇨관에 염색이 증가되어 있는 소견이 있었고, 정상 대조군의 경우 사구체나 세뇨관 모두 전혀 발현되지 않았다. TGF-β1의 염색 결과, 정상 조직에서는 전혀 염색되지 않는 양상을 보인 반면, 당뇨병성 신증에서는 사구체에서는 11예 중 3예와 세뇨관에서는 11예 중 1예에서 과염색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통계학적인 의의는 없었다. TβRII의 염색 결과, 세뇨관 발현은 정상과 별 차이가 없었으나, 사구체는 당뇨병성 신증인 경우 11예 중 6예에서 과염색된 반면, 정상에서는 3예 중 1예에서 과염색되어 당뇨병성 신증에서 증가되어 있었다. Smad3의 염색 결과, 당뇨병성 신증과 정상 모두 사구체 및 세뇨관에 발현되었고, 단위 사구체 당 염색된 세포의 수로 비교하여 당뇨병성 신증에서 49.1±0.3으로 정상 (40.9±0.8)에 비해 약간 증가하였다.
Background:Activat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 system has been implicated in the pathological change of diabetic nephropathy such as renal hypertrophy and accumul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In tissues, TGF-β is secreted as a biologically inactive complex requiring in vivo activation. Thus, increased TGF-β1 mRNA or protein may not necessarily reflect parallel changes in TGF-β1 biologic activity. TGF-β1 inducible gene-h3 (βig-h3) is a novel gene uniquely up-regulated by active TGF-β1.
Methods:For evaluating the βig-h3 protein expression in human diabetic nephropathy, we examed the expression of βig-h3 protein, TGF-β1, TGF-β type II receptor (TRII) and Smad protein intranuclear translocation by immunohistochemistry in human diabetic nephropathy tissues (n=11) and normal renal tissue (n=3).
Results:The βig-h3 protein was expressed in diabetic tubular epithelium (diabetes vs. normal 7/11 vs. 0/3) and diabetic glomerulus (diabetes vs. normal 5/11 vs. 0/3). The tubular expression was stronger than the interstitial expression. The TGF-β1 was expressed in diabetic tubular epithelium (diabetes vs. normal 1/11 vs. 0/3) and diabetic glomerulus (diabetes vs. normal 3/11 vs. 0/3). The TGF-β type II was expressed more in diabetic glomerulus (diabetes vs normal 6/11 vs. 1/3). But in the tubule, the expression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The number of intranuclear translocation of Smad protein in glomerulus (diabetes vs normal 49.1±0.3 vs. 40.1±0.8) was increased in diabetes, but the tubular manifestation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We propose that TGF-β system mediates human diabetic nephropathy through βig- h3 protein expression. The βig-h3 protein expression could be a useful marker expecting of disease activity and progres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KCI등재 |
2011-11-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외국어명 : 미등록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2-2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 KCI등재 |
2007-02-2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1 | 0.21 | 0.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4 | 0.1 | 0.422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