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분과 : 식생 및 야생동물 ; 길동생태공원 나비군집 특성에 따른 식생관리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Vegetation Change and Management of Characterization of the Butterfly Community of Gildong Ecological Park, Seoul, Kore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등재정보
01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3-64(2쪽)
제공처
격리된 도시숲이지만 습지, 초지, 저수지, 산림 등 다양한 서식지를 유지하고 있는 길동생태공원은 1999년 개장 이후지속적인 종 조사를 하고 있다. 이 조사를 분석하여 도시숲의 서식지 조성이나 복원, 이후 관리에 응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어떤 지역의 환경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지표생물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이 중 나비는 조사가 쉽고 다양성이 높으며 생활사가 잘알려져 있으며, 환경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육상생태계의 지표생물로 적합하다. 나비처럼 식물을 주식으로 하는 곤충을 식식성곤충이라 하는데 나비는 식식성 곤충 중에서도식물을 먹고 사는 종이 가장 많기(99%) 때문에 식물과의 연관성이 높으며, 먹이 식물에 대하여 그간 많은 연구가 되어 있는 터라 공원의 14년간 나비 군집의 변화를 통해, 다른도시숲에서도 좀 더 다양한 나비의 서식이 가능하리라 보인다. 조사는 서울시에 위치한 길동생태공원(이후 길동)에서 실시하였다. 길동은 국내 두 번째로 조성한 공원으로 80,683m2의 면적으로 식물은 약 450여종이 있다. 공원 뒤쪽으로는 삼봉산이라는 작은 야산이 이어져 있고, 찻길 건너는 일자산 공원이 위치하고 있다. 나비조사는 정해진 루트를 천천히 이동하며 관찰되는 종들을 기록하는 선조사법(Line Transect Method)을 이용했으며, 식별이 어려운 종들은 포충망으로 채집하여 동정 후 풀어주었다. 조사는 관찰로를 따라 습지, 산림지구, 초지, 저수지를 돌며 매년 4-11월까지 년 20-30회 15년간 실시했다. 조사자는 수년간 나비종 조사를 맡은 자원봉사자 나비팀과 곤충전문가가 동행하였다. 연구는 길동 나비의 15년간의 종의 변화를 정리한 후, 1~3회 관찰되는 종을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관찰된 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서식처 유형(Habitat types)과 생태지위범위(Niche breath) 두 가지 측면에서 검토하여 다른 도시숲과 자연림과 비교하여 길동의 특징을 알아보고, 이후 번식유무를 확인한 종을 중복 체크하여 도시숲에서 번식 가능한 종을 추린 다음, 이들의 먹이가 되는 식물을 숲, 숲 가장자리, 초지로 구분하였다. 초지는 습지성과 건조성으로 구분하고, 덩굴식물을 경우 따로 묶어 식재를 할 때 참조하도록하였다. 서식처 유형은 유충의 서식처에 따라 초지종(Grassland Species, GL), 숲가장자리종(Forest edge species, FE), 숲내종(Forest inside species, FI)로 구분하였다.(Kwon et al, 2010), 각 종들의 서식처는 Kim(2012)를 따랐다. 어떤 종의 생물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요구조건을 의미하는 생태지위범위(Niche breath)는 온도, 습도, 시간, 먹이 등 다양한 요인으로 구성된 다차원 가상공간으로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나비의 종별 정보가 거의 완벽한 것은 세대수뿐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생태지위범위를 구분하였다. 여러 시기에 출현하는 다세대종들은 시간을 넓게 이용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일반종(Generalist species)으로, 한 시기에만 출현하는 단 세대 종은 특수종(Specialist species)로 볼 수 있다. 한 시기에만 출현하는 종의 먹이식물이나 흡밀식물의 종류는 여러 번 출현하는 종의 그것에 비해 적을 가능성이 높다. 본 조사에서 나비는 매년 17종에서 68종이 관찰되었고, 2007년 이후 40여종이 꾸준히 관찰되었다. 매년 관찰되는 종은 흰나비과의 노랑나비, 배추흰나비, 대만흰나비등 3종과, 부전나비과의 남방부전나비, 암먹부전나비 등 2종, 네발나비과의 애기세줄나비, 네발나비, 청띠신선나비 등 3종, 팔랑나비과의 왕자팔랑나비 등 1종 등 총 9종이다. 지금까지 관찰된 종 중 흰나비과의 각시멧노랑나비, 풀흰나비(2종), 부전나비과의 금강산귤빛부전나비, 큰녹색부전나비, 쇳빛부전나비, 작은홍띠점박이부전나비(4종), 네발나비과의 암검은표범나비, 암끝검은표범나비, 거꾸로여덟팔나비, 들신선나비, 애물결나비, 먹그늘나비(6종), 팔랑나비과의 줄꼬마팔랑나비, 파리팔랑나비, 황알락팔랑나비, 산팔랑나비(4종) 등 16종은 초기 이후에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꾸준히 관찰되는 종은 총 58종이다. 59종을 서식지유형별로 보면, 초지종(Grassland Species, GL)이 25종(43%), 숲가장자리종(Forest edge species, FE)이 23종(39%), 숲내종(Forest inside species, FI)이 10종(17%)로 도시숲인 홍릉숲과 비교하여 48%, 34%, 17%순으로 유사했으나, 광릉숲에 비해서는 숲내종이 현격히 적었다. 생태지위 범위(Niche breath)는 특수종이 11종(19%), 일반종이 47종(81%)로 조사가 된 홍릉숲(특수종 31% vs. 일반종 69%), 광릉숲(특수종 59% vs. 일반종 41%), 관악산(특수종 48% vs. 일반종 52%) 등과 비교했을 때 일반종이 현격히 높았다. 이것은 도시숲의 일반적인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홍릉숲에 비하여 일반종이 많은 이유는 산림의 면적(길동 8ha, 홍릉숲 41ha)이 적고, 수종(500종<2,000종)이 단순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중 공원에서 번식을 확인한 종은 21종이며, 이들은 GL 11종(52%), FE가 7종(33%), FI 2종(9%)로 비율은 전체종과 유사하나, 숲내종의 경우 목본에 서식하는 경우가 많아관찰이 용지하지 않았을 것이라 생각되며, 초지형 〉 숲가장자리종〉숲내종 순으로 순위는 동일하였다. 생태지위 범위도 특수종이 4종(19%), 일반종이 17종(81%)로 전체 종조사 결과와 동일하였다. 이를 토대로 공원에서 관찰되는 모든 종과 먹이식물을 분석한 결과 왕나비 이외에는 기존에 공원에서 조사했던 식물로 모두 발견되어, 그간 공원에서 관찰된 모든 종은 번식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공원에서 8년 이상 꾸준히 관찰된 종을 서식지유형, 생태지위범위를 고려하며 먹이식물을 숲, 숲가장가지, 초지별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숲은 참나무과 상수리, 갈참, 떡갈, 신갈나무와 느릅나무과 팽나무, 느릅나무였고, 숲 가장자리 종으로는 운향과 산초나무, 장미과 벚나무, 복숭아나무, 조팝나무, 콩과 싸리, 가래나무과 가래나무, 백합과 청미래, 콩과 칡(덩굴성)이 있었고, 초본으로는 벼과 주름조개풀, 큰기름새, 제비꽃과 제비꽃, 현호색과 들현호색, 마과 마(덩굴성)가 분포한다. 초지는 건조지와 습지로 나누었는데, 건조지의 경우 목본은 인동과 각시괴불나무, 인동(덩굴성), 초본은 십자화과 케일, 꽃다지, 장대나물, 돌나물과 돌나물, 콩과 토끼풀, 돌콩, 갈퀴나물, 국화과 떡쑥, 쑥, 벼과 강아지풀, 억새, 삼과 환삼덩굴이 분포한다. 습지에는 목본으로 버드나무과 버드나무와 갯버들이, 초본으로는 십자화과 황새냉이, 미나리냉이, 미나리과 구릿대, 마디풀과 소리쟁이가 분포한다. 이 중에는 환삼덩굴, 토끼풀, 돌콩, 강아지풀, 소리쟁이, 칡, 주름조개풀처럼 흔히 잡초로 분류하여 일반 공원이나 나대지에서 제거되는 종도 다수 분포한다. 지금까지 나비에 대한 연구도 보존상태가 양호한 산림에 집중되어 있거나, 멸종위기종의 종 복원에 집중되어 있고, 도시숲에 사는 나비에 대한 연구나 증진 방안에 대하여는 연구가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앞으로 길동생태공원 외에 서울시내 생태경관지역이나 도시공원, 그 외 도시숲에서도좀 더 개체군 특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새로운 녹지를 조성할 때 위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식재하거나, 녹지를 관리한다면 도시숲의 종다양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