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발달장애를 위한 다차원적 접근의 포용적 디자인 작품 연구 = Inclusive Design Works Through a Multidimensional Approach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7-61(15쪽)
제공처
본 연구는 장애-비장애 통합환경구축과 포용적 디자인에 있어 장애와 디자인의 다차원적 접근 가능성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선 다차원적 접근 틀로 사례를 분석하여, 다양한 구현 방법적 근거와 효과를 타진하였다. 디자인 제안은 현재 장애대상 디자인이 타자화 된 사회적 상황 속에 전개되어 왔다는 판단 하에, 전복적 사고를 통해 물건의 기능을 재정의함으로부터 시작하여, 시계를 재구성하고, 추상적 사고에 맡겨져 있던 시간의 흐름을 직관적으로 체험, 인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었다. 최종 결과물의 의의는 첫째, 장애와 디자인의 다차원적 접근은 통합 환경 구축에 중요한 개념적 전환을 제공한다는 점, 둘째, 진화된 디자인 개념이 장애 대상 제품에 상호교차적으로 적용될 때, 실효적 결과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 셋째, 발달장애 포용적 디자인이 감각 영역에 집중되지 않고 사회성, 인지 등 영역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에 있다. 본 작품연구는 장애 대상 포용적 디자인의 관점과 개념 확장, 방법적 다양성에 기반한 디자인적 시도라는 점에 의의가 있고, 향후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n the viewpoint of disability and design for building a disabled-non-disabled integrated environment and inclusive design.
By analyzing cases through the multidimensional approach framework, various design methods and effects are deduced. The work started by redefining the function of the object through subversive thinking, because it was judged that the current disabled design has been developed in another situation socially.
The clock was reconstructed and was implemented to enable the intuitiv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 flow of time, which had been left to abstract thinking.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multidimensional approach of disability and design provides an important conceptual shift in building inclusive environments. Second, when evolved design concepts are applied interchangeably to products for disabilities, they can lead to effective results. Third,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of inclusive design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o areas such as sociality and cognition, rather than focusing on the sensory area is confirm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design attempt based on the perspective and conceptual expansion of inclusive design for the disabilities and methodological diversity, and it is hoped that the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