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SCOPUS
SCIE
한국인 혈액투석 환자의 빈혈 치료에 있어 Darbepoetin Alfa의 유효성 및 안전성에 대한 제 3상 임상시험 =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Darbepoetin Alfa for the Treatment of Renal Anemia in Hemodialysis Patients
저자
윤수영 (연세대학교) ; 최범순 (가톨릭대학교) ; 양철우 (가톨릭대학교) ; 김용수 (가톨릭대학교) ; 방병기 (가톨릭대학교) ; 주권욱 (서울대학교) ; 김연수 (서울대학교) ; 김성권 (서울대학교) ; 전진석 (순천향대학교) ; 김진국 (순천향대학교) ; 한동철 (순천향대학교) ; 황승덕 (순천향대학교) ; 장재원 (울산대학교) ; 양원석 (울산대학교) ; 박정식 (울산대학교) ; 한대석 (연세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SCOPUS,SCIE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29-440(12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Background:Darbepoetin alfa is a new erythropoietic agent with a three fold longer terminal half-life than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r- HuEPO). The aim of this randomized, open-label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darbepoetin alfa is as effective as r-HuEPO for the treatment of anemia in hemodialysis patients when administered at a reduced dosing frequency.
Methods:A total 74 Korean hemodialysis patients receiving r-HuEPO therapy by either the intravenous (IV) or subcutaneous (SC) route were randomized to continue r-HuEPO or to receive an equivalent dose of darbepoetin alfa at a reduced dosing frequency. Patients receiving r-HuEPO once weekly changed to once every other week darbepoetin alfa, and those receiving r-HuEPO two or three times weekly changed to once-weekly darbepoetin alfa. The initial dose of darbepoetin alfa was based on the r-HuEPO dose at the time of entry into the study, using a formula equating the peptide mass of the two molecules (200 IU r-HuEPO=1 µg darbepoetin alfa). The doses of r-HuEPO and darbepoetin alfa were titrated to maintain hemoglobin concentrations within -1.0 to +1.5 g/dL of patients' baseline values and within a range of 8.0 to 13.0 g/ dL for up to 20 weeks (16-week dose-titration period followed by a 4-week evaluation period). The primary end point was change in hemoglobin level between baseline and the evaluation period.
Results:The mean change in hemoglobin from baseline to the evaluation period was similar in the darbepoetin alfa (-0.03±0.19 g/dL) and r-HuEPO (0.27±0.20 g/dL) group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reatments was -0.30 g/dL (95% CI, -0.84 to 0.23). This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or clinically relevant difference, despite the reduced frequency of darbepoetin alfa administration. The safety profiles of darbepoetin alfa and r-HuEPO were similar.
Conclusion:This study suggests that darbepoetin alfa maintains hemoglobin as effectively as r- HuEPO, but with reduced dose frequency.
목 적:Darbepoetin alfa는 현재 임상에서 상용되고 있는 유전자 재조합 인 에리쓰로포이에틴 (r-HuEPO)과 비교하여 그 반감기가 3배 정도 되는 새로운 조혈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혈액투석 환자의 빈혈 치료에 있어 darbepoetin alfa가 r-HuEPO와 비교하여 투여 간격을 늘여 투여하였을 때 동등한 정도의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r-HuEPO를 정주 또는 피하주사 받고 있는 총 74명의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그 중 35명은 r-HuEPO를 계속 주사하였고, 39명은 동일한 용법 및 투여 경로로 darbepoetin alfa로 대체하여 투여하였다. r-HuEPO를 주 2-3회 투여받던 환자는 주 1회, r- HuEPO를 주 1회 투여받던 환자에게는 2주에 1회씩 darbepoetin alfa를 투여하였으며, 그 용량은 무작위 배정시의 r-HuEPO의 주당 (또는 2주당) 총 용량을 기초로 해서 r-HuEPO 200 단위=darbepoetin alfa 1 µg의 전환식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r-HuEPO와 darbepoetin alfa의 투여량은 총 20주의 관찰 기간 동안 (16주의 용량 조절기간 후 4주간의 평가 기간) 헤모글로빈을 약제 투여 이전의 개인 기저 헤모글로빈치와 비교하여 -1.0-+1.5 g/dL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하였다.
결 과:기저 헤모글로빈 농도와 비교하여 평가 기간의 헤모글로빈의 평균 변화는 darbepoetin alfa 군에서 -0.03±0.19 g/dL, r-HuEPO 군에서 0.27±0.20 g/dL이었다. 따라서 두 군간의 차이는 -0.30 g/dL (darbepoetin alfa 군 - r-HuEPO군; 95% 신뢰구간, -0.84-0.23)로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발생한 이상반응은 두 군에서 비슷하였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KCI등재 |
2011-11-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외국어명 : 미등록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2-2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 KCI등재 |
2007-02-2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1 | 0.21 | 0.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4 | 0.1 | 0.422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