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남북의 농업협동화 경험과 통일농업의 미래: 남의 협업농장과 북의 협동농장을 중심으로 = The Experience of Agricultural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and the Future of Unified Agriculture: Focusing on Cooperative Farms in South Korea and Collective Farms in North Kore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5-193(49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If unification is a process rather than an event that occurs at a certain point in time, then from the present onward, the future of unified agriculture should be based on experiences of agricultural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cooperative farms in South Korea and collective farms in North Korea. South Korea's and North Korea's farms both use agricultural cooperation models that have overcome the problems inherent in decentralized, unplanned, small-scale farming. In an effort to stabilize farmers' living conditions, they also sought to pursue the advantages of large-scale farming through cooperative farming, such as planned co-production, the joint use of agricultural machinery, joint sales, and co-distribution.
Despite certain limitations, South Korea's and North Korea's farms have enjoyed increased productivity through planned production, collective responses to problems, the systematic use of labor, and cutting-edge mechanization. Due to opera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ystems, there are fundamental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lanning as well as in the distribution methods employed. Differences also exist in terms of peasant autonomy and market response, the democratic decision-making structure, and discussion culture. In spite of these differences, the cooperative farms in South Korea and the collective farms in North Korea share some similarities in terms of operation methods related to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f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and unification entail finding a way to co-exist rather than denying the experience of one side and unilaterally imposing the experience of the other, we need to actively explore the future of unified agriculture based on the experiences of both the South and the North. This is what is involv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model for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and an agricultural model of South-North union.
통일이 어느 한 시점의 사건이 아니라 과정이라면, 지금부터 남북이 가진 농업협동화의 경험을 바탕으로 통일농업의 미래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 이때 주목되는 것이 남의 협업농장과 북의 협동농장이다. 남의 협업농장과 북의 협동농장은 분산적이고, 비계획적이며 영세한 농업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농민의 생활 안정을 위해 계획적인 공동생산, 농기계의 공동이용, 농산물 공동판매, 공동분배 등의 협동적 영농을 통해 대농 경영의 유리성을 추구하고자 한 농업협동화 모델이다. 남북의 농장은 현재 일정한 한계에 봉착했음에도 불구하고 계획적인 생산과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집단적 대응, 노동력의 조직적인 사용과 선도적인 기계화를 통해 생산력 증가를 일궈낸 경험을 가지고 있다.
체제운영의 차이로 인해 계획의 수준과 분배 방식, 농민자율성과 시장 대응, 토론문화와 민주적 의사결정구조 등에서 근본적인 차이를 갖지만, 양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남의 협업농장과 북의 협동농장은 생산과 분배 운영방식에 있어서 다소의 친연성을 가지고 있다. 남북의 교류협력과 통일이 한쪽의 경험을 부정하고 한쪽의 경험을 일방적으로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상생과 공존의 길을 함께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한다면, 남의 협업농장과 북의 협동농장 경험을 활용한 통일 농업의 미래를 적극적으로 탐색해볼 필요가 있다. 이는 곧 화해협력과 남북연합의 농업모델을 만들어가는 과정이 될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2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통일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3-2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논총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89 | 1.222 | 0.1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