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연구 논문] 일제 박해시대의 선교유형에 관한 연구 - 장공 김재준의 신사참배 문제에 대한 선교신학적 이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issionary Patterns in the Period of Persecution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 A Missi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Participation in the Shinto Shrine Rite by Kim Chai-cho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5
작성언어
-KDC
230.104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91-229(39쪽)
제공처
소장기관
기독교 역사를 통해 박해시대에 기독교인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박해에 대응했다. 그들의 반응은 저항, 순교, 도피, 순례, 은둔, 순응, 그리고 배교나 변절 등이다. 성서는 이러한 반응들을 담고 있다. 예수의 십자가 사건의 순간에도 그의 제자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부인하고 사방으로 도망했다. 교회가 순교자의 피 위에 건설되었다고는 하지만, 박해시대의 기독교 선교는 역설적으로 박해로부터 도망친 자들에 의해 수행되었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성서 속에서 특정한 선교유형을 발견하려는 것이며, 그러한 성서적 근거로부터 일본 식민지 하에 있던 한국의 기독교인의 반응들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신사참배가 모든 한국인들에게 강요되었을 때, 한국 기독교인들 또한 다양한 방법으로 반응했다. 몇몇은 일제의 강요에 저항했으며, 그들 중 몇몇은 자신들의 신앙 때문에 순교를 했다. 소수의 우리는 국외로 망명을 했지만,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일제의 압력에 굴복하여 신사참배에 참여했다. 이 논문은 선교신학적 관점에서 그들의 반응을 해석하고 박해시대의 특정한 선교유형을 찾아보려는 것이다.
더보기In the period of persecution throughout the christian history, christians have reacted to the persecution in the various ways: resistance, martyrdom, flight, pilgrimage, seclusion, accommodation, and apostasy or perversion etc. We can read these reactions from the Bible. Even at the moment of the Crucifixion of Jesus, his disciples denied their own identities and flied in all direction. Although it is said that the church has been founded upon the blood of martyrs, christian mission in the period of persecution was paradoxically carried out by those who fled from the persecutor. Therefore this is to find out certain patterns of mission in the Bible, and by this to look into the christian reactions of Korea under the Japanese colonialism. When the Shinto shrine rite was forced to all Koreans, Korean christians also have reacted in the various ways. Some resisted to the Japanese forcible demand, and few among them died a martyr for their belief. Some took flight to the outside country, but most of christians yielded under Japanese pressure and participated in the Shinto Shrine rite. This is to interpret their reactions in the missiological perspective and to find out certain patterns of mission in the period of persecution.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