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The Evolution of Chinese New Media Research in 1998-2017—An Analysis Based on Science Mapping by CiteSpace
저자
Zhang, Tianrong (Zhejiang A&F University) ; Li, Hongying (Zhejiang A&F University) ; Zhang, Xiaoman (Zhejiang A&F University) ; Zhao, Kun (Zhejiang A&F University) ; Yu, Fangbo (Zhejiang A&F University)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English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5-153(19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is paper uses the visual analysis software-CiteSpace to analyze the 2, 076 related papers of “Key words=new media or new medium” in the CSSCI database from 1998 to 2017. It analyzes the research status and research hotspots of new media in China, and predicts the future development trend of new media, and provides reference for new media research and development in China. This research adopts the scientific metrology research methods, mainly including word frequency analysis, co-occurrence analysis, co-citation analysis and clustering analysis. The specific technical method is using CiteSpace to visualize the Science Mapping of paper datas, drawing up the Science Mapping of Chinese new media research from 1998 to 2017. The Science Mapping intuitively shows the law of paper growth, the source of paper, the contribution of auth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al distribution of Chinese new media research. It also analyses the research status, research hotspots and research frontiers of new media in China.
There are seven main findings in this paper. First, papers of Chinese new media research increased slowly from 1998 to 2006, and began to flourish in 2007, reaching its peak in 2015. The index curve as a whole showed a straight upward trend, and it will continue to show a thriving development trend in the future. Second, new media research papers are mainly concentrated in news and communication journals, editing & publishing journals and educational comprehensive journals are also published. It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the new media research field to study the influence of new media from the perspectives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edagogy, sociology, art and other disciplines. Third, there are many High-yielding authors on new media research, such as Wang Xiwei, Huang Mingfen, Ji Haiju, Deng Xianglian and Kuang Wenbo. But they are widely distributed and have few cooperative networks. It can form a systematic and highly influential core research. Four, Yu Guoming, Penglan, Chen Lidan, Kuang Wenbo, Guo Qingguang and Ouyang Youquan are High-impact authors and high-cited authors in this field,Yu Guoming is an authoritative expert in new media. Five, the institutions with the highest papers of publications are Communication University of China, Renmin University of China, Fudan University and Jilin University in turn. There is a lack of cooperation and exchanges among institutions, which has not formed a large-scale cooperation network. Six, new media research mainly focuses on media convergence, network public opinion, the Internet, new media art, digital publishing, social media, WeChat, Weibo and other hot spots; media integration is the biggest research hotspot, betweenness centrality=0.62. Last,with the development of media technology, under the background of “Internet +”,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new media technology innovation, content innovation, government media image reshaping, network comsensus management,and educational information application will become the research frontiers of new media in the future.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02-1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CHINA연구 -> Journal of China Studies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China Studies | KCI후보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3 | 0.43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 | 0.44 | 0.532 | 0.2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