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러시아원동지역 초기 한인마을 형성과 러시아의 정책에 대한 재해석 = The Formation of the Early Korean Villages in the Russian Far East and the Policies of the Russian Authorities
저자
반병률 (한국외국어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81-340(60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소장기관
이 논문에서는 1860년대초부터 한러국교수립 이전인 1880년대초까지의 시기에 이루어진 한인들의 러시아이주와 초기 한인마을들(이후 원호인 마을이 되는)의 형성, 그리고 이와 관련된 러시아당국의 정책을 다루었다. 한인이주사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러시아당국의 우호적인 정책 등의 유인적 요인(input)과 조선봉건지배층의 가혹한 정치적 억압과 삼정의 문란으로 인한 농촌파탄과 육진지방에 몰아닥친 흉년 등의 방출적 요인(output)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객관적인 이주환경이 강조된 반면, 이주한인들이 자신들의 어려운 상황을 타개하고자 적극적으로 대응한 주체적 측면이 소홀히 취급되었다. 이 글에서는 이들 월경한인들이 취했던 적극적인 대응과 활동에 주목하면서 특히 러시아당국의 정책을 유리하게 활용하였던 점들에 관심을 기울였다.
대체로 선행연구에서는 사건의 핵심주체인 이주한인들이 수동적 위치에서 언급되어졌다. 그러나 한인이주사에서 월경이주민들이 러시아정부와 조선정부의 정책에 크게 영향을 받은 것이 사실이만, 그 과정에서 한인이주민들이 전적으로 피동적 존재로 머물렀던 것은 아니었다. 러시아와 조선정부의 정책방향을 근본적으로 바꾸지는 못하였지만, 이들 한인이주민들이 한인이주사의 주인공이라는 점이 새삼 강조될 필요가 있다. 초기 한인마을들의 형성은 이주한인들의 적극적인 노력과 이주한인문제들의 처리방안을 고민하던 러시아당국의 정책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결과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이 글에서는 이주와 정착과정에서 러시아측과 한국측 자료를 활용하여 이들 월경이주한인들이 관여했던 사건들을 새롭게 재구성하여 소개하였다. 이주과정이나 정착과정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친 사건들임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들에서는 단편적 또는 분절적으로 다루어진 나머지 이들 사건들과 전후맥락에 크게 주목하지 못했다.
한인들의 이주초기에는 러시아당국이 급작스럽게 몰려온 한인이주민들에 대한 확고한 정책을 수립하지 않았던 관계로 현지 책임자들이 러시아중앙정부의 정책적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현지사정에 맞게 융통성 있게 정책을 결정한 경우가 많았다. 그리하여 이 시기에는 다른 시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한인이주민들의 주체적 요인과 러시아당국의 정책이 잘 맞아 떨어졌던 시기이기도 하다. 그리하여 초기 한인이주사에서는 러시아당국자들이 전반적으로 우호적인 정책을 취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1880년대이후 유럽러시아지역으로부터 러시아인들의 이주가 늘어나게 되고 청국정부의 만주지역 특히 국경지방에 관한 정책적 관심이 고조되면서 이러한 우호적인 정책기조에 변화가 나타나 러시아당국자들이 엄격한 정책을 취하게 되면서 한인이주민들의 역할이 개입될 여지가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1860년대에 조선으로부터 두만강을 건너 무단월경한 한인이주민들에게 러시아당국은 매우 우호적이었다. 이는 새로이 획득한 영토의 조속하고도 절실한 식민화 필요성과 그에 따른 도로 항만 등 기간시설 건설에 필요한 노동력, 주둔 카잨부대에 대한 식량과 채소의 공급이 절실한 때문이었다. 러시아당국의 지원과 승인을 받아 이루어진 한인마을의 형성은 주로 국경지대에 위치했던 러시아카작크부대 또는 국경초소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외국인인 이주한인들을 이렇게 평가한 데 ...
This paper deals with the early Korean emigration to the Russian Far East and the policies of Russian and Korean authorities from the 1860s to 1880s. Previous studies have stressed the conditions of immigration without paying enough attention to the active efforts of Korean immigrants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caused by Korean and Russian officials. To some extent, Korean immigrants were able to change the policies of the Russian and Korean authorities. A couple of incidents, which were initiated by early Korean immigrants, are introduced and reinterpreted.
In the 1860s and 1870s, the central government of Tsarist Russia did not established specific and firm immigration policies towards Korean immigrants. Local Russian officials had the flexibility to occasionally make decisions about Korean immigrants in their own way without disregarding the basic guidelines of the central government. Accordingly, the demands of the Korean immigrants were accepted by local Russian officials. Initially, local Russian authorities took a favorable attitude toward Korean immigrants. However, as the number of Russian farmers migrating from European Russia to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increased in the 1880s, and the Qing Chinese government came to have more interests in encouraging the migration policy to Manchuria, the central Russian government began to establish strict and firm policies toward Korean immigration.
In this paper, it is emphasized that the formation of the early Korean villages was the product of a combination of the active efforts of Korean immigrants and local Russian authorities. To obtain greater stability of border areas and faster colonization of newly-obtained territory, secure labor forces and consistent acquirement of food for garrison Cossacks were considered as essential by the Russian government. The Russian authorities supported the formation of Korean villages, which clearly contributed to the maintenance of Russian Cossack garrisons and border guard posts.
Russian authorities welcomed the early Korean emigrants, due to the fact that Russians themselves were very hesitant to migrate to the geographically distant Far East, which had many transportation inconveniences, a lack of infrastructure for settlement, and a harsh climate. In particular, Russians did not like to move to the border area of the southern part of the maritime Province.
Early Korean immigrants took advantage of early Russian immigration policies that were initially favorable. A couple of incidents involving Korean immigrants show the active roles they played. The first immigration of Koreans to the Tizinkhe River Basin was a combined effort of early Korean immigrants and the chief of the Russian border garrison in Novokievsk. The early Korean immigrants helped as interpreters for the Russian officials, who negotiated with the magistrate of Kyeongheung garrison city.
Early Korean immigrants conflicted with Korean authorities and border guards when trying to bring additional Koreans from their home villages in Korea to Russia. In this process, Korean immigrants challenged the Korean government's strict policy on prohibiting border-crossing by bringing Russians Cossack soldiers to intimidate local Korean officials in Kyeongheung garrison city(慶興). With the backing of Russian Cossack soldiers, they would demand the release of their relatives who had been imprisoned for attempting to cross the border. Early Korean immigrants even crossed the border into Korean territory to aid Koreans who wanted to move to Russia, but were confined by Korean border guards. The Baegan village conflict occurred between Korean villagers and border guards in 1867. The Hasamdong conflict occurred shortly after. Furthermore, there was massive immigration initiated and planned by Korean immigrants shortly after the drift of a Russian ship in Ungi Bay.
Previous works have focused on the efforts of the local Russian authorities which planned and supported the format...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5-3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외대사학 -> 역사문화연구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6 | 0.49 | 1.216 | 0.2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