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수신(修身)과 언어의 관계: 한대(漢代) 유학을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ultivation and Language in Han Confucianism
저자
양순자 (전남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73-193(21쪽)
제공처
수신(修身)’은 공자 이래로 유가 철학의 주요 주제였으며, 동중서(董仲舒)를 비롯한 한대 (漢代) 유가들 또한 이런 전통을 계승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전통적으로 공자를 비롯하여 춘추전국 시대 유가 철학자들은 말을 조심할 것을 강조하였으며 말이 진리를 온전히 담아낼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그들은 수신의 과정에서 언어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러나 한대 유가들은 언어에 대해 강한 신뢰를 보인다. 동중서는 성인이 하늘의 뜻[天 意]에 따라 명칭을 지었다고 본다. 하늘은 비록 말하지 않고 행위 하지 않지만 ‘명(名)’을 통해 자신의 뜻을 드러낸다. 양웅(揚雄)은 “말은 마음의 소리이고 글은 마음의 그림이다” 라고 주장함으로써, 말과 글이 내면을 완벽하게 표현해줄 수 있다고 믿었다. 또한 왕충(王 充)은 동중서와 달리 하늘의 의지 등을 믿지 않는 자연철학자이지만, 말과 글은 그것을 사 용하는 사람의 생각[意]과 감정[情]을 그대로 표현한다고 믿었다.
한대 유가들의 언어관은 수신의 구체적인 방법에 있어서도 변화를 가져왔다. 양웅은 수 신을 위해 성인의 말씀이 담긴 오경(五經)의 학습을 강조하며, 스승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오경을 올바르게 이해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라고 본다. 또한 양웅은 오경의 말씀을 행동으 로 옮기는 것도 중요하지만, 성인의 말씀을 듣는 것만으로도 내면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 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말과 글은 사람의 정(情)을 움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왕충은 ‘논 설(論說)’이 자기 자신을 갈고 닦는 데 중요한 방편이라고 생각했다. 좋은 문장은 마음속 에서 진정으로 우러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문장은 마음을 갈고 닦는 데 효과적이며 더 나 아가 다른 사람을 다스리는 데에도 중요하다. 왜냐하면 다른 사람을 다스리는 데 가장 우 선시해야 할 것은 올바른 도(道)를 정립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한대 유가들은 성인의 말씀을 읽고 들으며 좋은 문장을 쓰는 것이 수신의 좋은 방편이라고 생각했다.
‘Self-Cultivation’ has been one of the major themes of Confucian philosophy since Confucius, and it can be said that Confucianists of the Han Dynasty, including Dong Zhongshu, inherited this tradition. However, Confucian philosophers in Chunqiu and Warring States period traditionally emphasized to be careful with words, and thought that words could not fully express the truth. Therefore, they emphasized refraining from language in the process of self-cultivation.
However, Confucian philosophers in the Han Dynasty showed strong trust in language. Dong Zhongshu believed that a sage made names according to the will of Heaven. Even though the Heaven does not speak or act, it reveals its will through ‘ming [名]’. Yang Xiong also believed that words and writing could perfectly express our inner world by claiming that “words are the sound of the heart and writing is the picture of the heart.” Therefore, if you listen to a person’s words and read her writings, you can see whether she is noble or petty. Unlike Dongzhongshu, Wang Chong was a natural philosopher who did not believe in the will of Heaven, but believed that words and writing express the thoughts and emotions of the person who uses them.
Han Confucian view of language brought about changes in specific methods of self-cultivation. Yang Xiong emphasized the we need to study Five Classics containing the words of sages for self-cultivation, and saw the most important role of a teacher as helping for his students to correctly understand the Five Classics. In addition, he thought that it is important to put the words of the sages into action, but only listening to their words can cause inner change. It is because words and writing can move people's inner world. And Wang Chong thought that ‘discourse’ was an important way to self-cultivation. Since a good sentence comes from the heart, it is effective in cultivating our mind, and furthermore important in influencing others. This is because the first priority in governing others is to establish the right Dao. Therefore, Confucian scholars in the Han Dynasty thought that it is a good way to read and listen to sages’ words and write good sentences for self-cultivat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