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자유글쓰기(Free-Writing)를 활용한 글쓰기 동기부여 전략 = Strategy to Motivate Writing Using Free-Writi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87-212(26쪽)
KCI 피인용횟수
5
제공처
소장기관
본고는 대학의 글쓰기 교과목에서 학생들의 글쓰기 동기를 유발하기 위한 방안으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사전 설문조사에 따르면 여전히 많은 학생들은 글쓰기에 대한 어려움과 부담감을 지니고 있으며, 자신감의 결여와 낮은 흥미를 지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대학이 능숙한 필자 양성에 관한 교육 목적 실현을 위해서는 글쓰기의 동기 유발 전략에 대한 적극적인 고민과 활용 모색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는 자유글쓰기를 수업에 적용하고 그 효과와 사례를 살핀 것이다.
자유글쓰기는 글쓰기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고, 긍정적인 태도를 기를 수 있는 유용한 방안이다. 이 방법의 활용은 학생들이 쉽게 글을 쓸 수 있으며, 글쓰기의 즐거움을 경험하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자신이 쓰고 싶은 내용을 아무런 제약이나 형식 없이 작성하기 때문에 글쓰기에 대한 자신감을 갖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글쓰기 교과목에 참여한 56명의 학생들에게 총 9주에 걸쳐 매주 자유글쓰기를 진행하고 사전과 사후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자유글쓰기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전반부의 4주 동안은 기초적인 자유글쓰기를 실시하였고 나머지 5주 동안은 초점화된 자유글쓰기를 단계적으로 적용하였다.
그 결과 자유글쓰기의 방법이 다수의 학생들에게 교과목표 및 기대감, 자기효능감, 글쓰기 지속의향, 글쓰기 학습태도 등의 향상 효과를 얻게 하였다. 또한 글쓰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으며, 글쓰기 만족도, 글쓰기 피드백과 토론에 대한 만족도 등도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외에도 학생들로부터 자유글쓰기의 활용이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과 부담감을 해소하는데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으며, 많은 도움이 되었다는 답변도 얻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자유글쓰기는 글쓰기 교과목에서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고 동기를 유발하는 방안으로 매우 유용할 뿐 아니라, 학생중심의 글쓰기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긍정적인 방법이다. 차후 대학의 글쓰기 교과에서 이를 다양하게 활용한다면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research applies free-writing to motivate the students to write in writing classes in college. According to pre-survey for the research, it is shown that the students have pressure and difficulties on writing, and they also lack in confidence and have low interests in writing. Therefore, to achieve educational object of colleges to raise mature writers, a strategy is needed to motivate the students to write. Free-writing provokes the students’ interest for writing and fosters positive attitude toward writing. Application of this method helps the student to write easily and experience the joy of writing. In addition, free-writing allows the students to write any content without any restriction, so it also allows them to have confidence in writing.
To effectively apply this method, the 59 students participated in writing class wrote pieces of writing using free-writing style for 9-week research span and they also answered pre- and ex post surveys. The first 4 weeks of the research, basic free-writing was conducted and for the rest of the weeks, focused free-writing was conducted. As the result, the free-writing class brought the improvement in expectations of subject goal, self-efficacy, intension to continue writing, and learning attitude in writing class to most participants. Additionally, it also increased not only interest in writing among students but also satisfaction in writing, and satisfaction in writing feedback and debate. Furthermore, the studen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being relieved from fear and pressure of writing through free-writing and they answered in the survey that free-writing helped them to improve their writing skills.
To conclude, free-writing is significantly useful not only to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of writing classes and motivate the students to write but it is also a positive method which allows student-centered learning of writing classes. Hence, if the colleges adopt free-writing in writing classes enthusiastically,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to improve the writing skills of the student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HUMANITIES STUDIES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6 | 0.658 | 0.1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