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숭고론을 통한 산업유산의 미적 체험 연구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본 논문은 숭고론을 통한 산업유산의 미적 체험에 대한 연구이다. 이제까지 산업유산 컨버전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고도 많았다. 하지만 이제까지의 연구는 산업유산의 컨버전에 해당하는 사례 제시나 분석 또는 산업유산을 컨버전하기 위한 사업시행 제안 등에 한정되어 있을 뿐이다. 산업유산 컨버전이 대부분 문화적인 분야와 관점에서, 특히 미술과 관련된 분야와 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업유산 컨버전이 어떠한 미적 체험을 유발하는지에 대한 논의나 연구는 전혀 시도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은 산업유산의 컨버전에 대한 최초의 미학적 연구이며, 또한 가치 측면, 특히 그 이론적 토대를 숭고론에 바탕을 둔 최초의 미학 논문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의의를 논증하기 위해 칸트(Kant), 쉴러(Schiler), 리오타르(Lyotard)의 숭고 미학에 그 이론적 바탕을 두었다. 우리 시대의 미적 체험에 대한 고민을 산업유산 공간과 결부시켜 논구한 것이다. 무엇보다도 예술과 예술적 체험에서 진리의 징표를 찾고자 하는 철학의 현대적 경향으로 볼 때, 우리 시대의 새로운 미적 체험은 우미 개념으로 대표되는 고전주의적 미 개념으로는 설명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되었으며, 따라서 ‘숭고’라는 미학적 개념을 문화공간과 연결하여 우리 시대의 심미적 체험의 핵심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산업유산의 공간양상, 역사성, 참여성, 장소성 등의 공간 체험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대상으로는 졸퍼라인(Zollverein), 테이트모던(Tate Modern)미술관, 체르노빌(Chernobyl), 군함도(Gunkan Jima) 등 4개의 사례를 선택하였다. 산업유산에 대한 공간 체험은 각 공간이 가진 사회적, 역사적, 예술적, 문화적 무게감, 과거의 기억과 미래적 지향을 추구하는 산업유산의 현대적 변환이라는 논지와 맥을 같이하는 것으로, 본 논문이 의도하는 숭고론 연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핵심을 이루는 산업유산에 대한 숭고의 해석은 수학적, 역학적, 도덕적 숭고론에 바탕을 두었다.
    첫째, 칸트의 수학적 숭고에 따르면 이는 단적으로 큰 것을 의미한다. 바로 이 최대의 것이 절대적 척도로서 수용되는 경우 숭고의 이념이 상정될 수 있다. 99m의 거대한 굴뚝에서 검회색의 연기를 뿜어대며 산업혁명의 위상을 대표했던 뱅크사이드 화력발전소는 테이트모던 미술관으로 탈바꿈하였다. 테이트모던은 칸트가 언급한 것처럼 무한의 감정 속에서 우리의 상상력이 끝없이 확장하는 현상을 보여준 것이다. 인적・물적 어려운 상황에서 미적 공간 변환의 성공을 차지하고도 말이다. 체르노빌 원전사고는 거대함 그 자체이다. 물리적, 심리적, 환경적 거대함이 결합된 총체적 양상의 표본이다. 체르노빌은 영국 대성당의 장엄함, 이집트 피라미드의 거대함이 표출하는 숭고함과 같이, 칸트의 수학적 숭고와 접점의 수위가 매우 높다고 하겠다. 군함도는 가히 산업유산을 넘어 산업혁명유산이라 지칭할 수 있다. 연간 41만여 톤 이상의 최고 출탄 기록, 1960년 도쿄의 인구 밀도 9배의 상회, 폐광까지 약 1,570만 톤의 석탄 채굴 등 규모가 전달하는 의미와 내용 등을 감안할 때, 수학적 숭고의 면모를 충분히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칸트에 의하면 역학적 숭고의 가장 큰 특징은 공포를 수반하는 쾌락이다. 상상력의 고양과 희열이 유발된다는 의미다. 먼저 테이트모던을 살펴보면, 사람들은 낙후되고 폐쇄된 화력발전소가 미술관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통해 경험하게 된 이미지 변화에서 새로운 미적 체험을 경험한다. 폐쇄된 산업유산 공간에 문화적 요소의 투입은 이렇게 공포에서 쾌락으로의 반전을 일으킨다. 99m의 굴뚝은 이제 산업폐기물 연기가 아닌 예술로 승화된 문화의 표상이 된다. 내부의 전시공간은 심미적 체험을 유도하는 숭고의 장으로 그 역할을 한다. 역학적 숭고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체르노빌의 투어리즘이다. 특히 ‘다크 투어리즘(Dark Tourism)’의 내재성을 극대화시켜 집단의 기억과 연결시킨 것이 주효하였다. 공포의 순간을 투어리즘으로 연결시켜 문화적 공간에서 미적 체험을 고양시킨 체르노빌은 공포와 쾌락의 양가적 감정을 절묘하게 균형을 이루게 하는 역학적 숭고의 대표적인 사례다. 리오타르가 언급한 것처럼 불쾌와 쾌의 만남이 승화로 이어지는 것이 바로 역학적 숭고다. 죽음의 섬인 군함도가 생명의 섬으로 탄생될 수 있는 요인이 바로 이것이다. 이는 심미적 체험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설파하고 있다.
    셋째, 숭고한 영혼에게는 도덕적 힘을 통해 충동을 조절하는 정신의 자유가 존재한다는 것이 도덕적 숭고론의 핵심이다. 쉴러는 숭고 개념을 예술 이론에 접목시킴으로써, 현실과 도덕의 갈등을 다루는 비극이 부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테이트모던 미술관의 컨버전은 신축 비용보다 상상할 수 없는 비용이 추가되는 공간변환이 요구된다. 하지만 이것은 과거를 기억하려는 것과 과거의 시간을 현대의 시간과 혼합하려는 예술적 시도라 할 수 있다. 규정을 벗어난 숭고한 영혼에서의 도덕적 선택이자 도덕적 숭고이다. 체르노빌에서 주목할 부분은 기억과 체험을 통한 예술적 숭고의 경험이다. 이는 쉴러의 예술적 견지와 정확히 호응한다. 시간에서는 벗어났지만 혼합된 감정은 체르노빌 공간에서의 미적 체험을 통해 도덕적 숭고가 한층 강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군함도에서는 집단의 기억으로 국가의 집단적 이데올로기가 구현되고 있다. 쉴러가 말한 것처럼 바람직한 이상의 숭고이자 인류사회의 미래 가치인 도덕적 숭고로 더욱 밀착되기 위해서는 일본의 과거에 대한 시인과 사죄가 요구된다. 과거 범죄 장소로서 불쾌와 경악이 주된 이미지인 군함도가 치유의 장소로 전환될 수 있는 가능성이라 하겠다. 단순한 용서의 차원을 지나 치유와 회복이라는 도덕적 가치를 고양할 수 있다는 점도 도덕적 숭고의 본질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산업유산이 현대적으로 재해석되고 우리 시대의 유의미한 공간으로 재탄생되는 과정에서, 어떠한 심미적 가치가 도출되고 또 체험하게 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도출된 숭고적 심미 체험은 고전적 우미 체험과 달리 우리 시대의 현대적 심미 체험으로서 이해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산업유산을 문화공간으로 컨버전하는 시대적 요구에 새로운 단초를 마련한 본 연구를 통해, 숭고론을 통한 미적 체험 연구가 더욱 심화되고, 산업유산의 현대적 재해석이 더욱 활발해지기를 희망한다.

    더보기
    • 목 차
    • 국문초록 ⅰ
    • 목 차 ⅴ
    • 표 목 차 ⅷ
    • 그림목차 ⅸ
    • Ⅰ. 서론 1
    • 1. 연구목적 1
    • 2. 선행연구 검토 4
    • 3. 연구범위 및 방법 16
    • Ⅱ. 미와 숭고 18
    • 1. 미(美)의 개념 18
    • 1) 고전적인 미 20
    • (1) 서양 고대의 미론 20
    • (2) 서양 중세의 미론 22
    • ① 플로티누스의 미 23
    • ② 아우구스티누스의 미 23
    • ③ 스콜라철학의 미 24
    • 2) 근대적인 미 25
    • (1) 경험론과 합리론의 미 26
    • (2) 칸트의 미 27
    • (3) 쇼펜하우어의 미 28
    • (4) 니체의 미 29
    • 3) 현대적인 미 30
    • (1) 서양 현대의 미론 30
    • (2) 현대 예술과 숭고 33
    • 2. 숭고의 개념과 분류 35
    • 1) 숭고의 개념 35
    • 2) 숭고의 미학사(史) 39
    • (1)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의 숭고 39
    • (2) 근·현대의 숭고 40
    • 3) 숭고의 분류 48
    • (1) 칸트의 숭고 48
    • ① 수학적 숭고 50
    • ② 역학적 숭고 54
    • (2) 쉴러의 도덕적 숭고 57
    • (3) 리오타르의 숭고 61
    • 4) 미와 숭고의 차이 65
    • Ⅲ. 산업유산과 미적 체험 68
    • 1. 산업유산의 개념과 가치 68
    • 1) 산업유산의 개념 68
    • 2) 산업유산의 형성 시기 70
    • 3) 산업유산의 가치 71
    • 2. 산업유산과 공간체험 72
    • 1) 선험대상 : 졸퍼라인 72
    • (1) 졸퍼라인의 공간 양상 73
    • (2) 졸퍼라인의 역사성 78
    • (3) 졸퍼라인의 참여성 81
    • (4) 졸퍼라인의 장소성 82
    • (5) 졸퍼라인의 미적 체험 83
    • 2) 분석대상 : 테이트모던 미술관 85
    • (1) 테이트모던의 공간 양상 86
    • (2) 테이트모던의 역사성 90
    • (3) 테이트모던의 참여성 92
    • (4) 테이트모던의 장소성 94
    • 3) 분석대상 : 체르노빌 97
    • (1) 체르노빌의 공간 양상 97
    • (2) 체르노빌의 역사성 102
    • (3) 체르노빌의 참여성 105
    • (4) 체르노빌의 장소성 106
    • 4) 해석대상 : 군함도 108
    • (1) 군함도의 공간 양상 108
    • (2) 군함도의 역사성 115
    • (3) 군함도의 참여성 118
    • (4) 군함도의 장소성 119
    • 3. 산업유산과 숭고의 미적 체험 122
    • 1) 수학적 숭고 122
    • (1) 테이트모던 미술관 123
    • (2) 체르노빌 125
    • (3) 군함도 128
    • 2) 역학적 숭고 130
    • (1) 테이트모던 미술관 132
    • (2) 체르노빌 134
    • (3) 군함도 136
    • 3) 도덕적 숭고 140
    • (1) 테이트모던 미술관 140
    • (2) 체르노빌 142
    • (3) 군함도 145
    • 4) 산업유산의 숭고 체험에 대한 소결론 148
    • (1) 테이트모던 미술관 148
    • (2) 체르노빌 149
    • (3) 군함도 149
    • Ⅳ. 결론 151
    • 참고문헌 156
    • ABSTRACT
    더보기
    • 1 비어즐리, "미학사", 이론과실천사, 1987
    • 2 김홍균, "국제환경법", 홍문사, 2010
    • 3 임진영, "월간 Space", 공간사, 2006
    • 4 김문환, "미학의 이해", 문예출판사, 2000
    • 5 김진엽, 하선규, "엮음, 미학", 책세상, 2007
    • 6 김명자, "원자력 딜레마", 사이언스북스, 2011
    • 7 이추영, "영국현대미술과 테이트", 현대미술관연구 제17집, 2006
    • 8 김정후, "유럽건축 뒤집어보기", 효형출판, 2007
    • 9 남희주, "폐공간 활용 예술공간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10 이재기, "체르노빌 사고현황–그 후 4년", 한국원자력산업회의, 원자력산업 = Nuclear industry, v.10 no, 1990
    • 11 이은화, "21세기 유럽 현대미술관 기행", 랜덤하우스중앙, 2005
    • 12 고맹임, "아포칼립스 이미지와 영상미학", 한국카프카학회, 한국 카 프카학회 , 카프카연구, 15집, 2006
    • 13 강동진, 권영상, 남지현, "산업유산 재활용을 통한 도시재생", 도시정보, 제331호, 2009
    • 14 강동진, "산업유산의 개념과 보전방법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제38권 제2 호, 2003
    • 15 손은신, "기억의 경관에 대한 미적 경험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14
    • 16 안성찬, "숭고의 미학 - 그 기원과 개념사 연구", 서강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0
    • 17 이한나, "도시 공업지역 문화 활동 형성과 변화", 서울시립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4
    • 18 김승희, 이원학, 김종민, "유럽 쇠퇴 도시들의 부활 그리고 시사", 제 184호, 2012
    • 19 박지혜, "문화예술공간 활성화를 위한 방안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4
    • 20 김정후, "발전소는 어떻게 미술관이 되었는가", 돌베개, 2013
    • 21 오병남, "칸트의 미학이론에 있어서 숭고의 개념", 대한민국 학술원, 대한민국학술원 논 문집(인문ㆍ사회과학편), 제47집 제1호, 2008
    • 22 최경화, "소련 체르노빌 핵 발전소의 원자로 파손", 통일한국 통관, 제 30호, 1986
    • 23 이양수, "쉴러 미학(1)아름다움을 교육해야 하는 이유", 한국예술종합 학교신문, 2015
    • 24 최인규, "런던의 새로운 문화 메카, 테이트모던 갤러리", Cheil Communications, 2001
    • 25 박재민, 성종상, "산업유산 개념의 변천과 그 함의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건축 사연구, 제21권 1호, 통권80호, 2012
    • 26 안성찬, "숭고의 미학 – 파괴와 혁신의 문화적 동력", 유로서적, 2004
    • 27 김상원, "장준도, ‘아포칼립스’ 소비방식의 변화 연구", 브레이트와 현 대연극 35권, 한국브레이트학회, 2016
    • 28 곽수정, "유휴(遊休)공간의 문화공간화를 위한 콘텐츠 연구", 국민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07
    • 29 박예나, "국제법상 원자력사고로 인한 국가책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성균관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30 조경식, "프리드리히 쉴러 「미학편지」의 논리구조에 관하여", 유럽사회문화연구소 , 유럽사회 문화 11권, 2013
    • 31 김정용, "“근대 역사문화 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 방안에 관한 연구“", 한 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32 송지연, "스토리텔링 기법으로 본 유휴공간의 문화적 활용에 관한 연 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33 진광배, "춘천시 도시재생을 위한 문화시설의 구성유형과 입지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34 양하백, 장은교, 이순자, "근대 산업유산의 보존ㆍ활용 기본계획 수립 을 위한 기초자료 연구", 국토연구원, 2008
    • 35 김주연, 유희정, 신혜원, "근대산업유산의 유휴공간을 활용한 컨버전 디자인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지, 제3 권 1호 통권23호, 2013
    • 36 노정은, "건축공간의 재생 활용을 위한 컨버전디자인의 전략과 방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 건국대학교, 2008
    • 37 이한기, "“역사적 건물의 미술관전용 사례연구-런던, 테이트모던을 중심 으로-”", 한국박물관건축 회 논문집, 통권 제6호, 2002
    • 38 최귀엽, "도서문화 환경 조성을 위한 박물관ㆍ미술관 건립에서의 입지 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39 김지원, "세계의 소프트시티를 가다<18> 런던 – 랜드마크, 사람 사이 의 벽을 허물다", 한국일보, 2010
    • 40 윤태건, "사회적 애도를 위한 메모리얼 연구 – 그라운드 제로 메모리 얼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41 성종상, "산업 시설 재생의 방향과 전략 연구–그린과 문화를 통한 재 생 사례를 중심으로", 제17집, 2005
    • 42 김민철, 김승은, "군함도, 끝나지 않은 전쟁-군함도에서 야스쿠니까 지, 강제동원 100년의 진실을 밝히다", 민족문제연구소, 2017
    • 43 서길완, "기억, 트라우마, 증언 – 토니 모리슨의 빌러비드 와 솔로 몬의 노래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44 박신의, "「유럽의 폐 산업시설 활용 문화예술공간 연구 – 문화예술경영의 개념적 확장과 연관하여」", 인하대학교 대학원,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45 조연주, "도시재생을 위한 유휴 산업시설의 컨버전 방법에 관한 연구 –문화공간으로 컨버전한 유럽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11
    • 46 김홍기, "독일 산업ㆍ기술문화재로서 폐광산 재생 사례 연구 – 졸퍼 라인 광산 및 코크스 제조소 재생 계획을 중심으로", 대한건축 학회논문집, 제23권 통권 230호, 2007
    • 47 김홍기, "문화예술공간으로 재활용된 산업ㆍ기술문화재 재생사례의 특 성에 관한 분석 – 독일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주의 사례를 중 심으로",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논문집, 제6권 제3호, 2007
    • 48 김완용, "초국경적 환경피해 방지를 위한 국제 원자력 환경규제의 발 전 및 국내적 수용에 관한 연구 –체르노빌 사고가 미친 영향 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