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코로나19 시기를 살아가는 방과 후 강사의 삶의 경험: 예술기반 내러티브 탐구 = The Life Experience of an After-School Instructor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 Art-Based Narrative Inquir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9-40(22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life experiences of an after-school instructor living in a social crisis situation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and explore the meanings of the life experiences. The participant was a woman in her late 40s working as an after-school instructor at an elementary school.
Methods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for about 3 month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0, and the collected field texts included interview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in conjunction with art making activities, observations, field notes, the researcher's journal, and artwork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narrative inquiry procedure proposed. Based on the field texts, research texts were constructed using the three-dimensional space narrative inquiry framework consisting of temporality, sociality, and place.
Resul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ife experience stories of the participant, four themes of the stories were identified as follows: ‘Leaving the life as a full-time housewife to step out into the world’, ‘The light and shadows in the life of an after-school instructor’, ‘Anxiety about job loss haunts me more than the fear of the coronavirus’, and ‘Another process of preparations to start afresh.’ Based on them, three meanings of the lif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 were derived as follows: ‘Reasons I live as an after-school instructor despite all the difficulties’, ‘A crisis turned into an opportunity for my growth’, and ‘Paintings have become a space for empathy and communic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e meanings of the life experiences of an after-school instructor living through the COVID-19 pandemic were derived in the contexts of personal, practical and social justifications. First,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 explored their identities and the meanings of their work through confronting the life of an after-school instructor. Second, the experiences of painting pictures and art making became a new link of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expansion, and the responsive art of the researcher was found to have a value as a tool for empathy. Third, through the process of art therapy,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 realized that there is a need for a social support system to address the problem of employment instability of after-school instructors.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라는 사회적 위기 상황에서 살아가는 방과 후 강사의 삶에 대한 경험과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예술기반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40대 후반의 여성으로 초등학교 방과 후 강사이며, 2020년 9월부터 12월까지 약 3개월 동안 미술작업을 병행한 심층면담을 통하여 면담내용과 관찰, 현장 노트, 연구 일지, 미술작품 등을 현장 텍스트로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내러티브탐구의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현장텍스트를 바탕으로 시간성, 사회성, 장소를 의미하는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을 염두에두고 연구텍스트를 작성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 나타난 방과 후 강사의 삶의 경험 이야기는 ‘전업주부에서 세상 밖으로 나오다’, ‘방과 후 강사의 명암(明暗)’, ‘코로나보다 실직이 더 무서워요’, ‘또 다른 준비’의 4가지 이야기로 구성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 방과 후 강사의 삶의 경험의 의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과 후 강사로 사는 이유’, ‘위기는 기회가 되어 나를 성장 시키다’, ‘그림은 공감과 소통의 공간이 되다’로 3가지로 도출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시기를 살아가는 방과 후 강사의 삶의 경험을 개인적, 실제적, 사회적 정당성의 맥락에서연구결과를 논의하였다. 첫째,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는 방과 후 강사의 삶을 마주하며, 자신과 일에 대한 정체성을 찾아나갔다. 둘째, 그림과 미술작업 경험은 소통과 관계 확장의 새로운 연결고리가 되었고, 연구자의 반응작업은 공감의 도구로서 가치가 있었다. 셋째, 방과 후 강사의 고용 불안을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지원제도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였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