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복설계를 위한 성인여성의 頸部형태의 관찰 Ⅲ : 頸部의 橫斷面圖 및 體表面展開圖의 韓·日 비교분석 Analysis of Horizontal Sectional Neck Serface & Draft of Neck Serface Using the Differences of the somatotype of Korean and Japanese Women = Observation on Neck Form of Young Women for Clothing Design Ⅲ
저자
김희숙 (안동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7
작성언어
Korean
KDC
592.0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29-239(11쪽)
제공처
복잡한 곡면으로 이루어진 두부의 입체적 파악을 위하여 제1보에서는 그 계측방법을 모색하였고, 제2보에서는 계측결과로써 채취된 두부의 횡단면도와 체표면전개도와 체표면각도를 분석하고 제3보에서는 한국인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현재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문화식 칼라 설계법에 대한 검토자료로써 제시하고자 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본여성의 경우는 칼라의 설계시 목뒤점에서 목옆점까지의 길이는 길고 거의 직선에 가까운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반면, 목옆점에서 목앞점까지는 만곡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크다. 한국여성의 경우는 목뒤점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고 앞중심높이는 길어서 일본여성에 비해 체표면전개도의 만곡정도가 크다고 볼 수 있다. 그림1은 체표면전개도에 있어서 한국과 일본의 평균치를 비교한 것이다. 문화식원형설계법 등, 현재 사용되고 있는 칼라설계법의 대부분은 목뒤점에서 목옆점까지의 길이를 실제의 뒤목점길이로 설정하고 있어서 이러한 칼라설계법이 다른 설계법에 비해 신체적합도가 높다고 판단된다.
2. 계측결과의 평균치는 문화식설계법에 비해 ① 앞중심 높이치수가 높고 ② 목뒤점에서 목옆점까지는 상대적으로 길고 완만한 곡선을 이루며 ③ 목밑둘레선과 30mm상방의 목둘레선과의 길이차이가 커서 전두각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횡당면도의 계측결과를 분석하여 길원형의 목둘레선의 앞목깊이와 뒷목깊이의 설정에 응용하였다. 그 결과, 문화식 길원형의 설계법에 비해 뒷목깊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목밑둘레선과 30mm상방의 목둘레선과의 편평율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후경의 비율에 있어서, 한국과 일본여성은 각각 전후경의 40%와 36%정도를 차지하고 있어서 한국여성이 길다고 보여진다.
4. 체표면각도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체표면의 경우는 한국과 일본간의 유의차와 개인차가 크게 나타나서 체형에 따른 칼라의 원형설계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이후 피험자의 수를 늘려서 개인차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In order to know what sorts of features of neck form may be required to make plans for tight fitting collars, the neck form of young Japanese women were measured three demensionally using GRASP(Grating Projection System for Profiling) and plaster torso. By the BASIC language in NEC computer and EXCEL program in MACINTOSHI computer, it became possible to draft a number of neck surface automatically, therefore, we got analysis of a mass of subjec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re was a large individual difference in the shape of neck, in particular, on the front and side curves of the neck base line, where the undulation of clavicular part of neck and inclination of shoulder are refracted.
2. When designing a stand collar, from the viewpoint of clothing structure, it is important to grasp exactly the shapes of the neck, such as the line of the neck base, the neck gradient, back neck length, back neck width & girth.
3. According to the somatotypes(turing-over, standard, bending type), there were different the methods of the basic collar pattern making.
4. The most of the measures of Korean women were bigger than those of Japanese wome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