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디지털 문화유산 연구의 현황과 전망 = Current Situation and Prospect of Digital Heritage Stud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5-121(27쪽)
제공처
1990년대 본격적으로 전개된 디지털 혁명은 전통적인 문화유산에 대한 보존과 활용 관점에도 여러 가지 다른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문화재와 문화유산이 가지고 있는 특징에서 자유롭지 않다. 문화유산의 광의성이나 현재성을 모두 담아서 정의하기가 무척 어려운 상황에서 보호 보존을 목적으로 한 문화재 지정 정책이나 유네스코의 세계유산 정책이 탄생하였다. 이제 디지털기술의 영향 아래 문화유산 가치사슬을 발전시켜 디지털문화유산(Digital Heritage)의 새로운 가치사슬 체계(Value Chain System)를 만드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정보화(Informatization)’를 통해서 단순히 정보를 저장하는 데에 멈추지 않고, 새로운 가치를 발굴하고 새로운 체험(New Experience)이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데에 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 3가지 영역을 가지고 있다. 첫째, 문화유산을 기록하여 재생산하는 영역이다. 둘째, 재생산 콘텐츠(reproduced content)와 처음부터 디지털로 만든(born-digital) 문화유산 사이의 보존과 관리의 차이를 관리하는 영역이다. 셋째, 문화유산을 공유, 해석, 진흥하는 데에 디지털 도구를 사용하는 영역이다. 각기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기반 구축, 보존 관리, 진흥 활용으로 확장해 나가며 발전하였다. 이 과정에 특히 2003년 유네스코가 을 하면서 디지털 문화유산의 지속적인 보존과 산업적인 활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디지털문화유산의 가장 중요한 문제는 먼저 ‘보존(preservation)’ 측면에서 기존 실제 유물이나 아날로그 정보와는 완전히 다른 디지털 아카이브 보존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다음으로 기능 차원에서는 그동안 접근이 쉽지 않은 문화유산 정보에 대한 ‘접근가능성(accessibility)’을 미래시간과 글로벌공간 차원으로 확장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디지털문화유산의 유형과 범주도 아날로그문화유산과 완전히 다를뿐만 아니라, 논리적인 코드-개념적인 의미-문화적 기호로서 그 의미가 계속 확장되어 디지털문화유산 가치사슬 체계를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한국의 산업발전을 이끈 정보문화기술(ICT)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문화유산을 ‘디지털화(Digitizing)-아카이빙(Archiving)-체험서비스(Service)’의 3단계 가치창출 과정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연구가 계속 지속되고 있다.
더보기Digital revolution of the 1990s had also brought about a change in perspectives regarding maintenance and preservation of cultural artifacts. However these changes were limited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artifacts itself. In a very difficult situation that Cultural artifacts have a wide interpretation and current propensity, Policy designated as the cultural artifacts purposing protection and preservation and UNESCO World Heritage Policy were initiated. Through the current digital technology, there are efforts to further the cultural artifact value chain system into a newly digitalized value chain system. The key is to further the state of informatization to incorporate new values and new experiences into its body. In close inspection, there are three parts regarding this system. First part is the area that records cultural artifacts and reproduces it into literal format. The second part governs the difference of preservation and management between reproduced contents and born-digital Heritage. The last part is the area that utilizes digital technology in the reinterpretations of cultural artifacts. Each area utilized digital technology for the maintenance and sustenance as well as commercial promotion that contributed to its growth. In 2003, after UNESCO’s “digital heritage declaration”, there have been an increased awareness for the need to preserve and commercialize digital cultural heritages. The most important agenda concerning preservation of digital cultural heritages is a new approach to archiving digital contents, totally different from existing real artifact and analog information. Another concern is the question of improving ‘accessibility’ of previously inaccessible cultural heritage contents for expanding future time and level of global space. Not only is digital cultural heritages different in form from analog-cultural heritages, but also it continues to extend its boundaries as logical codes, conceptual definition, cultural symbols which contributes in the growth of the digital cultural heritage value chain system. With the help of ICT leading industry development in South Korea, research continues to investigate further advancement and value-creation of cultural heritages to the three-step process of digitizing-archivingservic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