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실창판소리 남성성 연구 = A Study on Masculinities in Silchang Pansori
저자
서유석 (경상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5-128(34쪽)
KCI 피인용횟수
3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본고는 소리를 잃어버린 판소리 작품에 등장하는 남성 주인공들이 보여주는 다양한 남성성의 양상과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는 연구 목적을 가지고 있다. 남성성이란 개념은 하나로 정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모든 남성들을 하나의 가치 규범 아래 묶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창판소리의 남성 주인공들은 모두 ‘부정적인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이 보여주는 ‘부정적인 형상’은 다양한 남성성들의 분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기에,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의 성격을 남성성과 연관해서 연구해 볼 수 있는 가치는 충분하다.
실창판소리에서 다양한 남성성이 드러난다는 것은 그 자체로 의미가 크다. 남성들만이 인식과 시선의 주체가 되는 것이 아니라 남성들도 시선의 대상이 되고, 객체화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규범화할 수 없는 남성성은 사회적 관계 속에서 표상된다. 남성성은 젠더 관계의 장소이자 남녀 모두의 실천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기에 실창판소리 남성 주인공들의 다양한 남성성들과 ‘부정적 형상’은 모두 남성을 객체화하는 시선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여기에는 남성성이 분화되고 있는 것을 예리하게 포착하는 여성적 시선의 존재 가능성을 찾아볼 수 있다.
당대 사회의 가부장제를 체현하면서 동시에 시대의 변화에 따라 유동하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획득할 수 있는 실창판소리의 주인공은 존재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들은 ‘헤게모니적 남성성’과 ‘공모된 남성성’을 획득하여 가부장제의 배당금을 얻어내거나 ‘주변화된 남성성’을 통해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권위를 부여할 뿐이다. ‘공모된 남성성’은 가부장제의 이념에서 탈주하려는 여성적 시선에 의해 드러난다. 가부장제의 배당금을 획득하기 위해 여성에 대한 상대적 존중과 타협을 보여주는 배비장과 무숙이는 자신들을 곤궁에 빠뜨린 애랑과 의양에 의해 구원받는다. 가부장제 이념에서의 탈주라는 여성적 시선이 ‘공모된 남성성’을 오히려 부각시키는 셈이다.
과도한 남성정욕의 화신으로 보이는 변강쇠와, 여성에 대한 직접적인 폭력으로 가부장제 권위 재확립의 최전선에 서 있는 장끼는 자신들의 남성성을 강하게 과시하고 있다. 하지만 그들의 ‘과도한 남성성 표출’이 다른 계급의 남성들에게 영향을 끼칠 수는 없다. 따라서 그들의 남성승은 오히려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권위를 부여하고 주변화된다. 그리고 이들의 ‘주변화된 남성성’은 이들을 ‘괴물’과 같은 존재로 드러내는 남성을 객체로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에 의해 구체화된다. 결국 실창판소리에 드러나는 남성성들은 조선후기에 다양한 갈래로 분화하는 가부장제 이념의 모순에 대응하고 있는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various patterns and meanings of the masculinity of male protagonists in Silchang (Sound-Lost) pansori (a genre of musical storytelling). The male sex cannot be defined as one single concept. This is because all males cannot be categorized into one value norm. All the male protagonists in Silchang pansori have negative images, and these images can be identified through diverse masculine differentiations. The personalities of the protagonists in the work are worth studying in regard to their masculinities.
The various masculinities in Silchang pansori itself are very meaningful. This is because men are not only the subjects of awareness and gaze but also the objects of gaze and can be objectified. Those males who cannot be normalized are represented in social relations. Because masculinity is a place for gender relations and can be achieved by the participation of both men and women, the “excessive masculinities” and the “negative image” of the male characters in Silchang pansori are created by a gaze that objectifies men. Here, there is the existence of the feminine gaze, which can instantly spot masculinities being differentiated.
In Silchang pansori, there are no characters that acquire the floating “hegemonic masculinities” that embody the patriarchy of society. Rather, they acquire “hegemonic masculinities” and “complicit masculinities” to obtain patriarchal dividends or authorize “hegemonic masculinities” through “marginalized masculinities.” The “complicit masculinities” are revealed by the feminine gaze’s attempts to escape from the ideology of patriarchy. Baebijang and Musugi, who show a relative amount of respect for and compromising attitude toward women to obtain patriarchal dividends, are saved by Aerang and Uiyang, who had caused them to feel distress. The female gaze, escaping from the patriarchal ideology, emphasizes “complicit masculinities.” Byeongangsoe, who appears to be a representation of excessive male lust, and Jangkki, who stands at the forefront of attempts to reestablish patriarchal authority with direct violence against women, show off their masculinities. However, their “excessive masculinity” cannot influence men of other classes; it authorizes “hegemonic masculinities” and becomes marginalized. The “marginalized masculinities” are also embodied by the feminine gaze, which reveals them to have a “monster”-like existence. The masculinities in Silchang pansori are deemed to be the outcome of responding to the contradiction of the ideology of patriarchy being differentiated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3 | 0.73 | 0.7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2 | 0.64 | 1.574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