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운수지(雲水志)』 을묘본(1675) 편찬과 지역사적 의의 = Compilation Process and Regional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Unsuji(雲水誌) in 1675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3-121(39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운수지(雲水志)』는 조선시대 임실현 읍지(邑誌)로 운수(雲水)란 조선시대 임실현의 별칭(別稱)이다. 임실현 읍지는 조선 전기에 편찬된 『세종실록 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비롯하여 조선후기 전국지리지로서 『여지도서』(1760)에 합철되어 있고, 호남지역 56개 군현 읍지를 합철한 『호남읍지』에 합철되어 있는데, 『호남읍지』는 1793년에 편찬된 이후 1847년, 1871년, 1895년, 1899년에 각각 간행되었다. 그러나 전국적인 읍지류나 『호납읍지』는 지역 전체를 총괄하기 위하여 작성되었기 때문에 그 항목별 내용이 매우 간략하다. 지역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흠결이 많을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한 16~17세기 일부 지역 수령은 지역 인사들과 함께 사찬읍지를 편찬하게 되는데, 그 중에 하나가 1675년에 편찬된 『운수지』 을묘본이다. 이후 1730년에는 『운수지』 경술본이 편찬되었으며, 1904년에는 같은 이름으로 간행되어 모두 3종의 사찬읍지 『운수지』가 전하고 있다.
『운수지』 을묘본(1675)이 처음 발견된 것은 2023년 7월이다. 1904년에 간행된 『운수지』에 1675년에 쓴 신계징(申啟澄) 임실현감의 운수지 발문[雲水誌拔]이 실려 있고, 범례에서 구지(舊誌)를 열람한 것으로 보이는 단서가 있었기 때문에 어딘가에 전하고 있을 것이란 추측만 하였다.
『운수지』 을묘본은 신계징(申啟澄) 임실현감이 고을사람 한필상(韓必相), 이시연(李時然)과 함께 편찬한 것이다.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함주지(咸州誌)』(1600)의 편재를 따르고 있다. 『함주지』는 함안군의 읍지로 42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는데 『운수지』와 비교하면 32개 항목이 일치하며, 내용적으로는 38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대개 지지(地志)를 편찬하는 목적은 수령으로서 양란(兩亂)이후 백성을 교화하고 고을 풍속을 바로잡기 위한 것이었고, 고을의 내력을 정리하여 고징(考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전라도 지역 사찬읍지로서 가장 이른 것은 순천부읍지인 『승평지(昇平志)』로서 1618년에 간행되었고, 이보다 늦은 1675년에 편찬된 『운수지』는 전북특별자치도 14개 시ㆍ군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편찬된 읍지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고는 『운수지』 을묘본의 편찬자 및 편찬 과정, 서지 사항, 내용 검토를 통한 지역사적 의의를 밝히고 향후 지역사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Unsuji is the Eupji of Imsil-Hyeon during the Joseon Dynasty. Imsil-Hyeon Eupji was incorporated into the Yeojidoseo(1760) as a national geography of the late Joseon Dynasty, including The SejongSilok Jiriji and Shinjeung dongGukyeojiseungram compil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after the Honam-Eupji was compiled in 1793, it was incorporated when it was published in 1847, 1871, 1895, and 1899, respectively. However, since the a national geographical book and Honam-Eupji were prepared to oversee the entire region, the contents of each item are very brief. From a regional point of view, there are inevitably many flaws. Recognizing this problem, some local leaders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compiled the Eupji, private local geography with local figures, one of which is Unsuji, compiled in 1675.
Unsu is a nickname of Imsil-Hyeon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first discovery of the Unsuji was in July 2023. Unsuji, published in 1904, contained a postscript of Unsuji by Shin Gye-jing, Imsil-Hyeon Superintendent, written in 1675. And there was a clue that he had read it in the legend, so he only speculated that there was a Unsuji compiled in 1675.
The Unsuji was compiled by the Superintendent of Imsil-Hyeon, Shin Gye-jing, along with Han Pil-sang and Lee Si-yeon. It follows the compilation of Hamjuji(咸州誌) written by Jeong gu(鄭逑) in 1600. Hamjuji is an Eupji of Haman-gun, and consists of 42 items, compared to Unsuji, with 32 items consisting of 38 items in terms of content. Usually, the purpose of compiling a geographical book(地志) was to edify the people and correct the customs of the village after the Imjin War in 1592 and Mancbu’s invasion in 1636 as the leader, and to organize the history of the village so that it could be revealed in detail.
The earliest Eupji, private local geography in Jeolla-do was Seungpyeongji(昇平志), published in 1618, and Unsuji, compiled in 1675, is the oldest Eupji among the 14 cities and counties in Jeonbuk State. In this respect,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local historical value of the Unsuji by reviewing the details of the collection, bibliographic, and contents of the Unsuji, and lay the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on local history.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