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SCOPUS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시신경교차의 조영증강을 보인 에탐부톨로 인한 독성시신경병증 = Optic Chiasmal Enhancement Revealed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a Patient with Ethambutol-induced Toxic Optic Neuropath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주제어
KDC
510
등재정보
KCI등재,SCOPUS,ESCI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958-963(6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목적: 양이측반맹을 보인 에탐부톨로 인한 독성시신경병증 환자에서 시신경교차의 조영증강을 확인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53세 여자가 2달 전부터 서서히 진행된 양안 시력저하로 왔다. 폐결핵으로 10개월 동안 에탐부톨 800 mg 복용 중, 시력저하로 내원 1개월 전 약물을 중단하였다. Rifampicin 600 mg, clarithromycin 1,000 mg은 11개월간 매일 복용 중이었다. 교정시력은우안 0.2, 좌안 0.1이었다. 양안 색각저하를 보였다. 시야검사에서 양이측반맹을 보였으며, 좌안 시야결손이 더 심하였다.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좌측이 더 심한 시신경교차의 조영증강을 확인하였고, 시야장애의 형태와 동일하게 좌측이 더 심하였다. 1달 뒤 경과 관찰에서 시력저하는 더 심해졌다. 3일간 고농도 스테로이드 정맥 주사 치료(methylprednisolone 1,000 mg)를 시행하였다. 경과 관찰 1년후의 교정시력 우안 0.4, 좌안 0.1이었으며, 시야장애는 호전을 보였다. 결론: 에탐부톨로 인한 독성시신경병증에서 양이측반맹이 나타날 수 있으며, 뇌 MRI를 통해 시야장애와 일치하는 시신경교차의 조영증강을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Purpose: We report a bitemporal visual field defect accompanied by optic chiasmal enhancement in a patient with ethambutol (EMB)-induced toxic optic neuropathy. Case summary: A 53-year-old woman presented with bilateral visual disturbance that had gradually worsened over the prior 2 months. She had been prescribed 800 mg EMB daily to treat pulmonary tuberculosis for the past 10 months but had stopped EMB 1 month prior because of visual disturbance. She had been prescribed 600 mg rifampicin and 1,000 mg clarithromycin daily for 11 months. Her visual acuity was 0.2 in the right eye and 0.1 in the left. Color vision was reduced. Automated perimetry demonstrated a bitemporal visual field defect, which was more severe in the left ey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f the optic chiasm revealed contrast enhancement in the body of the chiasm. The optic nerve of the left eye evidenced a higher signal intensity than did that of the right, consistent with the visual field test results. One month after her initial visit, the visual symptoms deteriorated further. We delivered high-dose, intravenous steroid pulse therapy (methylprednisolone 1,000 mg daily for 3 days). At the 1-year follow-up, the visual acuity was 0.4 in the right eye and 0.1 in the left. Conclusions: Bitemporal hemianopia may develop in patients with EMB-induced toxic optic neuropathy. Enhancement of the optic chiasm, consistent with the visual field defect, could be observed in MRI.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