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태권도 체육관 비교 분석을 통한 경영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management model of Taekwondo gymnasium through the comparison of gymnasiums in Korea and China
저자
발행사항
용인 :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2003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 체육과학학과 무도전공 , 2003. 8
발행연도
2003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KDC
698.21 판사항(4)
발행국(도시)
경기도
형태사항
iv, 62p. ; 26cm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57-58
소장기관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의 태권도 체육관 경영 현황을 비교 연구하여 그 문제점과 발전방안을 제시하고 태권도 체육관의 성공적 경영을 위한 마케팅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서울의 D태권도 체육관과 중국 북경시의 B태권도 체육관을 선정하여 시설 프로그램 법령절차, 홍보방법, 운영조직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중국의 B태권도 체육관에 비해 한국의 D태권도 체육관은 규모나 내용면에 있어 크게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현황은 중국의 B태권도 체육관이 한국의 D태권도 체육관보다 2배의 넓은 체육관 시설을 갖추고 있었고 장애자 수련생을 위한 배려도 잘 되어 있었다. 또한, 중국 북경시의 B태권도 체육관의 경우 수련자가 시설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혼잡함을 없애 이용이 편리하게 배치된 반면, 한국의 D태권도 체육관은 거의 수직적으로 설치되어 동선이 긴 관계로 시설의 이용에 있어 상당히 혼잡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시설의 이용 시간 및 방법은 한국의 D태권도 체육관의 경우 오후 2시부터 오후 9시까지 1일 7시간, 중국의 B태권도 체육관의 경우 오전 10시부터 체육관의 경우 매주 토ㆍ일요일이며, 중국의 B태권도 체육관은 토요일 오후나 일요일에 휴관을 하였다. 휴관일에는 한국의 D태권도 체육관은 이용을 할 수 없으나 중국의 B태권도 체육관은 토요일 오후시간을 이용해 수련생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3) 이용요금(수련비, 심사비)의 경우 한국의 D태권도 체육관은 서울시 태권도 협회 및 각 지역 태권도 협회나 지역 태권도협회의 규정요금이 따로 규정되어 있지 않아 시ㆍ구의 실정에 맞게 관장 임의로 수련비를 책정하여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운동시간 및 프로그램 현황은 한국의 D태권도 체육관의 경우 1일 수련시간은 50분, 주 5회 운동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출석은 관장이나 사업이 직접 출석을 부른다. 운동 프로그램으로는 겨루기, 품새, 게임 등으로 실시하며 예절, 지도력, 책임감, 자신감 등의 인성교육을 실시하고 수련경도는 상황에 따라 강도를 맞추는 형식으로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반면 중국의 B태권도 체육관은 1일 60분 주 5회 운동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운동 프로그램은 겨루기, 품새, 게임, 시범발차기, 태권도 이외에 우슈의 기본동작 및 발차기 등의 운동 프로그램과 예절, 지도력, 책임감, 자신감, 등의 인성교육 위주의 수련을 하고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한국에서의 태권도 체육관 개설을 위한 제도적 법령절차는 지도자의 자격조건 구비가 필수적이며 시ㆍ구청 등록, 세무서 등록, 각 지역 태권도협회 가입 등을 마쳐야 하지만 중국에서는 태권도 체육관 개설시 각 시ㆍ구에 설립된 '체육국'의 법령절차에 따라 접수를 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지도자의 자격조건에 대해서는 경기실적 증명서만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6) 한국의 D태권도 체육관에 비해 중국의 B태권도 체육관은 홍보방법에 있어서는 아직 미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의 D태권도 체육관과 중국의 B태권도 체육관 모두 관원의 가족 및 동료집단에 의한 홍보를 가장 영향력 있는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한국의 D태권도 체육관의 경우 광고전단지 배포, 포스터, 상가 안내책자 광고, 전화번호부 광고, 프랭카드, 상가 및 아파트 승강기 스티커 광고, 태권도 시범, 경영자의 가정방문 등의 방법이 있었고, 중국의 b태권도 체육관은 광고 전단지 배포 및 포스터, 체육관 프랭카드, 태권도 시범, 관원의 가족 및 동료집단에 의한 홍보, 지방지역신문 광고 등을 통하여 홍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한국의 D태권도 체육관의 운영조직은 관장 1명과 사범 2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국의 B태권도 체육과의 운영조직은 관장 1명과 사범 3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D태권도 체육관의 경우 전반적인 경영은 관장이 책임, 관리 및 지도하고 사업은 수련생 지도, 통학버스운전, 체육관의 청소 및 정리정돈, 수련 프로그램 개발, 학부모 상담 등 1인 3역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의 B태권도 체육관의 경우 관장의 역할 은 한국의 태권도 체육관 관장의 역할과 흡사하며, 사업의 역할은 수련생 지도, 체육관 청소 및 정리 정도, 수련프로그램 개발을 하고 있어 한국의 D태권도 체육관보다는 관장과 사범의 역할이 분담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the problems and the solutions of Taekwondo gymnasiums by comparing the management facts of gyms in Korea and China, and to provide information for marketing plan needed in the successful management of gymnasium.
D gym in Seoul, Korea and B gym in Peking, China were selected and compared of their facilities, programs, legal procedure, public relation method, and administration struc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ompared with B gym in Peking, China, D gym in Korea is far behind in the size and the contents of program. as to the facility, B gym in China has 2 times larger facility than D gym in Korea, and is providing careful concern for the handicapped trainees. Also, B gym in China arranged the equipments in such a way that the trainees could use the facility in ease, not in congestion, while D gym in Korea placed the equipments almost in a line, resulting in a long action path, which caused fair congestion in using the facility.
2) As to working hour and service information, D gym in Korea is open from 2 p.m. to 9 p.m., 7 hours a day B gym in China is from 10 a.m. to 9 p.m., 11hours a day. Closed day is every Saturday and Sunday at D gym in Korea, and Saturday afternoon or Sunday at B gym in China. On the closed day, D gym is not available to the trainees but B gym is open to the trainees in Saturday afternoon, providing the trainees with chances to use freely the facility.
3) As to the charge (tuition and examination fee, etc.), D gym in Korea follows the regular charge of Seoul Taekwondo association and the local ones, but in china, there is not any regular charge set by china Taekwondo association or each local ones, so, individual director of gym decides the charge at his discretion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cuty or the district, and takes it from the trainees.
4) As to training hour and training program, D gym in Korea is training for 50 minutes a day, and 5 day a week. The director or the instructor calls the traninees' names personally. Exercise program is composed of Kyorugi, Poomsae, and competition, and personality training on manner, leadership, responsibility, and self-confidence is practiced. Training strength depends on the situation. In B gym in China, thy do training for 60 minutes a day, and 5 days a week. Their exercise program is composed of Kyorugi, Poomsae, and competition, test Palchagi, and besides Taewondo, basic actions and Palchagi of Kung Fu. They do personality training on manner, leadership, responsibility, and self-confidence.
5) Legal requirements for starting a Taekwondo gym in Korea include instructor's qualification as an absolute requirement, and registration at city hall, Ku-office, and tax office, and joining in the local Teakwondo association. But in China, they only have to apply according to the legal procedure of "Physical Education Office" of each city or gu. As for instructor's qualification requirement, they need just the certification of competition accomplishment.
6) In comparison with D gym in Korea, B gym in China was inexperienced at public relation. Both D gym and B gym use PR with the trainees' families and their fellows as the most influential method. D gym in Korea use bulletins, posters, brochures, white page, banners, sticker on the elevators of commercial facilities and apartments, demonstration of Taekwondo, director's visiting to the trainee's home, and the likes. B gym in China use bulletins, posters, banners, Taekwondo demonstration, public relation with gym members and their fellows, advertising on he local newspapers, and the likes.
7) Administration of D gym in Korea is staffed with 1 director and 2 instructors, and B gym in China is staffed with 1 director and 3 instructors. In D gym in Korea, overall administration is charged of trainee instruction, driving the shuttle bus, cleaning and arranging the gym, development of the training program, interview with the trainee's parents, and the likes, 3 roles a man. In B gym in China, the director's role is similar to D gym director's in Korea. The instructors take the charge of trainee training program, as tell us that the director and the instructors of the gym in china are carrying our more divided roles than those of the gym in Korea.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