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contemporary insomnia by examining Zhang Jiebin's discussion on treating insomnia.
Methods : The classical texts from the 'Insomnia' chapter of the Jingyue Quanshu were examined threefold in terms of symptom, treatment, and prescription analysis, after which the treatment discussion part was examined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of discussions on insomnia in major medical texts starting from the Huangdineijing.
Results : According to Zhang, the cause of insomnia could be divided into two, after which criteria for diagnosis and treatment were set as excess pathogen and vital qi deficiency. He argued that insomnia could be naturally resolved through improvement of various pathogenic situations. Discussions on insomnia from various medical texts since the Huangdineijing suggest that pathology related to psychological function and emotions gradually increased and expanded over time.
Conclusions : Zhang's discussion on symptom, treatment and prescriptions of insomnia suggests a new framework that could improve treatment effects through a Korean Medical Mind-Body approach, rather than the contemporary classification of organic insomnia and non-organic insomnia.
Objective : 張介賓의 不寐에 대한 論治를 살펴봄으로써 현대의 불면증(insomnia)에 대한 한의학적 辨證施治를 提高하고자 하였다.
Method : 景岳全書·雜證模·不寐 原文을 불면의 論證과 論治 및 處方 분석의 측면으로 고찰하고, 景岳全書의 불면 論治를 黃帝內經을 비롯한 역대 주요 醫書의 불면에 대한 醫論 전개 선상에서 살펴보았다.
Result : 張介賓은 不寐의 원인을 有邪, 無邪로 나누어 邪實과 正虛 두 가지를 不寐를 辨證하는 주요한 기준으로 삼고, 다양한 병리 상황을 개선시키면 자연스럽게 不寐가 낫는다고 보았다. 黃帝內經을 비롯한 역대 醫書들의 불면에 대한 醫論을 고찰한 결과 七情 및 정신작용과 관련한 병리가 점차 증가하고 분화・발달하였다.
Conclusion : 불면에 대한 張介賓의 醫論과 治法 및 方藥은 불면증을 기질성 수면장애와 비기질성 수면장애로 이분하여 구분하는 관행에서 벗어나 한의학의 心身 일원적 관점으로 접근함으로써 그 치료 효과를 提高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하여주고 있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