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동의보감』 심장도(心臟圖)의 묘사 특징과 그 기원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scriptive Features and Origin of the Heart Diagram in the Donguibogam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7-32(16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Objectives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background, meaning and origin of the descriptions of the Heart such as 'seven orifices', 'sanmao', 'saw-toothed four layered lines' that are unique to the diagram in the Donguibogam.
Methods : First the Heart diagram of the Donguibogam was compared with other Zhangfu diagrams of the past. Materials related to unique features in the descriptions of the Heart in the Donguibogam were collected, against which descriptive features were analyzed.
Results : Of the many unique features, the descriptive basis of the 'seven orifices' could be found in the Qixingban[七星板] as a physical entity reflecting basic anatomical knowledge. The 'sanmao', which is compared to the Santaixing[三台星], could be understood as a non-physical entity whose descriptive basis could be found in the Xinxuetu of the Xinching. It could be assumed that the 'saw-toothed four layered lines' are likened to the multi-layered petals or calyx of a lotus flower bud to describe the Pericardium, or to the multiple walls of a mountain fortress surrounding a palace to describe the Danzhong, which is the chest cavity. These features could be understood as results of spiritualism influence.
Conclusions : It could be concluded that Heo Jun, in his attempt to describe the Heart in more detail than previous diagrams of the Zangfu, referenced popular texts and images based on anatomical knowledge of previous texts, added varied descriptions resulting in a new diagram with a completely different origin.
목적: 『동의보감』 심장도에서만 유일하게 칠규(七竅), 삼모(三毛), ‘톱니 같은 네 겹의 선’ 등이 묘사된 배경과 그 의미를 분석하고 그 기원을 규명한다.
방법: 『동의보감』 심장도를 그 이전의 장부도(臟腑圖)와 비교하고, 그 이전의 장부도와 달리『동의보감』 심장도에서만 유일하게 표현된 묘사에 대한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동의보감』 심장도의 묘사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과: 그 그림에서 묘사된 칠규(七竅)는 초보적인 해부 지식이 반영된 유형의 실체로서 칠성판(七星板)에서 그 묘사 근거를 발견할 수 있고, 삼모(三毛)는 삼태성(三台星)으로 비유한 점으로 보아 실체가 없는 것으로 『심경(心經)·심학도(心學圖)』에서 그 묘사 근거를 찾을 수 있다. ‘톱니 같은 네 겹의 선’은 아직 피지 않은 연꽃봉오리의 여러 겹 꽃잎이나 꽃받침으로 비유하여 심포(心包), 즉 심막 또는 심낭을 표현하거나 궁을 둘러싼 여러 겹의 산성(山城)으로 비유하여 단중(膻中), 즉 흉곽을 표현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런 묘사 특징은 해부 관찰보다 유심론의 관점이 더 많이 반영된 결과이다.
결론: 허준이 그 이전의 장부도에 비해 심장을 더 구체적으로 묘사하기 위해, 기존 문헌에 나타난 해부 지식의 기초 위에 당시 유행하던 문헌, 그림 등을 참고하여 다양한 묘사를 덧붙음으로써 그 이전의 장부도와 전혀 다른 기원을 가지게 되었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