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친화적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사례연구 : 신문 박물관을 중심으로
저자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 박물관·미술관교육전공 , 2011. 8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DDC
069 판사항(22)
발행국(도시)
서울
기타서명
(A) cast study on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for family-friendly museums : focusing on the presseum
형태사항
115 p. : 삽화 ; 26 cm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강인애
참고문헌 : p. 98-100
소장기관
주5일제의 시행, 체험학습의 강조, 가족 여가에 대한 관심의 급증 등의 요인들은 더욱 많은 가족 관람객들이 박물관을 찾도록 유도하고 있다. 박물관은 대표적인 평생교육 기관이자 비형식 교육의 장으로서 다양한 계층의 대상이 학습자로 참여할 수 있고,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관람자 주도적으로 관람을 이끌어나가는 동시에 다중의 관람자가 함께 참여 수 있는 교육 공간이다. 이와 같은 박물관의 내재적 특징은 가족 참여 학습 환경으로서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관람자는 홀로 관람을 할 때보다 여럿이 함께 할 때 대화를 나누는 등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사물을 바라볼 수 있는 경험을 하게 되는데 가족의 경우에는 가족 구성원이 함께 전시를 관람하거나 체험 활동 활동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보다 높은 수준의 이해에 도달하거나 가족 공동의 역사나 이해를 공고히 하게 된다. 특히 어린이의 경우에는 또래와 관람할 때 보다 높은 학습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때 함께 하는 성인은 어린이의 학습을 돕는 학습 촉진자 또는 정보 제공자의 역할 뿐 아니라 동료 학습자로서 역할하기도 함으로서 가족의 상호작용은 매우 다양하고 역동적인 모습을 띄게 된다.
이와 같은 가족 참여 학습 환경으로서 박물관의 정체성을 인식함으로서 국내에서도 가족 대상의 교육 프로그램의 숫자는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박물관에서 가족단위의 학습이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개인 관람객이나 다른 단체 관람객과 구분되는 가족 관람객의 특징과 학습 스타일에 대한 통찰이 배제된 채 가족 대상 프로그램의 양적 증가만을 초래하여 많은 가족 교육 프로그램이 가족단위 학습으로서의 특징을 살리지 못한 채 기존의 교육 프로그램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단지 교육에 학부모를 참여시키는 형태의 대상이 가족인 프로그램에 머물고 있다.
이에 가족 단위 학습의 특징과 박물관의 학습 환경에 적합한 가족 친화적 교육 프로그램의 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우선 가족 학습의 원리를 제시하는 사회적 구성주의를 비롯한 근접발달 영역, 실천공동체 개념의 탐색은 가족 단위 학습의 과정을 이해하고, 예측해 볼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가족 친화적 교육프로그램의 요소들을 제시한 선행 연구들을 기초로 하여 가족 프로그램이 갖추어야할 핵심적인 요소들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입각하여 가족 친화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신문 박물관을 실행 장소로 선정하였으며, 초등학생을 포함하는 가족을 대상으로 실행하였다. 평가는 설문지, 면담, 관찰을 분석하여 가족 친화적 요소에 입각하여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가족들의 협력적 학습 상황, 학부모의 역할 유형, 참가자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프로그램의 평가 결과, 참가 가족들은 전반적으로 활발히 상호작용 하며 협력적 학습상황을 구현하였으며, 학부모의 역할은 정보 제공자, 학습촉진자, 동료 학습자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참가자들의 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만족도에 따른 이유로는 가족이 협력적 활동을 하였던 점을 들고 있어, 협력학습이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도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하겠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사례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 볼 때,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족 친화적 교육 프로그램의 요소들에 의거한 좀 더 많은 가족 친화적 프로그램이 개발, 적용되어 박물관을 찾는 가족들은 아동과 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좋은 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나길 기대한다.
Since museums are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s of space for informal education and places of life-long education, more and more families visit museums, and the role of museums as the space for effective family participative learning is coming into attention as well. Hence, the number of museum education programs targeted at families is rising. However, many examples of educational programs for families in different museums were merely targeted toward families and lacking in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unit learning and museum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derives elements of family-friendly educational programs in museums so that such programs will be appropriate to the museum environment and family-focused programs will be carried out effectively, developed and applied programs based on them, and observed cooperative learning context of participant families, parents’ role types, and satisfaction as the result.
First of all, in order to derive family-friendly factors, this research delved into educational theories such as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and community of practice including social constructivism, through which process of family-unit learning can be understood and predicted, and analyzed and referred to researches of Borun and Dierking, the leading researchers on family visitors. The educational programs in museum developed with the family-friendly factors derived from those researches as the basis were carried out in the Presseum with families includ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targets.
According to the program’s assessment result, participant families interacted actively overall and realized cooperative learning context, and the role of the parents appeared in different forms as information provider, learning facilitator, and co-learner. Lastly, participants showed high levels of satisfaction, and one of the reasons was pointed out to be cooperative activities by the families, showing that cooperative learning has positiv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from the education program as well.
In conclusion, I hope that more family-friendly programs based on the elements of family-friendly educational programs presented in this research are developed and applied, so that there will be more chances for families visiting museums to experience good educational programs, in which children and parents can partake together.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