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소유권의 파편화와 입법 대응 = Legislative Issues regarding the Fragmentation of Property Rights : the Case of ICT Marke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75-603(29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디지털 기술은 권리의 객체를 변화시키고, 또한 그 객체의 소유권도 변화시키면서, 너무 많은 소유권은 오히려 폐해가 된다는 논의가 법경제학의 반공유재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이 적용되는 정보통신시장에서 소유권의 파편화가 어떠한 비효율성을 발생시
키는가를 반공유재론의 시각에서 살펴 보고, 그에 따라서 필요한 입법적 대응에 대해서 연구해보고자 한다.
언론에 있어서 디지털화는 언론사의 수를 늘리게 했고, 그 파편화로 인한 비효율성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분산된 권리를 재조정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언론의 자유하에 보호받는 언론사의 권리를 재조정해야 한다는 과제를 남겨 주고 있다. 언론의 권리가 파편화되어서, 즉 신문의 자유와 편집의 자유가 너무 많은 신문사에 분산되어 있어서 그것을 재조정하는 것이 상당한 비용을 필요로 한다고 판단된다. 이에 최근에 포털들이 자신들의 사이트에서 노출될 수 있는 언론사를 결정하기 위해서 추진하고 있는 뉴스평가위원회가 자율적으로 파편화된 권리를 재조정하는 시도로서 현재로서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통신에 있어서 디지털화는, 통신 네트워크의 제공자, 기기 제작자, 소프트웨어 제작자 및 이용자들간에 권리를 파편화시켰는데, 그로 인한 비효율성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의무를 재설정해야 한다는 과제가 남아 있다. 통신사업자, 단말기 제조사, 소프트웨어 개발자 각각에게 파편화된 권리 각각의 차원이 아니라, 전체의 차원에서 의무의 재설정이 반공유재를 막기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요컨대 언론의 자유를 왜 보호해야 하는가, 아울러 통신시장에서의 각 경제주체들에게 통신보안을 위해서 요구하여야 할 의무는 어떤 기준으로 설정해야 하는가 등의 문제를 둘러싸고 디지털화에 맞는 새로운 패러다임에서의 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Digital technology is to modify legal object as well as rights therein. In the context of law and economics, too many property rights are likely to diminish the benefit expected with regard to such rights.
As media digitalisation has contributed to the numerical growth of the media company, the inefficiency due to the fragmentation has given rise to the necessity of adjusting widely spread rights. It is difficult, however, to readjust spread rights the owner of which is under protection based upon the freedom of expression. In such context, it would be the most efficient solution that independent and autonome editorial committee is assigned to select the internet newspaper to be exposed in the web portal site.
As telecommunication digitalisation has brought about the fragmentation of rights amid network providers, manufacturers, software providers and end users, the inefficiency due to the fragmentation has given rise to the necessity of adjusting widely spread rights. It should be noted that rights readjustment is to be done in the whole context for the purpose of excluding the anticommons.
Professor Heller"s theory of the anticommons and fragmentation helps explain how continued division of interests in property could lead to both coordination and transactional problems, the end result being inefficient use and devaluation of valuable societal resources.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anticommons situation sheds light on why the new paradigm is required to meet with potentially difficult questions in legislat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