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榮留王代 政局主導權의 變化樣相과 淵氏勢力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榮留王代(618~642)의 정국운영에 대한 기존연구의 대체적인 견해는 온건한 성향의 정치세력이 정국의 주도권을 장악해 나갔고 이러한 분위기가 642년 淵蓋蘇文政變이 발생되는 시점까지 지속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기존연구에서 영류왕대의 정국운영을 위와 같은 구도에서 인식한 근거는 영류왕 즉위 후 외교노선이 급격히 온건한 방향으로 흐르는 정황이다. 그러나 618년 영류왕이 즉위한 이후부터 630년대 초반까지의 대외정책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면 그것은 강경책과 온건책이 적절히 결합된 정상적인 외교노선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대백제·대왜관계라든지, 천리장성의 축성, 그리고 7세기 초반 중원세력의 재편과정에서 나타난 국제정세의 변화 등으로 볼 때 영류왕대의 외교노선은 영양왕대의 그것에서 급격히 변화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따라서 당시 외교노선의 부분적인 변화를 근거로 정치세력의 교체를 가정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영류왕의 즉위로 정치세력이 교체되지 않았다면, 다시 말해 온건한 성향의 국내계세력이 정국의 주도권을 장악하지 않았다고 한다면 영류왕대의 정국운영은 다시 한 번 조심스럽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런데 사실 영류왕대에 국내계세력이 장악했다고 하는 견해는 그 자체에 모순을 내포하고 있다. 훗날 영류왕과 대립하게 된 연씨세력은 평양계세력의 대표적인 귀족세력으로 강경한 성향을 지녔던 집단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그렇다고 한다면 연씨세력은 영류왕대의 세력교체 과정에서 도태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연씨세력은 영류왕이 즉위하면서부터 오히려 권력기반을 더욱 탄탄히 다져나가게 된다. 이는 금석문의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러한 모순이 발생되는 원인은 기존연구에서 연씨세력을 평양계세력으로 설정했기 때문이다. 금석문에 나타난 그들의 가문내력이 비교적 짧다거나 혹은 고구려왕실과의 친연성을 강조하지 않았다는 이유를 들고 있다. 그러나 고구려인들의 묘지명을 전체적으로 분석해 보면 연씨세력의 가계서술 방식은 보편적인 방법을 따르고 있다. 즉 묘지명의 가계서술 형식을 가지고 가문내력의 길고 짧음을 판단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오히려 그들은 東部라는 거대한 세력기반을 소유하고 있었고, 물에서 기원했다는 신화적 전통을 간직하고 있었던 고구려의 대표적인 귀족세력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연씨세력을 평양천도 이후 갑자기 출현한 신진귀족세력으로 단정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평양계세력과 국내계세력의 대결이라는 구도는 427년 평양천도 이후의 정치를 묘사한 개념이다. 이것을 618년 영류왕이 즉위하는 시점까지 끌고 와서 적용시킨다면 영류왕대의 정치사는 강경세력과 온건세력의 대결구도 속에서 이해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는 당대의 정치사가 2분법적 대결구도로 단순화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영류왕대의 정치사는 위와 같은 구도에서 벗어나서 인식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영류왕대의 정국운영을 새롭게 들여다보면 연씨세력은 영류왕 즉위 초에 정치적인 협력관계를 형성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들이 영류왕 즉위 후 막리지를 역임하게 된다든지, 영류왕이 귀족연립정권 아래에서 영양왕의 적장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왕위에 오를 수 있었던 배경을 유추해보면 양자의 결합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630년대 경관파괴를 기점으로 영류왕의 정국주도권이 약화되면서부터는 연씨세력이 고구려의 권력을 장악해 나갔고 이때부터 연씨세력과 영류왕은 정치적인 대립관계를 형성시키게 되었다. 당시 연씨세력의 입지를 가장 잘 설명해주는 것은 ‘병권을 장악하여 기세가 삼한을 아우르고 명성은 5부의 우두머리가 되었다.’는 금석문의 기록이다.
    그런데 630년대 말 연씨세력의 대표 격인 연태조가 사망하고 신라 칠중성에 대한 공격이 실패로 돌아가면서부터는 정국의 주도권은 다시 영류왕에게 돌아가게 되었다. 재차 주도권을 장악하게 된 영류왕은 태자를 입조시키는 등의 급진적인 친당정책을 추진하여 자신의 정치적 기반을 공고히 했고, 다른 한편으로는 자신의 정적인 연씨세력의 약화를 유도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씨세력의 새로운 수장인 연개소문과 영류왕의 대립이 본격화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지금까지 나타난 영류왕대 정국주도권의 변화양상은 뒤에 일어나는 연개소문 정변의 중요한 배경으로 작용하게 된다.

    더보기

    The political situation during the ruling time of King Yeongryu has been understood by the two main theories. The one is the coalition government by nobles(貴族聯立政權) and the other is the competition between the faction of Pyeongyang(平壤系勢力) and the faction of Gugnae(國內系勢力). From the end of 6th century to the early of 7th century, the faction of Pyeongyang had assumed that they had the political power of Goguryeo(高句麗). But after King Yeongryu(榮留王) was crowned in 618 the faction of Pyeongyang fell into a decline. On the other hand the faction of Gugnae entered into the politics of Goguryeo.
    By the way Yeongaesomun’s family(淵氏勢力) was the member of the faction of Pyeongyang. So they also fell into a declined. And from that time, King Yeongryu became the political opponent of Yeongaesomun’s family. Especially in 640th, when the threat from Dang dynasty was approached the above two people conflicted with the policy dealing with the threat. The King Yeongryu insisted on peace, on the other hand Yeongaesomun maintained the strong action. In the result Yeongaesomun raised in revolt against King Yeongryu and killed him. This is the general understanding about the political situation during the ruling time of King Yeongryu,
    But it is doubt that Yeongaesomun’s family was the member of the faction of Pyeongyang. And also after King Yeongryu was crowned in 618 the faction of Pyeongyang fell into a decline indeed. Through the historical materials it doesn’t seems like that. When King Yeongryu was crowned Yeongaesomun’s family must have supported with him. More over they still had been maintaining their political power even after the accession of King Yeongryu. These facts clash with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Yeongaesomun’s family leaded some policies such as diplomatic relations with Backje(百濟)ㆍWae(日本) and also constructing Cheonlijangseong(千里長城) during the ruling time of King Yeongryu. At this time Dang dynasty demanded to destroy Gyeonggwan(京觀) of Goguryeo. Even though a lot of nobles like Yeongaesomun’s family advised against destroying Gyeonggwan, King Yeongryuu admitted it. But With the result, the political power of King Yeongryu decreased, on the other hand that of Yeongaesomun’s family was moved up. So from that time the relationship of King Yeongryu and Yeongaesomun’s family had changed to a political competitor.
    At the end of 630th Goguryeo attacked to Silla(新羅) to recover their own territory around the Han River(漢江) but the attempt was failed. On the contrary the threat from Dang dynasty was approached again. To make matters worse Yeontaejo(淵太祚), the chief of Yeongaesomun’s family was dead. The strongest political competitor of King Yeongryu has been disappeared. That was a new chance to seize the political power for King Yeongryu.
    King Yeongryu didn’t lost a fair shake of chance. He achieved the leadership of Goguryeo again. Especially King Yeongryu turned all situations to his advantage through the friendship with Dang dynasty. At the same time he soften up Yeongaesomun, new chief of Yeongaesomun’s family and new political competitor. A series of these political changes naturally made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 Yeongryu and Yeongaesomun hostile day by day. And also this situation became the background of Yeongaesomun(淵蓋蘇文)’s coup d’ etat(政變).

    더보기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執權前半期外交路線의 성격과 政治勢力의 교체 與否
    • Ⅲ. 執權前半期榮留王과 淵氏勢力의 관계
    • Ⅳ. 執權中ㆍ後半期政局主導權의 變化樣相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 1 李殿福, "중국학자가 쓴 고구려사" 학연문화사 2005
    • 2 尹龍九, "중국출토의 韓國古代遺民資料몇 가지" 한국고대사학회 (32) : 2003
    • 3 申采浩, "조선상고사" 비봉출판사 2006
    • 4 김현구, "일본서기 한국관계기사연구(Ⅱ)" 일지사 2003
    • 5 李昊榮, "수·당과의 전쟁" 국사편찬위원회 (5) : 1996
    • 6 김용만, "새로 쓰는 연개소문傳" 바다출판사 2006
    • 7 金壽泰, "삼국의 외교적 협력과 경쟁 - 7세기 신라와 백제의 외교전을 중심으로 -" 東國大學校新羅文化硏究所 (24) : 2004
    • 8 박순교, "김춘추(외교의 승부사)" 푸른역사 2006
    • 9 노태돈, "귀족연립정권과 연개소문의 정변, in: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 10 서병국, "고구려제국사" 혜안 1997
    • 11 리지린, "고구려역사" 논장 1988
    • 12 임기환, "고구려사 연구의 어제와 오늘" 白山學會 (76) : 2006
    • 13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 14 손영종, "고구려사" 白山資料院 1997
    • 15 임기환, "고구려 정치사의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고대사학회 31 : 5-34, 2003
    • 16 임기환, "고구려 정치사 연구" 한나래 2004
    • 17 여호규, "고구려 건국설화가 모두루무덤에 묻힌 까닭은, in:고대로부터의 통신" 푸른역사 2004
    • 18 金基興, "고구려 淵蓋蘇文政權의 한계성" 西巖趙恒來敎授華甲記念韓國史學論叢 1992
    • 19 李昊榮, "麗·濟連和說의 檢討" 慶熙史學會 (9-10) : 1982
    • 20 이성제, "高句麗의 遼西攻擊과 對隋戰爭의 開始, in:高句麗의 西方政策硏究" 국학자료원 2005
    • 21 盧泰敦, "高句麗의 漢水流域喪失의 原因에 대하여" 韓國史硏究會 (3) : 1976
    • 22 李道學, "高句麗의 內紛과 內戰" 學硏文化社 (24) : 2006
    • 23 李道學, "高句麗와 百濟의 出系認識檢討" 學硏文化社 (20) : 2005
    • 24 拜根興, "高句麗와 唐關係의 硏究" 學硏文化社 (14) : 2002
    • 25 孔錫龜, "高句麗領域擴張史硏究" 서경 1998
    • 26 徐永大, "高句麗貴族家門의 族祖傳承" 한국고대사학회 (8) : 1995
    • 27 李文基, "高句麗莫離支의 官制的性格과 機能" 白山學會 (55) : 2000
    • 28 請田正幸, "高句麗莫離支考, in:朝鮮歷史論集. 上" 龍漢書舍 1979
    • 29 李萬烈, "高句麗思想政策에 대한 몇 가지 檢討, in:柳洪烈博士華甲記念論叢" 1971
    • 30 金光洙, "高句麗建國期의 姓氏賜與, in:金哲埈博士華甲紀念史學論叢" 知識産業社 1983
    • 31 李丙燾, "高句麗對隋唐抗爭, in: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1976
    • 32 徐榮一, "高句麗娘臂城考" 檀國大學校史學會 (28) : 1995
    • 33 朴種書, "高句麗娘臂城位置에 대한 고고학적 검토" 檀國大學校碩士學位論文 2005
    • 34 盧泰敦, "高句麗史硏究의 現況과 課題" 延世大學校國學硏究院 52 : 1986
    • 35 申瀅植, "高句麗千里長城硏究" 白山學會 (49) : 1997
    • 36 盧重國, "高句麗·百濟·新羅사이의 力關係變化에 대한 一考察" 延世大學校國學硏究院 (28) : 1981
    • 37 李基白, "韓國古代政治社會史硏究" 一潮閣 1996
    • 38 李弘稙, "韓國古代史의 硏究" 新丘文化社 1987
    • 39 李丙燾, "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1976
    • 40 朱甫暾, "金春秋의 外交活動과 新羅內政" 啓明大學校韓國學硏究所 20 : 1993
    • 41 박순교, "金春秋의 執權過程硏究" 慶北大學校博士學位論文 1999
    • 42 李德山, "試論唐朝初年的唐麗關係, in:高句麗問題學術討論會" 延邊大學 2006
    • 43 金壽泰, "百濟滅亡과 唐" 忠南大學校百濟硏究所 22 : 1991
    • 44 김병남, "百濟 武王代의 阿莫城 전투 과정과 그 결과" 호남사학회 (22) : 101-124, 2004
    • 45 武田幸男, "牟頭婁一族と高句麗王權, in:高句麗史と東アジア" 岩波書店 1989
    • 46 田美姬, "淵蓋蘇文의 執權과 그 政權의 性格, in:李基白先生古稀記念韓國史學論叢 上" 1994
    • 47 李乃沃, "淵蓋蘇文의 執權과 道敎" 歷史學會 (99-100) : 1983
    • 48 李弘稙, "淵蓋蘇文에 대한 若干의 存疑, in:李丙燾博士華甲記念論叢" 1956
    • 49 전경옥, "淵蓋蘇文執權期의 莫離支體制硏究" 白山學會 (46) : 1996
    • 50 張道斌, "泉蓋蘇文實記" (2) : 1925
    • 51 李成市, "泉蓋蘇文の政變について" 朝鮮史硏究會 (31) : 1993
    • 52 박민경, "武王·義慈王代政局運營의 硏究" 한국고대사학회 (20) : 2000
    • 53 金鉉球,' 日唐關係의 成立과 羅日同盟-, "日唐關係의 成立과 羅日同盟- "日本書紀" "金春秋의 渡日"記事를 中心으로 -, in:金俊燁敎授華甲紀念中國學論叢" 中國學論叢編輯刊行委員會 1983
    • 54 李昊榮, "新訂新羅三國統合과 麗·濟敗亡原因硏究" 서경문화사 1997
    • 55 金侖禹, "娘臂城과 娘子谷城考" 檀國大學校史學會 21 : 1987
    • 56 金鉉球, "大和政權の對外關係硏究" 吉川弘文館 1985
    • 57 鄭孝雲, "古代韓日政治交涉史硏究" 학연문화사 1995
    • 58 金鉉球,'古代韓(新羅)·日關係의 一考察-大化改新과 新羅·日本·唐三國간의 협력체제 성립을 中心으로-', "古代韓(新羅)·日關係의 一考察- 大化改新과 新羅·日本·唐三國간의 협력체제 성립을 中心으로 -" 成均館大學校大東文化硏究院 23 : 1989
    • 59 山尾幸久, "古代の日朝關係" 塙畵房 1995
    • 60 徐炳國, "中國人의 高句麗流亡과 遼東開墾" 白山學會 (34) : 1987
    • 61 申瀅植, "三國의 對中國關係, in:韓國古代史의 新硏究" 일조각 1984
    • 62 朴漢濟, "七世紀隋唐兩朝의 韓半島進出經緯에 대한 一考-隋唐初皇帝의 正統性確保問題와 關聯하여 -" 東洋史學會 (43) : 1993
    • 63 정동준, "7세기 중반 백제의 대외정책" 한국역사연구회 (61) : 119-145, 2006
    • 64 정동준, "7세기 전반 백제의 대외정책" 한국역사연구회 (46) : 37-72, 2002
    • 65 김지영, "7세기 고구려의 대왜(對倭) 관계의 변화 630년을 기점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57 : 2005
    • 66 山尾幸久, "7世紀中葉의 東아시아" 忠南大學校百濟硏究所 23 : 1992
    • 67 延敏洙, "7世紀 東아시아 정세와 倭國의 對韓政策" 신라문화연구소 (24) : 39-66, 2004
    • 68 여호규, "6세기말~7세기초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고구려 대외정책의 변화 -대수관계(對隋關係)를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46) : 1-36, 2002
    • 69 金周成, "6∼7세기 고구려와 백제의 상호관계" 學硏文化社 (20) : 2005
    • 70 林起煥, "6·7세기 高句麗政治勢力의 동향" 한국고대사학회 (5) : 1992
    • 71 井上秀雄, ""日本書紀"の高句麗觀" 東國大學校日本學硏究所 (8-9) :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1-07-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Balhae -> Association of Koguryo Balha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2-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 -> 고구려발해연구
                외국어명 : The Koguryo Yonku -> The KoguryoBalhae Yonku
                KCI후보
                2008-02-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회 -> 고구려발해학회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 Institute of KoguryoBalhae
                KCI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5-05-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KCI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93 2.013 0.38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