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동아대학교 함진재 소장 강화경판(江華京板)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인경본의 자료적 가치와 활용방안 = The source-value and utilization-plan of the Ganghwa Woodblock(江華經板)-Koryo Tripitaka(高麗大臧經)‘s printing-material in the Hamjinjae(函珍齋) of Dong-A(東亞) University
저자
발행기관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Sokdang Academic Research Institute of Traditional Culture Dong-A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3-70(38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is case study analyzed into the source-value and utilization-plan of the Ganghwa Woodblock-Koryo Tripitaka’s printing-material in the Hamjinjae of Dong-A University. this printing-date was printed from 1963 to 1968, was systematically investigated since the 1990s. hereby, this printing-date was utilized the source-material that researched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ality of the Ganghwa Woodblock-Koryo Tripitaka.
Nevertheless, this printing-date was some cases that the source- material was missing or unclear. therefore, the missing source- material can be compensated from these sources. the complementary-data is the digital material of Tripitaka-Koreana- institute(八萬大藏經硏究院) in the Haein(海印)-Temple, the printing- material of the Otani(大谷) University, the printing-material of the Woljeong(月精)-Temple. the supplemented source-material can be used as follows. it is the systematic study of the Ganghwa Woodblock-Koryo Tripitaka, the restoration of the Goryeo- Dynasty's Annals(高麗王朝實錄), the source material of the cultural content-development, the restoration of the damaged original woodblock.
이 글은 동아대학교 함진재 소장 강화경판 『고려대장경』 인경본에 대한 자료적 가치와 보완방법 및 보완자료의 활용방안을 진단하였다.
1960년대 확보된 함진재 소장의 강화경판 인경본은 1990년대부터 원천자료의 체계적인 조사․정리작업을 수행하면서 자료적 가치가 새롭게 인식되어 주목되었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해인사 소장 강화경판의 원천자료를 열람할 수 없었으므로, 함진재 소장의 인경본은 원천자료로 중요한 가치를 확보할 수 있었다. 더구나 1970년대 동국대학교에서 간행한 『고려대장경』 영인본 총48책에 비해, 보다 풍부한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좌․우 변란과 그 외곽에 새겨진 각수, 발원문 자료와 함께 ‘외장(外藏)’ 자료도 풍부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1990년부터 2013년 현재까지 함진재 소장 인경본 자료가 연구자료로 활용되면서 상당한 연구성과를 축적하도 하였다. 우선, 강화경판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객관적으로 밝히는 원천자료로 활용되었다. 일제식민주의 학자들이 강화경판을 소위 초조대장경판의 복각판(復刻板)으로 파악한 문화적 정체성(停滯性) 등을 극복하는 원천자료로 활용하여 역사․문화적 객관성을 바로잡았다.
다음으로, 조성사업의 주체와 목적에 대한 역사 실체를 객관적으로 정립하는 자료로도 활용되었다. 일제식민주의 역사학자와 해방 이후 한국 연구자들이 강화경판의 조성주체․목적과 조성공간의 위치 및 참여자의 범위를 최씨무인정권과 연계시켜 축소․평가한 이해방식을 객관적으로 바로잡는 데 함진재 소장의 원천자료를 적극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내용을 새롭게 밝히는 원천자료로도 활용되었다. 그 결과, 대장․분사도감의 운영조직체계와 역할, 그 산하의 판각공간, 분사도감의 위치 등이 구체적으로 탐색되었고, 조성사업 참여자들의 다양한 출신성분과 그들의 현실인식 등도 새롭게 밝히게 되었다.
그러면서도 함진재 소장의 인경본은 1960년대 인출 당시 인경 전문가의 제한적 인식, 개별 경판의 마모나 훼손 등으로 원천자료가 누락되거나 불명확하게 인경된 경우도 있다. 특히 좌․우 변란의 밖이나 그 외곽 부분에 새겨진 각수, 발원문, 공방(工房) 자료의 상당수도 누락되어 있다. 따라서 누락된 원천자료는 해인사 팔만대장경연구원 소장의 디지털자료를 원천텍스트로 삼고, 우왕 7년(1381) 인출된 일본 오오타니(大谷)대학 소장본의 자료집, 조선 고종 2년(1865)에 인출된 월정사 소장 인경본의 사진자료 등을 교차적으로 활용하여 보완할 수 있다. 보완된 자료는 체계적인 연구와 함께 고려왕조실록의 복원, 문화․관광콘텐츠 개발의 원천소스, 마모․훼손된 원판의 복원, 원판과 후대 보각판의 진위여부 진단 등 다양한 영역에도 활용할 수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5-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rnal of Seokdang Academy -> Journal of Seokdang Academy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3-2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rnal of Seokdang Academy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석당전통문화연구원 -> 석당학술원영문명 : Seokdang Academic Research Institute of Traditional Culture Dong-A University -> Seokdang Academy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2 | 0.62 | 0.5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46 | 1.395 | 0.1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