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거시적 논의와 미시적 논의 = The Paradigm Shift and the Nature of Teacher Professionalism
저자
박채형 (부산교육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79-299(21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nature of teacher professionalism microscopically. The arguments about teacher professionalism was stared in a way to prescribe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as traits of professional fields for teaching activity. But, it results to degrade teaching activity. Then, people altered the classical way into defining teacher professionalism in teaching activity itself. At present, the arguments has developed to define it through teacher's perspectives. They define the teacher professionalism as a elements as following: teaching ability of school subjects, ability to educational guidance,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pedagogic knowledge, and attitude as teacher.
However, we make a question what is the elements exactly. If we don't have a answer to the question, the recent arguments become to a simple catch phrases. That is to say, to grope the answer is a key to make the recent arguments meaningfully.
M. Oakeshott's epistemology in “learning and teaching” suggests us the answer. Following his opinion, teacher manifests non-linguistic expressions in company with linguistic it in schooling, and teacher professionalism is define as the total body activities of teacher. Teaching ability of school subjects and ability to educational guidance are the modes of the teacher professionalism as total body activities of teacher abstracted in aspect of a situation, and attitude as teacher is mode of it abstracted in aspect of a emotion.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s a part of understanding pedagogic knowledge. These elements make teacher to possess the abilities and attitudes as the teacher professionalism.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논의는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접근될 수 있다. 전문직이 갖추고 있는 일반적인 특성에 비추어 교사의 과업을 평가하면서 그들의 전문성을 처방하는 논의가 한 가지 방향이라면, 다른 한 가지 방향은 교사가 수행하는 특이한 역할에 의존하여 그들에게 적용될 전문성을 새롭게 규정하려는 논의이다. 특히, 교사에게 요구되는 세부적인 능력의 총화로 교사의 전문성을 규정하는 거시적 논의는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한 전자의 전형적인 사례로 손꼽히고 있지만, 종전까지 독보적인 지위를 누리던 그러한 논의는 교사의 전문성을 이루는 개별적 요소의 성격과 그것 사이의 관계를 묻는 위협적인 질문을 배태하고 있다. 최근에 들어 교사들이 지각하는 자신의 역할에 초점을 두고 교사의 전문성을 규정하려는 미시적 시도가 후자의 사례로 주목을 받고 있지만, 그것은 거기에서도 말끔히 해소되지 않는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교과의 성격과 교과교육의 과정을 둘러싼 오우크쇼트의 심오한 인식론적 견해를 끌어들여 그 질문에 대한 근본적인 대답을 모색하는 동시에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궁극적인 해명을 시도하였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20-10-2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5-28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도덕교육연구외국어명 : The Journal of moral Education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6 | 0.76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6 | 1.316 | 0.0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