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東南唱酬錄』硏究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1-123(33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이 글은 『동남창수록』에 대한 면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동남창수록』은 1808년 가을에 경주, 울산, 밀양의 문인들이 15일 동안 밀양에서 동래, 양산, 울산을 거쳐 경주까지 여행하면서 창수한 시를 모아서 엮은 시집이다. 논의 과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자료의 면모는 다음과 같다.
우선 19세기 초반에 단독으로 엮인 창수록이 흔하지 않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참여 작자는 해당 지역에서 얼마 되지 않는 대과 급제자를 비롯해 각 지역의 유력 가문에 속한 인물과 지방 관리들이다. 이를 통해 당시 이들의 행적과 교유관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들이 주로 방문한 곳은 각 문중의 재실이나 정자, 여정의 경로에 위치한 사적이었다. 이는 당시 이 지역에서 한문학이 산생된 공간과 도로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수록된 작품들은 창수시가 갖는 어쩔 수 없는 제약 아래 놓여 있었으나 다양한 창수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단조로움에서 벗어나고자 했으며, 지역의 특성으로 고찰할 만한 정서의 일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참여 작자들은 자신들이 살고 있는 지역을 ‘하나의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살필 수 있다.
그러나 이 글은 자료를 통해 지역성을 파악해보고자 했던 부분에 있어서 그리 만족할 만한 성과를 제시하지는 못했다. 차후 이 지역에서 제작된 작품들을 보다 많이 고찰함으로써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로 한다.
This paper has an intention of careful consideration about 『Dongnamchang sureok』. 『Dongnamchangsureok』 is an collection of poems that compiles poems exchanged by literary people from Gyeongju, Ulsan and Milyang traveling from Milyang to Gyeongju, passing through Dongrae, Yangsan, Ulsan for 15 days in 1808, autumn. The aspect of material which can confirmed through a process of discussion is as in the following.
Fisrt of all, it has the value of data in that solely compiled changsureok(唱酬錄) in the early 19th century is not common. Participatory writers are people who belongs to influential families of each religions and local governor, including unaged local successful examinee of Daegwa(大科). This makes us catch their pasts and social intercourses at that time. Where they mainly visited were houses built with used timbers of each families, pavilions and historical sites situated in the course of the travels. This provides information about space where chinese classics appeared and networks of roads of the region at the time. Although included works were under unavoidable restrictions that belongs to changsusi(唱酬詩), they meant to get away from monotony by choosing various ways in exchanging poems and represent one side of sentiment that can be considered as characteristic of area. Also, it can be catched that participatory writers recognized their residential district as ‘one place’.
But, this message is not present a satisfactory product in terms of making an attempt to catch the regionality through this data. Insufficient part will complemented later on by considering much more works which are made in the region.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KCI후보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2-1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 -> 동악어문학외국어명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Journal of Dong-ak Language and Literature | KCI등재 |
2015-02-1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학회 -> 동악어문학회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Dong-ak Society of Language and Literature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4-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Dong-ak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8 | 1.224 | 0.2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