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선시대 기록물의 생산 및 처리과정과 보존 = The Creation, Management Process and Preservation of s in the Joseon Period
저자
이한희 (경북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87-323(37쪽)
KCI 피인용횟수
5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thoughts on records manage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ves management system in the Joseon Period.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1, Such essential elements as laws and regulations of the Joseon(朝鮮) Period were analyzed by examining Th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various codes of laws(法典類), Joong-Gi(重記) that is traditional government records and ancient manuscripts(古文書). By investigating DaeMyungRyul- JikHae(大明律直解) and KyungKookDaeJeon(經國大典) we could learn about the various rules of the forms, communications among government offices, and the period and method of keeping official documents in the Joseon period.2. It is not known exactly how to collect and process records in the old days. The analysis of codes of laws and rules and the existing documents, however, enables us to presume the rough outline of those processes. The methods and processes of records management of such institutions as UeiJeongboo(議政府) or Gaggakgo(架閣庫) in the old days are similar to how to collect, manage, communicate, and preserve records in the present time. 3. In the Joseon Dynasty, there were Gagakgo(架閣庫), Sago(史庫), Moonseogo(文書庫), and Hojeokgo(戶籍庫) which are similar to modern archives, and whose primary functions are to create, manage, preserve and transfer records to the future generations. Since there was no central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 records were managed by separate local institutions, and therefore, not properly managed.Sillok(實錄) and various other historical records document the methods and systems of preserving records. For instance, when Moonseogo(文書庫) was destroyed by fire, it was relocated to an isolated area, and people were prohibited from living in its neighborhood.
더보기이 연구는 조선시대의 기록물 관리에 대한 그 사상적 배경과 문서관리 의식 및 관련된 제도 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본 논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조선시대의 법규정, 제도 등 기본적인 분석요소들은 조선왕조실록, 법전류, 중기류, 각종 고문서 등의 문헌들을 조사하여 즉 사료에 의한 관련 항목들을 분석하였다. 중국의 법률을 적용한 대명률직해와 경국대전 등 각종 법전에서 보이는 공문서의 다양한 작성 서식, 이첩(移牒) 유형, 보존방법 및 보존기간 등의 규정을 알 수 있었다.둘째, 전통시대의 기록물의 수집 및 처리과정은 정확하게 실제적인 모습을 알 수는 없으나 예전의 법 규정에 나와 있는 규정들과 현전(現傳)하는 고문서 등에 의하여 기록물의 수집 및 처리과정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기록물의 수집 및 처리과정도 전통시대의 경우 오늘날과 유사한 처리과정을 가지고 있다. 의정부나 가각고 등과 같은 기관에서 기록물의 수집, 처리, 이관, 보관 등으로 현대의 기록물 수집, 처리과정과 비슷한 처리과정을 보여주었다.셋째, 조선시대의 기록물 보관보존의 경우 현대의 기록물보존소와 유사한 가각고가 있었으며, 사고(史庫)를 비롯한 문서고, 호적고 등과 같은 기관들을 중앙에는 물론 지방에 까지 보유하고 있어서 각종 기록물을 생산하고, 관리 보존하여 영구히 후세에 전하려던 노력을 사료와 기록에서 확인하였다. 또 실록이나 각종 문서에서 보존을 위하여 고안되거나 시행된 여러 방안들과 제도를 찾아볼 수 있었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3-2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Institute of Korea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ibliography | KCI등재 |
2019-03-1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 Journal of Studies in Bibliography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3-05-0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서지학회 -> 한국서지학회영문명 :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 The Institute of Korea Bibliography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199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7 | 0.47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2 | 1.107 | 0.1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