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원자력손해배상 자금의 확충 방안에 관한 연구 - 후쿠시마 원전사고로부터의 교훈 - = A Study on the Expansion of Nuclear Damage Compensation Funds - Lessons from Fukushima nuclear accident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43-276(34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일본의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 동경전력의 피해자에 대한 손해배상을 위한 자금공급 관련 법제도와 실무현황의 검토를 통하여 우리나라 원자력손해배상 관련 법제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일본 원자력손해배상법 제16조 제1항은 손해배상액이 배상조치액을 넘고, 원자력손해배상에 관한 법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원자력사업자에 대하여 정부가 손해배상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사고조사위원회는 천재지변이 아닌 동경전력의 과실에 기하여 발생된 사고라고 판단함에 따라, 사기업인 동경전력의 과실에 따른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 책임을 위해 국가가 자금을 투입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비판이 있다. 그러므로 일본 정부는 직접 원자력사업자에게 손해배상자금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원자력사업자로 구성된 일종의 조합체인 원자력손해배상· 폐로지원기구에 자금을 공급하여 손해배상을 하게하고 그 자금은 원자력사업자들이 매년 납부하는 부담금과 손해배상자금을 공급받은 원자력사업자가 부담하는 특별부담금으로 회수하는 체제를 취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원자력손해배상법 규정은 일본의 원자력손해배상에 관한 법률규정과 거의 동일하다. 우리 원자력손해배상법 제5조 제1항에서 원자력사업자에게 손해배상조치의 의무를 부과하고 있는 한편, 제14조 제1항에서 손해배상액이 배상조치액을 초과하는 경우 정부는 원자력사업자에게 필요한 원조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원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원자력손해배상법 제14조에 따라 국가가 사업자게에 직접 원조를 한다면 일본에서와 같은 비난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므로, 일본의 원자력손해배상·폐로지원기구와 같은 단체를 만들어 간접적인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단일 발전용원자로사업자로 일본과 같은 원자력사업자 간 상호부조적 조합체를 결성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지만, 원자로의 수, 사이트의 수, 발전용량 등을 고려하여 원자력사업자를 사이트별로 분리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After Fukushima Nuclear accident in Japan, we reviewed the legal system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supply of funds for damages to victims of Tokyo Electric Power Company,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legal system related to nuclear damage compensation in Korea. Article 16 (1) of the Japan`s Act on Compensation for Nuclear Damage provides that if the amount of damages exceeds the amount of compensation and it is deemed necessar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Act on Compensation for Nuclear Damage, the government will provide the necessary funds for damages. As the Investigation Committee on the Accident at the Fukushima Nuclear Power Stations decided that it was an accident caused by the negligence of Tokyo Electric Power Company, not the natural disaster, there is criticism that the government`s investment of funds for liability for damages due to illegal acts by Tokyo Electric Power Company as a private company is unreasonable. Therefore, the Japanese government does not provide damages to direct nuclear operators, but rather to provide funds to the Nuclear Damage Compensation and Decommissioning Facilitation Corporation, which is a sort of union composed of nuclear power operators, to compensate for damages. And the funds are collected through a special burden to be paid by the nuclear operators who receive the compensation fund, and a general burden to be paid by the other nuclear operators. The provisions of the Nuclear Damage Compensation Act in Korea are almost the same as those of the Japan`s Act on Compensation for Nuclear Damage. The Nuclear Damage Compensation Act is stipulated that Article 5 (1) imposes an obligation to compensate nuclear operators for damages, while in Article 14 (1), if the amount of damages exceeds the amount of compensation, the government will provide the necessary support the nuclear power operator. If nuclear accident occurs in Korea, if the state directly supports the operators in accordance with Article 14, it will be difficult to avoid the same criticism as in Japa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rganization such as Japan`s Nuclear Damage Compensation and Decommissioning Facilitation Corporation and provide indirect support. Since Korea is a single electricity generating reactor operator, it is difficult to form a mutually cooperative association between nuclear power companies such as Japan. However, considering the number of nuclear reactors, the number of sites, and the power generation capacit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ow to separate the nuclear power companies by site.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07-05-09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과학기술법연구소 -> 과학기술법연구원영문명 : Institute for Law of science & Technology -> Institute for Law of Science & Technology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1 | 0.51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42 | 0.66 | 0.2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