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대학생 순찰대 활동이 범죄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벡 불안 척도를 활용하여 = Research on the Impact of University Student Patrol Activities on Crime-Related Anxiety: Utilizing the Beck Anxiety Inventor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치안행정논집(Journal of Korean Public Police and Security Studies)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7-41(25쪽)
제공처
본 연구는 C 대학의 대학생 순찰대 활동이 여학생들의 범죄 불안감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캠퍼스 내 치안 활동의 효과와 개선 방향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벡 불안 척도(Beck Anxiety Inventory, BAI)를 활용해 여학생들을 정상, 가벼운 불안, 중증 불안의 세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In–depth Interview)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 순찰대 활동에 대한 인식은 불안 수준별로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범죄 불안감 완화와 예방적 치안 활동의 필요성을 입증하는 중요한 자료로 나타났다.
정상 그룹은 순찰대의 존재를 기본적인 안전장치로 인식하면서도, 그 필요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관심을 보였다. 가벼운 불안 그룹은 성범죄 예방 효과를 인정하면서도 순찰 방식의 다변화와 대응 능력 강화를 요구하였다. 중증 불안 그룹은 순찰 빈도 증가, 취약 지역 상주, 전문성 제고 등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개선안을 제안하며, 대학생 순찰대의 중요성을 가장 강하게 강조했다.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 순찰대 활동은 심리적 안정감 증진과 범죄 억제 효과를 제공하는 주요한 캠퍼스 치안 전략임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제한된 인력, 정형화된 순찰 방식, 전문성 부족 등의 한계가 지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문적 훈련 프로그램 도입, 순찰 방식 개선, 기존 보안 시스템과의 연계 강화, 치안 활동에 대한 홍보 및 신뢰 구축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본 연구는 캠퍼스 치안 활동의 개선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대학 내 안전한 환경 조성을 위한 실천적이고 정책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C University's student patrols on reducing female students' fear of crime, aiming to assess campus security measures' effectiveness and suggest improvements. Utilizing the Beck Anxiety Inventory(BAI), female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normal, mild anxiety, and severe anxiety groups, followed by in-depth interviews.
Findings indicated that perceptions of the student patrol varied with anxiety levels, highlighting the need for crime anxiety mitigation and proactive security initiatives.
The study confirms that student patrol activities are a key campus security strategy, providing psychological comfort and deterring crime. However, limitations such as limited personnel, standardized patrol methods, and lack of expertise were identified. Therefore, the study recommends introducing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s, improving patrol methods, strengthening integration with existing security systems, and promoting security activities to build trust. By presenting specific directions for enhancing campus security efforts, this research offers practical and policy-oriented foundational data for creating a safer university environment.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