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루터와 뮌처의 종말론 비교연구-정치사상의 관점에서 = A Comparative Study of Luther and Müntzer's Theory of Eschatology-Focusing on a political though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41-368(28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is study attempts to characterize their eschatological thinking by analyzing the eschatological texts found in the writings of the Reformer Luther, a successful politician on the basis of secular authorities(obrigkeit), and of the Reformer Müntzer, who was labeled as a loser in the Reformation movement. Both have in common that they have applied eschatological viewpoints to historical events, but there are extreme differences and conflicts in their views on their social and political significance. This study discusses the Reformation of Luther and Müntzer from the point of view of eschatology, and clarifies the reason why the Reformation movement of both was forced to become uncompromising enemies in front of the political reality of revolution.
Luther's political thought is faced with the criticism that Christians are urged to indulge in unjust social structures in the attitude of 'defeatist' and 'solemnist'. Luther chose oppression rather than revolution and also distinguished between personal morality and public morality as Christians. As demonstrated in the Peasant War, Luther emphasized the individual ethics of nonviolence and non-resistance to the violence of the oppressors, and gave the rulers of the secular authorities the public justification to use violent oppression to maintain the social order.
Political thought based on the eschatology of Müntzer played a prophetic role in shaping the structure of modern revolutionary thought. It means that the eschatological revolution of the Christianity in the latter half of the Middle Ages gave birth to contemporary radical political thought and theology. Given the implicit expectation, the sectarian tendency, the social critique, and the disturbance between dystopia and utopia, today 's leftwing political thought can be expressed as a secularized apocalyptic movement as well as a modern prophetic movement. Modern revolutionary ideas can not be identified with the religious apocalyptic ideas of the first or the sixteenth century, but they are implicit if they are viewed only in terms of their capacity to accommodate their political, religious, and existential experiences in different situations it will be possible.
본 연구는 세속당국(Obrigkeit)의 권력에 기대어 자신의 종교개혁을 성공한 루터와 종교개혁운동에서 패배자로 낙인찍힌 종교개혁가 뮌처의 종말론 사유의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양자 사이에는 종말론적 관점을 역사적 사건에 적용시켰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으나 그것의 사회적·정치적 의미에 대한 견해에 있어서는 극단적인 차이와 갈등이 내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루터와 뮌처의 종교개혁을 종말론의 관점에서 논의한다. 그리고 왜 양자의 종교개혁운동이 혁명이라는 정치적 현실 앞에서 불구대천의 원수가 될 수밖에 없었는가를 해명한다.
루터의 정치사상은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에게 ‘패배주의자’와 ‘엄숙주의자’의 태도로 불의한 사회구조를 방임하도록 권고한다는 비판에 직면한다. 루터는 혁명보다는 복종을 선택했고 또한 그리스도인으로서 지닌 개인도덕과 공적도덕을 구분해 버렸다. 농민전쟁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루터는 농민들에게는 비폭력과 무저항 산상수훈의 개인윤리를 강조했고 세속 당국의 통치자들에게는 폭력적인 압제 수단을 사용하여 사회질서를 유지할 공적 정당성을 부여하였던 것이다.
뮌처의 종말론에 바탕한 정치사상은 근대적 혁명사상의 구조를 형성하는데 예언자적인 역할을 했다 하겠다. 중세 후기에 일어난 그리스도교 종말론적 혁명이 현대의 급진적 정치사상과 신학을 배태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묵시적 기대, 소종파적 경향성, 사회비판, 디스토피아와 유토피아 사이의 부침을 감안할 때, 오늘날 좌파적 정치사상은 근대의 예언 운동일 뿐 아니라 세속화된 묵시 운동이라 표현할 수도 있겠다. 현대의 혁명사상이 1세기나 16세기의 종교적 묵시사상과 동일시될 수는 없으나 그것의 정치적, 종교적, 실존적 경험을 다소 다른 상황에서 수용 할 수 있는 능력과 변혁적인 힘의 관점에서 본다면 묵시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7 | 0.57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51 | 0.592 | 0.2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